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국립산림과학원 복령재배시험지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6월 30일(금), ‘복령’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3개 지자체 연구소(강원특별자치도 산림과학연구원,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와 협업하여 전국 4곳에서 지역 적응성 시험 재배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는 임산물로 이뇨작용과 부종 감소, 항암 등의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복령의 새로운 기능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5월 뼈 건강 개선을 위한 골 대사 조절 기능이 뛰어난 복령 균사체를 발굴한 바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뼈 건강 증진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복령의 대량증식 연구도 함께 수행하기 위해 권역별로 시험연구지 3곳을 추가 구축하였다. 이번 복령 시험재배는 내년 9월까지 수행하며, 권역별로 복령 생산량을 분석하여 대량증식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구명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미생물연구과 유림 임업연구사는 “복령이 임업인을 위한 새로운 소득 품목이 될 수 있도록 복령의 건강 증진 물질 탐색과 대량증식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남태헌) 국립나주숲체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이하 한약자원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전남광역치매안심센터대상 항노화 치유사업인 ‘기억을 걷는 숲’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치매예방·관리를 통해 노화로 인해 저하되는 기억력과 신체기능을 보존·향상하고 우울감을 완화하는 등 국민의 건강한 노년 생활영위를 돕고자 마련됐다. 항노화 산림치유 프로그램 “기억을 걷는 숲”은 전남광역 치매안심센터 21개 시·군·구 종사자 대상으로 운영하고, 한의사인 한약자원연구센터 최고야 센터장과 류지효 선임연구원을 초빙, 노화방지·신체기능 향상 등을 위한 한의약 활용법 강연 및 참가자 건강 상담이 진행되었다. 황인욱 국립나주숲체원장은 “치매안심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의학연구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다양한 산림치유 콘텐츠 제공으로 치매·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면서 “앞으로 산림복지선도기관으로써 건강한 노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4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음나무’이다. 음나무는 두릅의 일종이다. 두릅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흔히 알려진 참두릅은 두릅나무의 새순이고,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불린다. 개두릅과 참두릅은 언뜻 보면 구분하기 쉽지 않지만, 자세히 보면 개두릅은 참두릅보다 잎이 진하고 윤기가 있다. 참두릅보다 씁쓸한 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음나무는 손으로 만질 수 없을 정도로 가시가 많다. 가시가 날카롭고 억세 엄하다는 의미로 ‘엄나무’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로 선조들은 음나무 가지를 대문이나 방문에 걸어두어 흉한 기운을 막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 음나무는 다양한 쓰임새를 지니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은 한약명으로 ‘해동피’라고 하며 사포닌, 루틴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을 삶은 물은 혈액 속 당 수치를 낮춰주어 당뇨 개선에 사용하거나, 소염작용에 좋다 하여 관절염, 피부병, 궤양 등에 많이 사용한다. 음나무의 뿌리는 줄기와 함께 한약으로 사용하거나 닭백숙에 넣어 먹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목재 자체의 무늬도 곱고 아름다워 최고급 목재로도 활용된다. 또한, 음나무 순(개두릅)은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A는 물론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 끓는 물에 살짝 데치면 영양성분이 우수한 고급 산채가 된다. 개두릅은 단순히 데쳐 초장에 찍어 먹는 맛도 일품이지만 고기와 궁합이 좋아 삼겹살이나 쇠고기에 말아 먹거나, 장아찌, 전, 솥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10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대추’다.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며 매우 많은 열매를 맺는다. 특이하게도 대추꽃은 반드시 열매를 맺어야만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로 없다. 이런 이유로 대추는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차례상에 대추가 빠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또한, 대추는 간을 보호하고 담즙분비를 유도하여 간의 피로 회복에 좋고, 부기 제거, 혈관 건강 개선, 스트레스 완화, 노화 방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는 수확기인 가을에는 생으로 먹고, 말린 대추는 한약재나 삼계탕 재료 등으로 연중 이용되며, 최근에는 대추호두말이, 대추라떼 등 이색 조리법(레시피)의 대추요리가 개발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천궁기내식물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품질을 가진 식물체를 대량복제 생산할 수 있는 아(芽)배양 조직배양기술로 천궁, 참당귀, 작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산림약용자원의 대표 작물인 천궁, 작약, 참당귀는 한약의 필수 재료로 쓰이며, 면역력 증진 등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뛰어나 생산자와 수요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약용자원이다. 천궁, 참당귀, 작약은 국내에서 약용수종의 전체 생산액(4,990억) 중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천궁 6.5%, 참당귀 4.9%, 작약 25%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병충해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묘목 수급의 문제와 값싼 수입산으로 인해 재배 임가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조직배양 기술은 무균상태에서 조직을 배양하여 건전하고 우량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으며, 초기 식재부터 품질이 우수한 묘종을 만든다는 이점이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묘목 수급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천궁 기외 순화식물체 이 기술을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다른 산림약용자원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산에서 자라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산성 향상, 무병묘 및 고기능성 신품종 개발 등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 창출 및 토종 산림약용자원의 보존 및 보존·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고상현 소장은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면역력 강화 등 우수한 약리성분이 대량 함유되어 있는 약용자원 개발에 노력할 것”이라 말하며, “이와 더불어 국산 약용자원의 우수함을 알리고 산업적 이용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산림약용자원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스마트 온실을 설립중이며, 생육과 성분함량이 증진된 약용자원 개발 등의 연구를 함께 수행할 계획이다. 작약 기내배양식물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참당귀 육성포지 전경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우라나라 전통 약용자원인 참당귀를 대상으로 우량 개체선발을 통해 보다 나은 참당귀 품종을 얻기 위한 고품질 신품종 육성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참당귀의 안정적인 재배와 품질향상, 활용도 확대를 위해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생장이 우수하고 뿌리, 잎, 꽃 등에서 유익한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육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부위를 활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참당귀 품종이 개발될 것이다. 개발된 신품종은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천연물 신약 등의 고기능성 식·의약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배지 변이개체 선발 참당귀는 동의보감 처방 중 500회 이상, 방약합편 처방 중 150회 이상 언급되었으며, 한약 처방에 생강, 감초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용가치가 높은 약용자원이다. 참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의 다년생식물로써 현재는 봉화, 제천, 평창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건조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며, 참당귀의 뿌리는 보혈하는 작용을 하여 주로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항균작용 및 신진대사촉진 등 부인병 치료에 효과가 좋아 여인의 약초로 불린다. 한편, 지금까지의 참당귀 육성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 10월 27일(화)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진행하였으며, 세미나 참석자들과 함께 신품종 조기육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의 박홍우 연구사는 “유망한 산림약용자원의 신규발굴과 품종육성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라고 전하며, “향후 토종 약초인 참당귀의 안정적인 생산과 이용성 다양화로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유망계통 선발 자가수정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
대구수목원 『대구의 나무도감』 펴내
- 쓰레기 매립장에서 향토 식물자원 보전과 자연생태 체험 그리고 자연학습의 장으로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대구수목원은 대구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들을 소개하는『대구의 나무도감』을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대구의 나무도감』은 대구 인근의 산야에서 자생하거나 생활주변의 공원 등에 식재되어 있는 나무 296종류를 선정하여 현장에서 편하게 활용하고 언제 어디서나 들고 다니기 쉬운 크기로 제작했다. 특히 도감에는 나무를 보다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전경, 꽃, 열매, 잎, 수피, 겨울눈, 종자 등 계절에 따른 나무의 부위별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생태ㆍ환경적 특성과 학명, 영명, 한약명, 나무이름의 유래, 용도, 효능, 유사 식물 종간의 식별 요령 등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하여 보다 쉽게 나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고 오래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제작했다. 본 도감은 시민들이 누구나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대구중앙도서관 등 주요 공공도서관에 비치를 하였으며, 수목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 및 학습용 보조 자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대구시 장정걸 수목원관리사무소장은 “『대구의 나무도감』이 나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초보자에게 나무를 쉽게 알고 이해하는 안내서로써 그 역할을 하길 바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식물에 대한 유익한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수목/과학
-
대구수목원 『대구의 나무도감』 펴내
-
-
장흥군버섯산업硏, 산업체에 표고버섯 발효특허 기술이전
-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원장 제해신)은 전남도내 한약재 가공․유통회사인 동부생약영농조합(대표 홍재희)과 보유 특허에 대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제해신 원장, 동부생약영농조합 홍재희 대표와 기술이전을 중계한 전남테크노파크 이정관 기업기원단장 등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이전한 기술은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적하수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기술로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에서 지난 2년간 농림축산식품부의 ‘고부가가치 식품개발사업’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기술은 갱년기 증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하수오와 면역력 향상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표고버섯를 발효시켜 두 소재의 기능성은 향상 시키고, 인체 내 자극성은 감소시켜 다양한 식의약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장흥군의 특산물인 표고버섯을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재배농가의 소득향상과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 제해신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장은 “최근 들어 연구원에서 개발한 특허기술이 ㈜천연스토리 등 지역 산업체에 활발하게 이전되고 있다”며,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우리군에서 생산된 표고버섯의 새로운 활용가능성이 모색되어 생산·가공·유통으로 이어지는 6차산업으로 활성화될 것이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장흥군버섯산업硏, 산업체에 표고버섯 발효특허 기술이전
-
-
안동시, 경북지역 약용작물 우량종자․종근 생산 보급체계 구축
- 안동시농업기술센터(소장 심일호)는 경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약용작물의 우량종자, 종근 생산 보급체계 구축 연구사업을 올해부터 5년간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에서 약용작물 자원개발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주요 약용작물 종자보급체계 구축”사업이란 과제를 가지고 전국 12개 관련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사업이다. 경북 북부지역에는 안동시농업기술센터 뿐만 아니라 생물자원연구소, 봉화약용작물연구소가 공동연구자로 등록돼 경북지역이 약용작물의 주요한 생산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동시는 올해부터 5년간 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하면서 작약, 방풍, 마, 천궁 등 총 10종의 주요 약용작물 종자공급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올해 사업으로는 작약, 당귀, 방풍 총 3개 작목을 대상으로 우량종자, 종근 생산포장을 조성했으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규모화된 재배단지로 확대될 수 있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안동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이번 연구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안동지역이 주요 약용작물 종자, 종근이 생산지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하며 또한 안동지역 약초재배 농업인들의 소득증대와 안전한 한약원료 공급으로 한방산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안동시, 경북지역 약용작물 우량종자․종근 생산 보급체계 구축
-
-
황홀한 유혹, 봉화송이의 맛! 제21회 봉화송이축제, 제36회 청량문화제 개막...
- ‘황홀한 유혹! 봉화송이의 맛!’이라는 주제로 9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4일 간 봉화읍 체육공원과 송이산 일원에서 펼쳐지는 제21회 봉화송이축제와 제36회 청량문화제가 성대한 막을 올렸다. 송이는 큰 소나무 밑에서 자라 매우 향기롭고 성인병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자랑한다. 이런 송이를 보물찾기 하듯 산을 둘러보며 송이생태를 관찰하고 직접 체험하며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송이채취체험을 비롯한 각종 체험, 공연, 전시행사가 가득한 봉화송이축제! ‘문화의 향취 그윽한 청정고을 봉화로 오세요’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제36회 청량문화제도 전국한시백일장을 시작으로 삼계줄다리기 재연, 학생주부백일장 등의 전통문화행사를 갖추고 관광객들을 맞이했다. 봉화군은 송이축제 개막에 앞서 지난 22일과 23일 내성천 특설무대에서 실경뮤지컬 ‘이몽룡’ 공연을 선보이며 이번 축제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고조시켰다.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실경뮤지컬 ‘이몽룡’은 4,000여명의 관객들이 관람하여 지역예술수준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축제의 서막으로 부족함이 없었다. 가을을 물들일 봉화송이축제와 청량문화제는 송이채취체험, 송이볼링, 송이경매와 같은 체험과 시작으로 추억의 음악여행, 장원급제 테마음악회를 비롯하여 삼계줄다리기 재연, 전국한시백일장, 시화전 등 문화행사와 예술 작품전시, 송이요리전시 등 다양하게 마련하여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 그 외에도 제5회 봉화송이 전국 마라톤대회, 전국 아마추어 색소폰 경연 페스티벌, 제40회 봉화군민체육대회, 가족건강걷기대회 등 연계행사도 매일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당귀, 백출 등 5종의 한약재를 첨가한 사료를 먹여 최고급 육질을 자랑하는 명품 봉화한약우 시식과 판매행사가 하루 4회 있어 송이와 한약우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18시 30분부터 시작하는 개막식 축하공연에는 신유, 박구윤, 서지오, 지원이, 이혜리, 박상철, 오마이걸 등 정상급 가수가 출연하여 깊어가는 가을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봉화송이축제는 자연이 내린 선물인 송이와 청정봉화 특산품을 널리 알리고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진 가을철 대표축제로 거듭할 것으로 기대된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황홀한 유혹, 봉화송이의 맛! 제21회 봉화송이축제, 제36회 청량문화제 개막...
-
-
경남도, 서북부권 항노화 웰니스 관광 본격 추진 시동
- 경남도는 지난 3월 30일 개소한 경남항노화 주식회사의 그간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성공적 정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경남항노화 주식회사 추진상황 보고회’를 16일 개최하였다. 이날 보고회는 조규일 경남도 서부부지사, 서부권개발국장, 한방항노화산업과장, 주식회사 관리부장, 산청군 보건증진과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남도청 서부청사에서 열렸다. 경남항노화 주식회사는 전국 지자체 최초의 항노화 산업 육성·발전 전담법인이다. 주식회사는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 발굴·운영, 동의보감 탕전원 운영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출범 당시 우려와 달리 주식회사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주식회사는 도내 관공서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를 시행하여 현재 도내 관공서와 총 810명 규모, 6건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지난 3월 30일 경남항노화 주식회사의 개소에 맞춰 문을 연 동의보감 탕전원 역시 도내 한의원을 대상으로 한 주식회사의 홍보활동에 힘입어 실적을 지속적으로 늘려가고 있다. 현재 동의보감 탕전원은 도내 한의원 40개소와 공동이용계약을 체결하였다. 설립 초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상당히 성공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오는 18일 도내 행복생활권 당담공무원 워크숍을 시작으로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이 첫걸음을 내딛게 된다. 이번 워크숍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의료전문가인 한의사가 진행하는 건강코너가 첫 선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2회의 시범운영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세부프로그램으로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의 질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웰니스4U, Wellness For You)은 휴양·건강·힐링이 융합된 체험·체류형 관광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단순관람·경유형 관광과 뚜렷한 차별성을 띠고 있어 주식회사는 출범 초기부터 위와 같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 서북부권에 이미 구축된 산청 동의보감촌, 함양 산삼휴양밸리, 거창 가조온천, 합천 해인사 소리길 등 지역 인프라에서 펼쳐지는 명상, 기체험, 삼림욕, 스파, 트래킹 등 웰니스 프로그램을 특색으로 하는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은 체험여행 수요 및 웰빙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관광을 통한 힐링 욕구 증대 등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잘 반영하고 있으므로 서북부권의 4개군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전국 관공서·기업 연수, 가족여행, 동호회 활동 등으로 고객의 범위를 확대하여 타깃(target)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경남도에서 추진 중인 ‘제2차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 및 상품 개발 용역’의 결과가 나오면 창원, 통영, 사천, 거제, 고성, 남해, 하동 등 남해안 해양권역까지 공간적 범위를 확대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포함한 항노화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을 고객에 선보일 예정이다. 경남의 11개 시·군의 각각 차별화된 지역 인프라에서 웰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경남이 웰니스 관광의 중심지가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동의보감 탕전원은 공공기관이 직영하는 전국 유일의 원외 탕전원이다. 동의보감 탕전원은 산청군 보건의료원 부속시설로 공공기관이 한약의 안전성·유효성을 보장한다. 게다가 동의보감 탕전원은 HACCP·GMP*에 준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어 도민들은 한약을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경남도, 서북부권 항노화 웰니스 관광 본격 추진 시동
-
-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5월 3일‘팡파르’
-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문화관광 유망축제」인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가 오는 5월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대구 약령시 약전골목 일원에서 개최된다. 올해 40회째를 맞는 이번 축제는 ‘약령시愛 꽃피는 건강한 젊음!’이란 주제로 대구 약령시에서만 만날 수 있는 200가지 한약재 전시‘ 등 한방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과 '황금 경옥고를 찾아라‘ 등 관람객들이 참여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전시, 문화, 공연 및 체험 프로그램으로 준비했다. 특히 올해는 시민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참신한 아이디어와 프로그램들을 축제에 반영하고, 지난 해 몽골부스 위주라 답답하게 느껴졌다는 일부 의견을 수렴해 축제장에 초가와 기와 등 전통적 형태의 부스로 변화를 주었으며, 상설 거리무대를 확대해 예년과 확연히 달라진 모습으로 만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홍삼 수제츄러스, 한방쌀 씨앗 핫도그, 수삼라떼, 인삼 닭강정, 감초 닭꼬치 등 기존 메뉴에 한방재료를 가미한 간편 먹거리들과 황기육수 메밀묵채, 한방순대, 한방수수부꾸미, 당귀새싹 메밀무침, 홍화씨 막걸리, 삼채김밥 등 한방을 재료로 한 간편 요깃거리들을 선보인다. 축제는 첫째 날인 5월 3일(수) 오전 11시에 약령시 개장을 알리는 ‘고유제’로 서막을 연다. 고유제는 草根木皮를 한약재로 처음 쓰기 시작한 염제(炎帝) 신농씨(神農氏)를 모시는 고사로 약령시의 번창과 시민의 건강을 기원하며 전통 제례악 공연에 맞춰 지내는 의식이다. 이어서 오후 2시 개막식에서는 약령시 상인과 내빈,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어지전달과 개막 퍼포먼스가 있고, ‘뮤지컬 갈라쇼’ 공연, 참여자들과 함께 대형 약탕기로 올해의 약차를 나누는 ‘정성탕 나누기 퍼포먼스’가 이어진다. 올해의 약차는 황기로 황기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만성쇠약에 좋고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프로그램으로는 대구 약령시에서만 만날 수 있는 ‘200가지 한약재 전시관’으로, 축제장 주거리에 30미터 규모의 기와형태 전시관에서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며 직접 한약재를 보고 만지고 냄새 맡아볼 수 있도록 구성해, 방문객의 오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번 기회를 놓치면 다시 만나기 힘든 신선한 경험이 될 것이다. 또한 한방 보물찾기인 ‘황금 경옥고를 찾아라!’는 대형 콩밭에 숨겨진 보물을 찾는 사람에게 약령시 전통 경옥고를 선물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족․친구들과 함께 참여해 볼 수 있는 신나는 게임형식으로 축제기간 매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매시 정각에 시작된다. 또한 '한~방에 건강찾기, 韓方 철인3종 경기’는 시민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입상한 작품으로 약첩싸기, 한방퍼즐 맞추기, 자전거 발전기로 약탕기 불 올리기 등 3종의 게임을 일정한 시간 내에 완수하는 경기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의 흥미와 신나는 응원전을 유발하도록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오감만족 한약방 직업체험’은 20여종의 한약재를 약장에 넣어 두고 90초 동안 후각과 시각을 통해 약재에 대한 정보를 익힌 뒤 무작위로 약장을 열어 약재 이름을 맞추는 게임형태 프로그램으로 한의약에 익숙하지 않는 젊은 층들을 겨냥해 한방에 대한 친숙함과 재미를 줄 수 있도록 운영된다. 축제 상설 프로그램으로는 한의학을 통한 전통성 있는 건강 프로그램으로 대구한의사회 전문 한의사가 일자별로 무료상담을 통해 침, 뜸 체험 등 다양한 한방 특화진료를 선보이는 한방힐링센터를 운영하고 - 사상체질별로 체질 진단기를 통한 체질진단, 전문가에게 체질별 유의사항 등을 조언 받아 각자 체질에 맞는 한방 약차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상체질진단관 - 십전대보환, 다이어트환 등 한약사와 함께하는 약령시 한방 환 만들기를 진행한다. 또한, 젊은 층과 외국인, 가족단위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 약재썰기, 통약첩 싸기, 한방비누 만들기, 한복예절 체험 등 한약방 체험 축제장과 서상돈 고택, 동성로 등에 설치된 미션을 수행하고 점수를 쌓는 도심 RPG게임 약령청춘투어 - 가래떡 구워먹기 등 추억의 놀이와 먹거리를 체험하는 약령시 추억1번지를 비롯해 봉숭아 물들이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일자별 주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약전골목을 출발해 중구 근대골목 2코스를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걷는 스탬프 골목투어가 매일 오후2시와 4시에 2차례씩 진행되고, 5월 5일(금)에는 어린이날 특별 프로그램으로 한약재를 소재로 어린이 연극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공연이 있다. 그리고 5. 5(금)과 5. 6(토) 저녁 7시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대구의 아름다운 야경과 함께 약령시와 주변골목 이야기를 들으며 걷는『달빛야경투어』를 진행한다. 5월 6일(토) 오후 3시부터는 현대백화점 앞에서 출발해 서성네거리, 만경관,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를 거쳐 현대백화점으로 돌아오는 `동의보감 진서의(東醫寶鑑 進書儀) 퍼레이드`가 진행된다. 진서의 퍼레이드는 허준 선생이 동의보감을 왕에게 올렸던 의식으로 취타대 20명 등 총 100여명의 출연진이 화려한 복색을 하고 약령시 주변 대로를 한 시간여 동안 가두행진하며 시민들과 같이 축제의 즐거움을 나누고 볼거리를 제공한다. 작두로 한약재 썰기 경연을 벌이는 ‘전승기예 경연대회’는 축제 전통 프로그램으로 오색천으로 수놓인 화려한 경연장에 한약시장 종사자와 한의약 관련 대학생, 시민들이 한약재 썰기 경연의 장관을 연출하면서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장면을 선사할 예정으로 5월 7일(일) 오후 2시 메인무대 앞에서 진행된다. 메인무대에서는 약령예술인마당, 퓨전국악, 약령뮤지컬마당, 약첩 빨리 싸기 및 약 달기 대회, 약령 노래자랑, 약령레크리에이션, 한방토크쇼, 약령청춘콘서트, 중구 구민의 날 행사 등 매일 시간대별로 다양한 주제의 문화공연과 참여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또한 금낭화, 어성초, 작약 등 ‘해설사와 함께하는 약초꽃동산’과 ‘신비한 약령솔문’은 시각과 후각을 자극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건강하고 향긋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 ‘약령시 근현대사진전’, 지역 화가 작품인 야생화 그림 전시회도 만날 수 있다. 올해는 약령시 상인들과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약초 무게 맞추기와 약령 노래자랑도 펼쳐질 예정이며, 사상체질관 앞에 거대한 약탕기를 설치해 올해의 약차인 ‘황기’를 달여 방문객 누구나 무료로 시음할 수 있도록 했다. 자세한 사항은 축제 홈페이지(www.herbfestival.org)를 참고하면 된다. 대구시 홍석준 미래산업추진본부장은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는 2001년부터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 및 유망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대표 한방 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해가고 있다”라며, “올해도 전통 한의약을 널릴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국내외 관광객들이 축제장을 많이 방문하도록 준비했으니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5월 3일‘팡파르’
-
-
경북 영천에 ‘약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 들어선다
-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약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 건립사업' 공모에 경북 영천시가 최종 선정됐다. 영천 약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는 국비 30억원을 포함해 총 60억원을 투입해 영천시 한방문화지구 내에 연면적 2280㎡, 2층 규모로 건립된다. 센터는 약용작물 제품 개발과 기능성 식의약 원료 개발 등 약용작물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지원하게 된다. 영천은 연간 1만 5000톤 규모의 한약재를 거래, 전국 한약재 유통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약용작물 유통전문 업체 137곳(약재도매상 38개소, 약초상 99개소)를 보유하고 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약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 건립으로 약초시장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 만큼 과학적 효능분석과 가공기술 표준화 등 국제적 브랜드 제품 개발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약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 공모에는 경북 영천시, 충북 제천시, 전북 남원시가 참여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경북 영천에 ‘약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 들어선다
-
-
제20회 봉화송이축제 개최
- 풍성한 수확의 계절, 오곡백과가 고개를 숙이는 풍성한 이맘 때 쯤이면 자연이 내려준 최고의 선물, 신비에 싸인 숲속의 보석 송이가 모습을 드러낸다. 제20회 봉화송이축제는 송이향 따라 떠나는 봉화여행! 이라는 주제로 9월 30일(금) 개막식을 시작으로 10월 3일(월)까지 봉화읍 체육공원과 관내 송이산 일원에서 개최된다. 봉화송이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조성되는 장엄한 백두대간의 해발400m이상의 마사토 토양에서 1급수의 시원한 계곡물을 먹고 자라 단단하고 향이 뛰어나 미식가들에게 맛이 좋기로 소문이 나 있으며 실제로 다른 지방의 송이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송이에 대한 기록은 신라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데 성덕왕 3년(704년) 『삼국사기』에는 송이의 맛은 무독하며, 맛이 달고 솔향이 짙다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시대 『조선왕조실록』에는 명나라의 진상품으로 송이를 보냈다는 기록이, 대표적인 의학서적인 『동의보감』에는송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매우 향기롭고 솔 냄새가 난다. 이것은 산에 있는 큰 소나무 밑에서 솔 기운을 받아서 돋는 것으로 버섯 가운데 제일이다라고 극찬을 하고 있다. 또한 송이는 버섯 가운데 항암효과가 제일 높으며 성인병 치료에도 효과가 탁월하여 건강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자연이 키운 송이를 모티브로 봉화송이축제는 맑고 깨끗한 청정 봉화의 자연속에서 흥미진진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운영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관광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 전국적인 가을축제의 대명사로 명성을 쌓아가고 있다. 올해의 봉화송이축제의 주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단연 봉화송이채취체험이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하며, 이외에도 관광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행사로 송이볼링, 송이가요제, 송이경매, 떡만들기, 전통유과 만들기, 전통복식체험, 추억사진만들기 등이 있으며 특히 추억의 학교체험은 옛 정취와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7080추억의 학교체험장, 교복입어보기, 즉석사진 찍기 등이 있어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흥미와 재미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시행사로 봉화송이명품관, 송이요리전시, 임산버섯전시 등은 교육의 장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지역 문화단체의 특색 있는 시화전, 우리차 시음회, 봉화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읍․면 홍보관, 봉화 옛모습 사진전 등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하였다. 공연행사로는 개막축하공연, 추억의 음악여행, 도립국악단공연, 이몽룡 장원급제 테마음악회, 폐막공연이 매일 내성천 공연장에서 돌아가며 개최되어 축제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깊어가는 가을밤 우리의 마음을 한 층 여유있게 해줄 것이다. 이 밖에 부대행사로 봉화송이먹거리 장터, 봉화송이와 한약우의 만남을 통한 송이셀프식당과 행사장 내에서 우수한 봉화송이와 봉화한약우를 구매할 수 있는 봉화송이판매장터 및 봉화한약우 판매점도 운영되어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제20회 봉화송이축제와 함께 제35회 봉화청량문화제도 축제기간 개최되어 축제의 질적 수준을 높이게 되는데 삼계줄다리기 행사재현, 전국한시백일장, 학생주부백일장, 보부상행렬 재현, 읍면 풍물 경연대회 등 다채롭게 진행된다. 또한, 연계행사로 제4회 송이마라톤 대회, 봉화어린이집 연합운동회, 봉화군민건강걷기대회, 제6회 문체부장관기 전국그라운드 골프대회, 제20회 경북도지사기 생활체육 에어로빅스 체조대회, 봉화군 씨름왕 선발대회도 열려 군민들도 축제기간 주인공이 되어 즐기고 화합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된다. 이번 가을에는 체험과 먹을거리, 볼거리, 즐길 거리가 풍성한 2016년 제20회 봉화송이축제장을 찾아 천연의 맛과 향기를 간직한 봉화송이와 한약재를 먹여 키운 봉화한약우도 맛보고 임시개관 중인 국립 백두대간수목원과 목재문화체험장 그리고 기암괴석과 붉은 단풍이 조화를 이뤄 가을이면 더욱 아름다워지는 청량산을 둘러보며 산림휴양도시를 꿈꾸는 봉화에서 가을의 정취를 느껴보자.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제20회 봉화송이축제 개최
-
-
예천곤충멀티체험관 엑스포 앞두고 개관
- 예천군(군수 이현준)은 오는 7월 30일부터 8월 15일까지 개최되는 2016 예천세계곤충엑스포에 맞춰 예천곤충멀티체험관을 조기에 개관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개관하는 곤충멀티체험관은 무당벌레 실물모형으로 건립된 국내 최대 건물로 세계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곤충모형 건물이며, 곤충 도시 예천과 곤충생태원의 새로운 랜드 마크로 자리 매김 할 것으로 보여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새로 건립된 곤충멀티체험관은 2015년도 11월 착공해 올해 9월 준공 예정이었으나 곤충엑스포에서 신기하고 다양한 체험으로 관람객을 맞이하기 위해 당초 예정보다 앞당겨 개관하게 됐다. 연면적 997㎡, 건축면적 571㎡의 2층 건물로 1층은 멀티다목적실, 도서ㆍ놀이방, 기계실 등으로 구성되고 2층은 전시 및 체험장, 기념품 판매장, 휴게실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1층 멀티다목적실은 곤충화석 액자 만들기, 나무 곤충 만들기, 유충 기르기 등을 할 수 있는 일반 체험장, 회의실, 도서․놀이방이 자리 잡고, 2층 전시 및 체험장은 새로운 체험세계를 보여줄 *RFID 카드 리더기를 활용한 근육왕 쇠똥구리, 마라토너 제왕나비, 점프대장 거품벌레, 진딧물 사냥꾼 무당벌레, 흰점박이꽃무지 한약방, 개미대장의 부대 길찾기 등 곤충과 함께하는 흥미진진한 체험이 가능하다. 이현준 군수는 “곤충과 함께 체험하는 색다른 체험관이 완성되어 엑스포를 찾는 관람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예천군 관계자는 “곤충멀티체험관은 예천세계곤충엑스포 기간은 물론 이후에도 많은 관람객들이 방문 할 것으로 기대되며, 곤충멀티체험관이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 잡고 볼거리와 체험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운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예천군에서는 예천곤충멀티체험관 개관에 앞서 지난 22일 어린이들을 초청해 곤충멀티체험관을 사전 견학하며 각종 체험 시설을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체험 참가 어린이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예천곤충멀티체험관 엑스포 앞두고 개관
-
-
봉화군 로컬푸드 직매장 개장
- 지역 농업인의 숙원사업이었던「봉화군 로컬푸드 직매장」이 2년여의 준비 끝에 드디어 6월 30일 오늘 문을 열었다. 이날 개장식에는 관내 기관․단체 대표, 중앙, 도 관련부서, 그리고 농어업회의소 회원 등 총 5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리에 개장식을 가졌다. 이 사업은 2014년도 국비 공모사업인 지역공동체소득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총 27억원의 예산으로 1층은 전시․판매장, 가공선별장, 2층은 사무실, 로컬푸드 교육장 등 최신 건물로 36번 4차선 국도변 한약우프라자 옆에 위치해 있다. 지난 6월 7일 (사)봉화군농어업회의소(회장 배동완)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고, 6월 9일부터 임시개장하여 운영시스템을 점검하고 소비자 성향을 파악하는 등 오늘 개장에 대비 차질없이 준비를 해왔다. 매장에는 출하약정을 맺은 140여 입점자 중 채소를 공급하는 농가는 아침 일찍 수확한 농산물에 가격을 책정해서 매장에 진열하며, 판매가 되지 않은 채소는 농가가 스스로 회수해 신선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가공품 또한 판매 유통기한을 엄격히 준수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쌓아가고 있다. 지역 농업인들은지금까지는 복잡한 유통경로로 흘린 땀에 비해 소득이 낮았으나 수확한 농산물을 유통경로 없이 매장에서 바로 판매를 하기 때문에 농업소득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우수한 농산물 생산에 주력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 사업이 성사되기까지 총력을 다한 박노욱 봉화군수는로컬푸드 직매장이 농업인 여러분의 사업장이라는 주인의식을 가지고 소비자가 신뢰하는 우수한 농산물 생산과 직매장이 농산물 판매와 유통의 거점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직매장을 운영하는 (사)봉화군농어업회의소 배동완 회장은 인사말에서직매장을 적극 홍보하여 관광객 유치와 관내 대량 소비처를 확보하고, 또한 효율적인 경영으로 조기에 정상화시켜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봉화군 로컬푸드 직매장 개장
-
-
봄 향기와 약초향기 가득!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 약령시 개장 358년을 맞아 대한민국 대표 한방문화축제인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가 5월 4일부터 8일까지 대구 약령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이하는 약령시한방문화축제는 약령시 개장 행사를 현대적으로 승화시킨 전통 한의약 축제로,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광객들이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전시·공연·문화·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 운영된다. 올해는 ‘약령거리’, ‘건강거리’, ‘재밋거리’, ‘저자거리’, ‘얘깃거리’ 등 총 5개 부문 60여 개의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약령시축제만의 고유성을 살릴 수 있고 젊은이들과 공감하며 주변 관광지와도 연계되는 색다르고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의학을 통한 전통성 있는 건강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 △대구한의사회 전문 한의사가 일자별로 무료상담을 통해 침, 뜸 체험 등 다양한 한방 특화진료를 선보이는 한방힐링센터를 운영하고, - △사상체질별로 체질 진단기를 통한 체질진단 △전문가에게 체질별 유의사항 등을 조언 받아 각자 체질에 맞는 한방 약차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 △십전대보환, 다이어트환 등 한약사와 함께하는 약령시 한방 환 만들기 △한방족탕체험, 한방미용(마사지) 등 한의학을 통해 생활 속 건강을 챙기고 체험과 휴식이 어우러지는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또한, 젊은 층과 외국인, 가족단위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 △한복 입을 기회를 갖지 못한 젊은 층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의녀복장, 보부상 복장, 궁중의복 등 전통 한복을 체험할 수 있는 한복사진 콘테스트 △약첩싸기, 약재썰기 등 한약방 체험 △젊은 층이 좋아하는 게릴라 버스킹 공연 △아트바이크 게릴라 홍보전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 △분필아트(내가 색칠하는 전통시장) △약찻잔 빚기 △한방비누 만들기 △약초꽃 부채 만들기 △약초꽃 네일아트 등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했다. 대구시 홍석준 미래산업추진본부장은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는 2001년부터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 및 유망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대표 한방 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해가고 있다”며, “올해도 전통 한의약을 널릴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국내·외 관광객들이 축제장을 많이 방문하도록 준비하고 있으니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봄 향기와 약초향기 가득!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
-
봄 향기와 약초향기 가득!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 약령시 개장 358년을 맞아 대한민국 대표 한방문화축제인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가 5월 4일부터 8일까지 대구 약령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이하는 약령시한방문화축제는 약령시 개장 행사를 현대적으로 승화시킨 전통 한의약 축제로,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광객들이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전시․공연․문화․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 운영된다. 올해는 ‘약령거리’, ‘건강거리’, ‘재밋거리’, ‘저자거리’, ‘얘깃거리’ 등 총 5개 부문 60여 개의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약령시축제만의 고유성을 살릴 수 있고 젊은이들과 공감하며 주변 관광지와도 연계되는 색다르고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의학을 통한 전통성 있는 건강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 △대구한의사회 전문 한의사가 일자별로 무료상담을 통해 침, 뜸 체험 등 다양한 한방 특화진료를 선보이는 한방힐링센터를 운영하고, - △사상체질별로 체질 진단기를 통한 체질진단 △전문가에게 체질별 유의사항 등을 조언 받아 각자 체질에 맞는 한방 약차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 △십전대보환, 다이어트환 등 한약사와 함께하는 약령시 한방 환 만들기 △한방족탕체험, 한방미용(마사지) 등 한의학을 통해 생활 속 건강을 챙기고 체험과 휴식이 어우러지는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또한, 젊은 층과 외국인, 가족단위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 △한복 입을 기회를 갖지 못한 젊은 층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의녀복장, 보부상 복장, 궁중의복 등 전통 한복을 체험할 수 있는 한복사진 콘테스트 △약첩싸기, 약재썰기 등 한약방 체험 △젊은 층이 좋아하는 게릴라 버스킹 공연 △아트바이크 게릴라 홍보전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 △분필아트(내가 색칠하는 전통시장) △약찻잔 빚기 △한방비누 만들기 △약초꽃 부채 만들기 △약초꽃 네일아트 등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했다. 대구시 홍석준 미래산업추진본부장은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는 2001년부터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 및 유망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대표 한방 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해가고 있다”며, “올해도 전통 한의약을 널릴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국내․외 관광객들이 축제장을 많이 방문하도록 준비하고 있으니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봄 향기와 약초향기 가득!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
-
-
창원시, 산호공원에 테마공원 조성 추진
- 창원시는 마산합포구 소재 산호공원에 테마공원 조성을 위해 2,800㎡ 규모의 빈 땅에 다년생 화초인 꽃무릇 9만 본을 식재한다고 밝혔다. 꽃무릇은 '석산(한약명)'이라는 한약재로도 쓰이는 수선화과 여러해살이 야생화로 큰 나무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이번 꽃무릇 식재는 지난 2008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현재까지 총 30여만 본의 꽃무릇이 심어져 있으며 창원시는 향후 전국 최고의 '꽃무릇 동산'으로 조성해 관광객도 유치할 계획이다. 노무용 창원시 공원개발과장은 "산호공원은 주민들이 즐겨 찾는 도심지 힐링공간이므로 '시와 꽃이 있는 테마동산'으로 특화해할 계획이다"며 "향후 둘레산책로 추가 조성과 진입로에 보행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등 '관광 창원'의 인프라 구축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창원시, 산호공원에 테마공원 조성 추진
-
-
시민들의 힐링 파트너 황성공원, 명품 숲으로 재탄생
- 경주시민들의 휴식공간이자 힐링의 숲인 황성공원이 새롭게 탄생한다. 시에서는 황성공원 소나무 숲을 명품 숲으로 가꾸고자 15일부터 산책로변 700㎡에 다년생화초인 맥문동 28,000본을 심는다. 맥문동은 한약재로도 쓰이는 키가 작은 여러 해살이 야생화로 소나무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고, 잡초가 자라지 못할 정도로 생장력이 강해 제초에 소요되는 예산 점감효과는 물론 특히 한여름 8월에 만개하는 보라색 꽃은 황성공원의 소나무와 잘 조화를 갖춰 장관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원 내 잡초를 제거하여 깨끗한 도시공원 조성과 맥문동으로 공원 경관 향상과 소나무 곁길로 훼손된 자리의 수목뿌리도 보호되는 등 일석 삼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일부 도시숲조성과장은 “앞으로 연차적으로 식재면적을 확대할 계획이며, 아름답운 우리의 야생화 군락지를 지속적으로 조성하여 소나무 숲의 아름드리 장송의 자태가 어우러진 풍광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공간 제공 등 황성공원이 전국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 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시민들의 힐링 파트너 황성공원, 명품 숲으로 재탄생
산림행정 검색결과
-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국립산림과학원 복령재배시험지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6월 30일(금), ‘복령’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3개 지자체 연구소(강원특별자치도 산림과학연구원,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와 협업하여 전국 4곳에서 지역 적응성 시험 재배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는 임산물로 이뇨작용과 부종 감소, 항암 등의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복령의 새로운 기능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5월 뼈 건강 개선을 위한 골 대사 조절 기능이 뛰어난 복령 균사체를 발굴한 바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뼈 건강 증진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복령의 대량증식 연구도 함께 수행하기 위해 권역별로 시험연구지 3곳을 추가 구축하였다. 이번 복령 시험재배는 내년 9월까지 수행하며, 권역별로 복령 생산량을 분석하여 대량증식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구명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미생물연구과 유림 임업연구사는 “복령이 임업인을 위한 새로운 소득 품목이 될 수 있도록 복령의 건강 증진 물질 탐색과 대량증식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남태헌) 국립나주숲체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이하 한약자원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전남광역치매안심센터대상 항노화 치유사업인 ‘기억을 걷는 숲’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치매예방·관리를 통해 노화로 인해 저하되는 기억력과 신체기능을 보존·향상하고 우울감을 완화하는 등 국민의 건강한 노년 생활영위를 돕고자 마련됐다. 항노화 산림치유 프로그램 “기억을 걷는 숲”은 전남광역 치매안심센터 21개 시·군·구 종사자 대상으로 운영하고, 한의사인 한약자원연구센터 최고야 센터장과 류지효 선임연구원을 초빙, 노화방지·신체기능 향상 등을 위한 한의약 활용법 강연 및 참가자 건강 상담이 진행되었다. 황인욱 국립나주숲체원장은 “치매안심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의학연구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다양한 산림치유 콘텐츠 제공으로 치매·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면서 “앞으로 산림복지선도기관으로써 건강한 노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4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음나무’이다. 음나무는 두릅의 일종이다. 두릅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흔히 알려진 참두릅은 두릅나무의 새순이고,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불린다. 개두릅과 참두릅은 언뜻 보면 구분하기 쉽지 않지만, 자세히 보면 개두릅은 참두릅보다 잎이 진하고 윤기가 있다. 참두릅보다 씁쓸한 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음나무는 손으로 만질 수 없을 정도로 가시가 많다. 가시가 날카롭고 억세 엄하다는 의미로 ‘엄나무’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로 선조들은 음나무 가지를 대문이나 방문에 걸어두어 흉한 기운을 막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 음나무는 다양한 쓰임새를 지니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은 한약명으로 ‘해동피’라고 하며 사포닌, 루틴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을 삶은 물은 혈액 속 당 수치를 낮춰주어 당뇨 개선에 사용하거나, 소염작용에 좋다 하여 관절염, 피부병, 궤양 등에 많이 사용한다. 음나무의 뿌리는 줄기와 함께 한약으로 사용하거나 닭백숙에 넣어 먹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목재 자체의 무늬도 곱고 아름다워 최고급 목재로도 활용된다. 또한, 음나무 순(개두릅)은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A는 물론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 끓는 물에 살짝 데치면 영양성분이 우수한 고급 산채가 된다. 개두릅은 단순히 데쳐 초장에 찍어 먹는 맛도 일품이지만 고기와 궁합이 좋아 삼겹살이나 쇠고기에 말아 먹거나, 장아찌, 전, 솥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10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대추’다.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며 매우 많은 열매를 맺는다. 특이하게도 대추꽃은 반드시 열매를 맺어야만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로 없다. 이런 이유로 대추는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차례상에 대추가 빠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또한, 대추는 간을 보호하고 담즙분비를 유도하여 간의 피로 회복에 좋고, 부기 제거, 혈관 건강 개선, 스트레스 완화, 노화 방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는 수확기인 가을에는 생으로 먹고, 말린 대추는 한약재나 삼계탕 재료 등으로 연중 이용되며, 최근에는 대추호두말이, 대추라떼 등 이색 조리법(레시피)의 대추요리가 개발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천궁기내식물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품질을 가진 식물체를 대량복제 생산할 수 있는 아(芽)배양 조직배양기술로 천궁, 참당귀, 작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산림약용자원의 대표 작물인 천궁, 작약, 참당귀는 한약의 필수 재료로 쓰이며, 면역력 증진 등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뛰어나 생산자와 수요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약용자원이다. 천궁, 참당귀, 작약은 국내에서 약용수종의 전체 생산액(4,990억) 중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천궁 6.5%, 참당귀 4.9%, 작약 25%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병충해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묘목 수급의 문제와 값싼 수입산으로 인해 재배 임가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조직배양 기술은 무균상태에서 조직을 배양하여 건전하고 우량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으며, 초기 식재부터 품질이 우수한 묘종을 만든다는 이점이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묘목 수급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천궁 기외 순화식물체 이 기술을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다른 산림약용자원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산에서 자라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산성 향상, 무병묘 및 고기능성 신품종 개발 등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 창출 및 토종 산림약용자원의 보존 및 보존·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고상현 소장은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면역력 강화 등 우수한 약리성분이 대량 함유되어 있는 약용자원 개발에 노력할 것”이라 말하며, “이와 더불어 국산 약용자원의 우수함을 알리고 산업적 이용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산림약용자원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스마트 온실을 설립중이며, 생육과 성분함량이 증진된 약용자원 개발 등의 연구를 함께 수행할 계획이다. 작약 기내배양식물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참당귀 육성포지 전경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우라나라 전통 약용자원인 참당귀를 대상으로 우량 개체선발을 통해 보다 나은 참당귀 품종을 얻기 위한 고품질 신품종 육성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참당귀의 안정적인 재배와 품질향상, 활용도 확대를 위해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생장이 우수하고 뿌리, 잎, 꽃 등에서 유익한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육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부위를 활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참당귀 품종이 개발될 것이다. 개발된 신품종은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천연물 신약 등의 고기능성 식·의약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배지 변이개체 선발 참당귀는 동의보감 처방 중 500회 이상, 방약합편 처방 중 150회 이상 언급되었으며, 한약 처방에 생강, 감초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용가치가 높은 약용자원이다. 참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의 다년생식물로써 현재는 봉화, 제천, 평창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건조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며, 참당귀의 뿌리는 보혈하는 작용을 하여 주로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항균작용 및 신진대사촉진 등 부인병 치료에 효과가 좋아 여인의 약초로 불린다. 한편, 지금까지의 참당귀 육성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 10월 27일(화)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진행하였으며, 세미나 참석자들과 함께 신품종 조기육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의 박홍우 연구사는 “유망한 산림약용자원의 신규발굴과 품종육성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라고 전하며, “향후 토종 약초인 참당귀의 안정적인 생산과 이용성 다양화로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유망계통 선발 자가수정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일천궁 1년차 첫 재배지 코로나19로 인해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력 증진을 위한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 한약재에서 주로 쓰이는 천궁, 당귀 등 산림약용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천궁은 기후변화에 예민해 해발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고 특히, 연작장해로 인해 매년 재배지를 옮겨 다니는 번거로움으로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 생산량(M/T) : (´97) 2,294 → (´17) 1,290, 재배면적(㏊) : (´97) 789 → (´17) 185 작물의 연작재배는 토양미생물의 다양성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어 토양미생물을 변화시키며, 이는 작물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작물의 연작장해 원인 규명에 필수적이다. 일천궁 3년차 연작 재배지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천궁 재배지의 토양미생물(세균, 곰팡이) 군집분석을 통하여 천궁 연작장해의 원인 중 토양특성과 토양미생물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토양미생물 중 곰팡이 군집은 토양 pH, 칼슘 및 유효인산(P2O5)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작 재배지에서 병원성이 높은 Fusarium균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토양곰팡이 균은 적합한 조건이 되면 시들음병이 발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천궁은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 생육이 저해되며, 시간이 지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어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는 병징을 나타낸다. 연작장해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파악이 매우 어렵다. 이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해 연작장해의 원인을 일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연작장해 원인 규명을 통해 천궁 재배자들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재배지 토양의 건전성 확보에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농학회지 2020년 3월호와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년 6월호에 각각 게제되었다. 일천궁 시들음병 피해 개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
산림청 양구국유림관리소, 전통약용식물 조림으로 부농(富農)을...
- 양구국유림관리소(소장 유인호)는 2016년도 조림사업에 산촌 지역주민과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는 소통 나무심기를 실시한다. 작년 농업관련 유관기관 단체 업무협의회에서 조림 건의된 밀원수종인 아까시나무 3㏊(9천본)를 양구 웅진리 지역에 식재하여 지역 양봉농가에 양질의 꿀을 안정적으로 생산토록 함은 물론, 금년도에는 미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중심 조림사업의 일환으로 전통약용식물인 헛개나무 8㏊(16천본)를 집단 식재하여 임산물의 명품화를 추구할 계획이다. 헛개나무는 숙취해소는 물론 간의 해독물질 제거, 피로회복 등에서 좋아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 많이 찾는 약용식물로, 대규모 집단조림으로 한약재의 안정적 확보는 물론 우리 숲에 대한 관심과 자원으로써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산림행정
- 북부지방청
-
산림청 양구국유림관리소, 전통약용식물 조림으로 부농(富農)을...
산림산업 검색결과
-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국립산림과학원 복령재배시험지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6월 30일(금), ‘복령’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3개 지자체 연구소(강원특별자치도 산림과학연구원,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와 협업하여 전국 4곳에서 지역 적응성 시험 재배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는 임산물로 이뇨작용과 부종 감소, 항암 등의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복령의 새로운 기능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5월 뼈 건강 개선을 위한 골 대사 조절 기능이 뛰어난 복령 균사체를 발굴한 바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뼈 건강 증진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복령의 대량증식 연구도 함께 수행하기 위해 권역별로 시험연구지 3곳을 추가 구축하였다. 이번 복령 시험재배는 내년 9월까지 수행하며, 권역별로 복령 생산량을 분석하여 대량증식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구명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미생물연구과 유림 임업연구사는 “복령이 임업인을 위한 새로운 소득 품목이 될 수 있도록 복령의 건강 증진 물질 탐색과 대량증식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천궁기내식물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품질을 가진 식물체를 대량복제 생산할 수 있는 아(芽)배양 조직배양기술로 천궁, 참당귀, 작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산림약용자원의 대표 작물인 천궁, 작약, 참당귀는 한약의 필수 재료로 쓰이며, 면역력 증진 등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뛰어나 생산자와 수요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약용자원이다. 천궁, 참당귀, 작약은 국내에서 약용수종의 전체 생산액(4,990억) 중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천궁 6.5%, 참당귀 4.9%, 작약 25%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병충해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묘목 수급의 문제와 값싼 수입산으로 인해 재배 임가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조직배양 기술은 무균상태에서 조직을 배양하여 건전하고 우량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으며, 초기 식재부터 품질이 우수한 묘종을 만든다는 이점이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묘목 수급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천궁 기외 순화식물체 이 기술을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다른 산림약용자원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산에서 자라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산성 향상, 무병묘 및 고기능성 신품종 개발 등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 창출 및 토종 산림약용자원의 보존 및 보존·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고상현 소장은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면역력 강화 등 우수한 약리성분이 대량 함유되어 있는 약용자원 개발에 노력할 것”이라 말하며, “이와 더불어 국산 약용자원의 우수함을 알리고 산업적 이용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산림약용자원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스마트 온실을 설립중이며, 생육과 성분함량이 증진된 약용자원 개발 등의 연구를 함께 수행할 계획이다. 작약 기내배양식물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참당귀 육성포지 전경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우라나라 전통 약용자원인 참당귀를 대상으로 우량 개체선발을 통해 보다 나은 참당귀 품종을 얻기 위한 고품질 신품종 육성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참당귀의 안정적인 재배와 품질향상, 활용도 확대를 위해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생장이 우수하고 뿌리, 잎, 꽃 등에서 유익한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육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부위를 활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참당귀 품종이 개발될 것이다. 개발된 신품종은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천연물 신약 등의 고기능성 식·의약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배지 변이개체 선발 참당귀는 동의보감 처방 중 500회 이상, 방약합편 처방 중 150회 이상 언급되었으며, 한약 처방에 생강, 감초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용가치가 높은 약용자원이다. 참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의 다년생식물로써 현재는 봉화, 제천, 평창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건조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며, 참당귀의 뿌리는 보혈하는 작용을 하여 주로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항균작용 및 신진대사촉진 등 부인병 치료에 효과가 좋아 여인의 약초로 불린다. 한편, 지금까지의 참당귀 육성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 10월 27일(화)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진행하였으며, 세미나 참석자들과 함께 신품종 조기육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의 박홍우 연구사는 “유망한 산림약용자원의 신규발굴과 품종육성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라고 전하며, “향후 토종 약초인 참당귀의 안정적인 생산과 이용성 다양화로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유망계통 선발 자가수정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일천궁 1년차 첫 재배지 코로나19로 인해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력 증진을 위한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 한약재에서 주로 쓰이는 천궁, 당귀 등 산림약용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천궁은 기후변화에 예민해 해발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고 특히, 연작장해로 인해 매년 재배지를 옮겨 다니는 번거로움으로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 생산량(M/T) : (´97) 2,294 → (´17) 1,290, 재배면적(㏊) : (´97) 789 → (´17) 185 작물의 연작재배는 토양미생물의 다양성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어 토양미생물을 변화시키며, 이는 작물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작물의 연작장해 원인 규명에 필수적이다. 일천궁 3년차 연작 재배지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천궁 재배지의 토양미생물(세균, 곰팡이) 군집분석을 통하여 천궁 연작장해의 원인 중 토양특성과 토양미생물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토양미생물 중 곰팡이 군집은 토양 pH, 칼슘 및 유효인산(P2O5)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작 재배지에서 병원성이 높은 Fusarium균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토양곰팡이 균은 적합한 조건이 되면 시들음병이 발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천궁은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 생육이 저해되며, 시간이 지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어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는 병징을 나타낸다. 연작장해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파악이 매우 어렵다. 이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해 연작장해의 원인을 일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연작장해 원인 규명을 통해 천궁 재배자들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재배지 토양의 건전성 확보에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농학회지 2020년 3월호와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년 6월호에 각각 게제되었다. 일천궁 시들음병 피해 개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
갈황색미치광이버섯으로 폐암·전립선암 잡는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 산림버섯연구실은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김기현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환각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인 ‘갈황색미치광이버섯’에서 폐암세포와 전립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갈황색미치광이버섯 추출물에서 ‘세스퀴테르펜류(sesquiterpenes)’를 새롭게 발견하였으며, 현재 항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과 상당히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어 새로운 천연 항암치료제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약학회의 약학전문 국제학술지 ‘아카이브즈 오브 파마칼 리서치(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IF 2.49)’ 43권에 발표되었다. 한편, 갈황색미치광이버섯은 섭취 후 30분 이내 정신불안, 인지장애, 공격적인 행동 등이 나타나는 중독증상을 발생시키는 맹독성 버섯으로 야생채취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림소득자원연구과 김만조 과장은 “국민의 건강한 삶을 증진하기 위해 독버섯의 새로운 활용가치를 높이는 약리학적 연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산림버섯이 의약품산업의 신소재로 각광받으며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연구기능을 확대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버섯연구실은 치명적인 독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에서 강력한 유방암 치료물질인 ‘로리딘 E’를 발견한 바 있으며, 앞으로 산림 독버섯의 유용물질을 활용해 새로운 치료산업 소재발굴을 연구할 예정이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갈황색미치광이버섯으로 폐암·전립선암 잡는다
-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림 신품종 육성기술 세미나 개최
-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센터장 이용석)는 11일 민․산․관협의체 운영을 통한 「산림 신품종 육성기술 세미나」를 (사)산림자원육종가협회 회원을 포함한 민간 육종가, 종자업계, 대학, 공공기관, 지자체 및 중앙기관 신품종개발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주시 상록리조트에서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기존 전통적인 육종의 한계를 벗어나 고부가가치 산림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유용성분 분석과 한약자원 개발을 주제로 충남대 박종태 교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우문 박사, 한국한의학연구원 최고야 박사의 특별 강연과 서주조경 유용희 대표의 소나무 육종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12일에는 민간육종가 및 지자체 신품종개발 관계자 30여명이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약용식물원 견학을 하였다. 아울러, 산림분야 식물신품종보호제도가 시행된 이래 품종보호권 제200호 등록품종인 표고 ‘산조715호’에 대한 기념패 증정이 있었으며, 산림 신품종 육성 간담회를 통하여 신품종 개발 촉진 및 종자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산림 신품종 출원건수 : 425건, 품종보호등록 건수 : 208건(2019년 현재 기준) 특히, 본 행사에서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총 4년간 8개소에 조성되는 신품종 재배단지 시범사업의 취지를 설명하고 육종가들과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였다. * 2019년 조성지 : 강원 평창, 경남 하동 이용석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은 “생물주권이 강화되는 국제환경 속에서 육종가의 피땀의 결실인 신품종은 대한민국 임업의 새로운 소득자원이 될 것이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나갈 중요한 자원”이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신품종 개발과 지식재산권 확보 및 육종가의 권익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품종관리센터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림 신품종 육성기술 세미나 개최
-
-
한방산업단지 곰취 채취 행사
- 상주시 한방산업단지는 5월 24일 오전 상주한방산업단지 내 자연약초재배지에서 곰취 채취 행사를 했다.이날 체험 행사에는 한방산업단지와 은척면사무소, 은척면 부녀회 40여명이 함께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한방단지 자연약초재배지에 재배하는 곰취를 채취해 봄으로써 한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곰취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한방산업단지 관계자는 “한약재로 사용되는 곰취를 지속적으로 재배해 한방산업단지 활성화에 기여 하겠다”고 했다.
-
- 산림산업
-
한방산업단지 곰취 채취 행사
-
-
산림약용자원 천궁의 새로운 시듦병 원인균 밝혀!
- 국내 대표 약용자원인 천궁(川芎)은 냉병, 빈혈 및 중풍 치료 등에 쓰는 한약재로 혈관 확장, 항균, 항진균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식물이 감염되면 건전주에 비하여 수확량이 1/3(평균 30%)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안전한 산약초 생산을 위해 중요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川芎)에 시듦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구명했다고 밝혔다. 시듦병원균에 감염된 천궁은 생육 초기에 아래잎부터 시들기 시작하며 시든 잎은 점차 노란색으로 변하는 증상을 보인다. 병든 식물체를 뽑아보면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의 생육이 저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병이 계속해서 진전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고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게 된다. 천궁에 주로 발생하는 식물병으로는 잎마름병, 흰가루병, 점무늬병, 줄기썩음병과 시듦병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천궁의 시듦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푸자리움(Fusarium)속에 속하는 균류로서 주로 토양에 서식하는 식물병원균이며 적합한 조건이 되면 항상 발병하기 때문에 이어짓기를 하는 다른 약용작물에서도 중요한 식물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동안 천궁의 시듦병 원인균으로 알려졌던 것과는 다른 종류의 시듦병 원인균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푸자리움(Fusarium)속에서도 천궁의 시듦병원균은 푸자리움 에스피피(Fusarium spp.)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로 유발된 시듦병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많은 약용작물 중에서 인삼의 뿌리썩음병과 지황의 시듦병이 이 병원균에 의해 발병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황기와 패모에 시듦 피해를 주는 원인균은 푸자리움 옥시스포럼(F. oxysporum)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밝혀진 시듦병원균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면 크고 작은 여러 형태의 포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형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달갈형으로 0∼1개의 격벽(隔壁)을 가지고 있고, 대형 분생포자는 통통한 초승달 모양으로 뚜렷한 3∼6개의 격벽을 가지고 있었다. 또 다른 특징으로 불량한 환경조건에 강해 월동이 가능한 둥근 형태 후막포자를 관찰하였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천궁의 시듦병원균을 구명함으로써 약용작물 천궁의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에 대해 적극적인 방제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며 “앞으로도 약용작물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원균의 지속적인 동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재배자들과 협력하여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산림약용자원 천궁의 새로운 시듦병 원인균 밝혀!
-
-
약용자원 천궁(川芎) 지키는 해충 방제법 마련한다
- 국내 대표적 약용자원인 천궁(川芎)은 어혈(瘀血)을 풀어주고 기운을 돌리며 풍을 쫓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어 한약재로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알려지지 않은 해충들이 나타나면서 작물피해가 늘어나고 있지만, 적합한 방제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시행된 PLS(농약허용물질목록제도)의 시행으로 약용작물 재배자들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대표적 약용자원인 천궁(川芎)잎에 피해를 주는 총채벌레류의 종류와 분포 비율, 그리고 미보고 해충의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고 알렸다. 그 동안 도라지, 더덕, 시호 등의 약용작물에 발생하는 총채벌레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된 적이 있지만 천궁류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일반적으로 총채벌레는 참당귀, 천궁을 비롯한 약용작물의 잎, 꽃, 줄기 등 다양한 부위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증식력이 강하고 약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이 매우 높아 방제가 어려운 해충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일천궁과 토천궁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류는 모두 6종으로 기주작물에 따라 분포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대표적으로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가 천궁에 가장 많은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천궁에서는 대만총채벌레>꽃노랑총채벌레>미나리총채벌레>볼록총채벌레>대관령총채벌레>파총채벌레 순이었지만, 토천궁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대만총채벌레>미나리총채벌레>볼록총채벌레>대관령총채벌레>파총채벌레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천궁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던 대관령총채벌레(Anophothrips obscurus), 미나리총채벌레(Thrips nigropilosus), 그리고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등의 해충도 발견하였다. ‘대관령총채벌레’는 온난지역에 분포하면서 주로 벼, 옥수수 등의 벼과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높은 생식능력으로 빠르게 개체군을 형성하여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나리총채벌레’는 북반구에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종류의 식물을 가해하는데 일본에서는 국화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볼록총채벌레’는 오미자와 감귤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동안 어떤 해충의 피해인지 밝혀내지 못했던 해충을 찾아내 적합한 방제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었으며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천궁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해충의 다양성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올해부터 시행된 PLS의 시행으로 약용작물 재배자들의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당귀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천궁에서 총채벌레류의 종 동정, 분포비율 및 미보고 해충 구명은 병해충 친환경 방제에 도움이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산림약용작물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지속적인 동정과 친환경 맞춤형 방제법 연구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배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약용자원 천궁(川芎) 지키는 해충 방제법 마련한다
-
-
국립산림과학원, 국내산 약용소재 표준 데이터 ‘천연물지도’ 만든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적 약용자원인 참당귀와 일천궁에 대해 재배지역별로 생육환경에 따른 유용 성분의 함량 차이를 분석하여 약용소재의 고품질화와 천연물의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천연물지도를 작성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자생 산림약용자원을 비롯한 국내산 약용소재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고기능성 약용소재 자원을 발굴하고자 2017년부터 주요 약용자원을 대상으로 천연물지도 작성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천연물지도란 국내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산림약용자원을 대상으로 지역과 시기, 식물체 부위와 토양 특성별로 유용물질인 지표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전국 천연물 분포도를 말한다. 최근 천연물의약,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 글로벌 천연물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 맞춰 천연물 원료소재의 품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약용소재에 포함된 지표성분 혹은 유용성분은 원료소재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규격 한약재의 경우 지표성분이 일정 함량 이상 함유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참당귀는 봉화, 평창을 비롯한 전국 13지역의 재배지와 자생지를 대상으로 항산화와 항암 등의 약효를 포함한 지표성분인 3종(노다케닌,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의 총함량을 분석한 결과 3.54~8.42%로 재배지역에 따라 크게는 2.3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생지의 야생 참당귀는 재배지보다 평균 1.5배 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천궁은 영양과 봉화를 비롯한 6개 재배지를 조사하였으며, 주요성분인 3종(리구스틸라이드, 클로로겐산, 페룰산)의 총함량을 분석한 결과 0.13~0.51%로 크게는 3.9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기상요인, 토양특성 등 재배환경이 유용 성분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고품질의 우수한 약용소재 생산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크다. 천연물지도 작성 연구는 원료소재 단계에서부터 유용성분의 표준화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여 국내 약용자원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함으로써 원료 소재 수입 대체 및 경쟁력 확보하고, 국내 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천연물 소재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최근 잦은 기상이변과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약용자원의 재배, 생산 및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정적인 고품질의 약용소재 생산과 재배적지 구명 등 재배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천연물지도 작성 대상 품목은 시장수요, 생산량, 시급성, 산업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향후 독활, 산수유, 작약, 산겨릅나무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천연물지도를 작성해 나갈 예정으로, 약용소재의 유용성분 함량은 기상과 재배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주요 재배지를 기반으로 향후 5년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주요 약용소재를 대상으로 한 천연물지도 작성을 계기로 국내산 약용소재 품질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고부가 산림약용자원의 발굴 및 산업화 활용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며, “성분, 환경요인, 기능성 구명 등 체계적인 연구수행를 통해 산림약용자원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을 위한 국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국립산림과학원, 국내산 약용소재 표준 데이터 ‘천연물지도’ 만든다
-
-
한국임업진흥원, 대추산업발전 및 소득증대를 위한 혁신 세미나 성료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11월 30일(금), 대전에서 현장 노하우 공유를 통한 대추임가 소득 증대 및 혁신적인 대추 산업 발전을 위해서 「대추산업발전 및 소득증대를 위한 혁신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추산업발전 혁신 세미나는 유관기관, 임업인 등 약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본 세미나는 국민 참여를 통해 대추산업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앞으로 대추산업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를 위해 개최됐다. 세미나에서는 산림경영전략연구소 김재성 대표의 “임업통계로 보는 대추 생산량 변화 및 재배 임가 특성”, 한반도농원 최덕현 대표의 “대추 가공과 마케팅 전략” 등의 발표가 있었으며, 참석자들의 대추산업 현황과 각자의 재배 노하우⋅대추산업 발전을 위한 의견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참석자들은 “현재 대추가 주로 제수용⋅한약재⋅식자재 등으로 거래되는데, 대부분 마른 대추로 유통되어 소비가 제한적인 상황”이라면서, “대추산업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대추 가공품 개발⋅지원 및 홍보가 절실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한, 비가림 재배지 조성을 통한 열과 방지 등이 고품질 대추재배를 위한 비법이라고 설명했다. 구길본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대추산업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임업인과 분야별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당면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대추재배임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 대추산업발전 및 소득증대를 위한 혁신 세미나 성료
-
-
건강임산물 ‘복령’에서 새로운 항암물질 발견
- 소나무 뿌리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는 버섯인 ‘복령’에서 폐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이 발견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은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김기현 교수 연구팀(의과대학 백관혁 교수)과 공동연구를 통해 복령의 균핵에서 폐선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항암물질을 발견하고 약리효과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의 2015년 통계에 따르면 폐암은 국내 암 발생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 폐선암은 폐암 중 발생률이 약 44%로 발생 환자가 가장 많은 암종이다. 공동연구팀은 복령의 균핵으로부터 분리한 4가지 천연화합물*로 폐선암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여 암세포 자살을 유도하는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복령의 균핵은 복령이 땅속에서 생장하면서 소나무 뿌리로부터 공급받는 영양물질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이번 연구는 복령 균핵 성분의 명확한 화합물 구조를 밝히고, 항암유전자 피오십삼(p53)의 상태와 관계없이 다양한 폐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건강임산물로 알려진 복령은 국내 한약재 시장 내 상위 10개 품목 중 하나로 국내에서 한해 평균 약 1,200톤이 소비되며 100억원대의 소비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복령의 성분이 명확하게 표준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복령 산업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복령에서 새롭게 발견된 물질이 산림바이오산업의 표준원료로 이용되도록 복령의 재배 표준화와 추출물 분리의 표준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분자생물학분야 전문 학술지 ‘셀(Cells)’의 7권 116호에 실렸다. 김세현 산림소득자원연구과장은 “산림생명산업의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산림버섯의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밝히는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국내산 복령의 표준재배법 개발로 임업인 소득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건강임산물 ‘복령’에서 새로운 항암물질 발견
-
-
산림약용자원 산업화 연구의 초석을 다지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은 29일(화) 경북 영주에 위치한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 산림생명자원 이용 활성화 및 산업화를 위한 ‘산림약용소재 품질관리 및 표준화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세미나에서는 산림약용자원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천연물 지도 작성 연구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산업화 활용 기반을 다지기 위해 약용자원의 품질관리 및 표준화와 관련된 전문가들을 초청했다. 내용으로는 약용자원의 효능과 품질 연구를 위한 한약 기원의 중요성(경희대학교 김호철 교수), 대사체분석을 이용한 약용소재 표준화(고려대학교 이동호 교수), 한약(생약) 품질관리를 위한 공정서 기준규격의 이해(식약처 생약연구과 심영훈 박사), 유용 산림약용자원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천연물 지도 작성(국립산림과학원 김나현 박사) 등의 주제발표와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 활용 전략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약용소재의 정확한 품질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소재 확보와 원료소재 표준화를 바탕으로 천연물 지도를 작성해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앞으로도 산림생명자원의 산업화 활용 연구를 선도하는 국가연구기관으로서 약용소재의 품질관리 및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에 주력할 계획이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산림약용자원 산업화 연구의 초석을 다지다!
-
-
국립산림과학원, '선비먼지버섯' 공식적 신종 등록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비무장지대에서 처음 발견되어 국내에서만 신종으로 기록되었던 ‘선비먼지버섯’이 국제적으로 공식적인 신종인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나무의 뿌리와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외생균근균류인 ‘선비먼지버섯(Astraeus ryoocheoninii)’은 국립산림과학원이 비무장지대 및 근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1995년~2000년)를 통해 처음 발견하여 국내학술지에서만 기록되었던 종이다. 국제적으로 신종으로 등록된 ‘선비먼지버섯은’ 세계적인 버섯분류 학술지 ‘Mycotaxon’의 132호 표지모델로 선정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신종 버섯 인정으로 ‘선비먼지버섯’을 국제적으로 알려 국가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높였다고 전했다. ‘선비먼지버섯은 ’Astraeus koreana’로 1999년 한국균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으나, 새로운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기술로 지리적 환경이 비슷한 일본과 북한 지역에서 발견된 비슷한 이름 및 특징을 가진 종(種)과의 차이점을 밝혀 새로운 학명으로 등록하였다. 먼지버섯 속(Astraeus sp.) 버섯은 한약재 정보를 담은 본초도감에서 산해(山蟹), 지지주(地蜘蛛) 등으로 불리며, 버섯의 포자는 출혈이 있는 외상부위에 지혈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발표된 신종 먼지버섯도 지혈 및 소염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유용성 검증 연구를 통해 산림생명 산업의 신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생태계 보고(寶庫)로 알려진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산림생명자원은 이 지역의 생태계 보존을 위한 연구와 더 나아가 북한 산림생태계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제적인 협약에 따라 생물자원으로 발생한 이익을 국가 간 분배하고자 하는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새로운 산림생명자원의 발굴은 생물주권 강화의 차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화학미생물과 이성숙 과장은 “이번 신종 발표는 우리나라 산림생물종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높이고, 산림생명산업 분야의 미개척 연구 분야인 버섯을 소재로 국가 생물주권 강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국립산림과학원, '선비먼지버섯' 공식적 신종 등록
-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국산 한약재 고품질화로 4차 산업혁명 선도!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소장 김만조)가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연구단(단장 김철)과 자생 산림약용자원을 활용한 국산 한약재의 판로확보를 위하여 공동연구와 정보 교류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6일(월)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두 기관은 자생 산림약용자원의 특성 및 효능연구를 통하여 저가(低價)의 수입 한약재를 대체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서 국산 한약재가 우위를 점하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국산 한약재의 기원종(起源種) 검증체계와 수급(需給) 안정화 및 고품질화 기술 개발 등의 연구에 집중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생물자원의 4차 산업혁명이 부각되고 있는 지금, 이번 협약 체결을 계기로 두 기관이 상호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국내 산림약용자원 소재를 개발하고 고품질의 국산 한약재가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와 세계화 선도를 위하여 공동연구와 정보 교류 활성화를 통해 기관 소통의 장을 넓히고 산림약용자원연구소가 대한민국 복지와 산림치유 클러스터의 중심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국산 한약재 고품질화로 4차 산업혁명 선도!
-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주를 대표하는 1월의 꽃과 새 선정
- 추운 겨울 속 제주도의 아름다운 숲을 대표하는 1월의 꽃과 새로 ‘통탈목’과 ‘딱새’를 선정했다. 통탈목(Tetrapanax papyriferus)은 타이완과 중국남부가 원산지인 두릅나무과의 작은키나무로 높이 2∼4m 정도 자란다. 잎은 가지 끝에서 모여 나며, 지름이 50∼75㎝로 매우 크다. 잎몸은 손 모양으로 갈라지고 잎자루와 더불어 연한 갈색의 털이 조밀하게 난다. 꽃은 암수한꽃으로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연한 황백색으로 핀다. 열매는 구형으로 2∼3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줄기의 속 부분은 통초라 부르며 한약재로 이용된다. 제주도에서는 오래전부터 민가에서 심어 자라던 것이 널리 퍼져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한라산의 해발 600m까지 그 분포 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딱새(Phoenicurus auroreus)는 참새목 솔딱새과의 새로, 겨울에 제주도를 찾아오는 철새이다. 크기는 15cm 정도이고 수컷과 암컷의 몸빛깔이 다르다. 수컷은 뒷머리가 회색, 뺨과 목, 날개 등은 검은색, 가슴과 배는 주황색이며, 날개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반면에 암컷은 몸이 전체적으로 갈색을 띤다. 앉아있을 때 꼬리를 위아래로 까딱까딱 흔들며 ‘딱딱’소리를 낸다. 주로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데 겨울에는 피라칸다 열매를 먹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저지대 곶자왈에서부터 한라산 정상까지 제주도 전역의 덤불이나 숲 가장자리에 주로 서식한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제주도의 아름다운 숲의 가치를 알리고, 숲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확산하고자 매월 이달의 꽃과 새를 선정하고 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주를 대표하는 1월의 꽃과 새 선정
-
-
산림청 국립수목원, 희귀 지의류 ‘송라’, 한라산 분포 최초 발견
-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의 연구팀이 지난달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에서 희귀 지의류인 ‘송라’를 최초로 발견하였다. ‘송라’는 우리나라에서는 3종만 발견된 희귀한 지의류이다.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지리산과 오대산에 주로 서식한다. ‘송라’는 고가의 한약재로 소나무겨우살이, 송라버섯 등의 이름으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체인 지의류이다. 안개가 많이 끼는 절벽이나 나무(침엽수, 진달래 등)에 착생하며 가느다란 실가닥 모양으로 자란다. ‘송라’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30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문헌에는 13종이 보고 되어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채집을 통해 실체를 확인한 것은 3종*에 불과하다. * 송라(Usnea diffracta), 붉은수염송라(Usnea rubrotincta), 솔송라(Usnea hakonensis) 이번에 발견된 지의류의 학명은 Usnea diffracta Vain.로 정식 국명은 ‘송라’이다. 2001년 제주도 천아오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15년 만에 다시 발견된 것이며, 한라산에서 생육하는 것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국립수목원은 제주세계유산센터 한라산연구부와 협업으로 지난 4월부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의 버섯상과 지의류상을 연구하고 있다. 2019년까지 총 4년간 연구를 함께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희귀지의류인 ‘송라’가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는 것은 한라산이 세계유산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생물다양성의 보고임이 확인된 것이다.”라고 감회를 표하며, “앞으로도 국립수목원과 제주세계유산센터 한라산연구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산림생물자원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산림청 국립수목원, 희귀 지의류 ‘송라’, 한라산 분포 최초 발견
-
-
산림청 국립수목원, 약용식물 식별 길잡이 프로그램 운영
-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8월 11일부터 9월 1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 「약용식물원」에서 폐, 기관지에 좋다고 알려진 식물을 전문가와 함께 둘러보는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국립수목원 「약용식물원」은 인체부위별 약용식물, 생활 속 약용식물, 남성과 여성에 좋은 약용식물이라는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382분류군을 보유하고 있다. 이 시기에 꽃으로 만나 볼 수 있는 식물은 고본, 냉초, 노루오줌, 도라지, 마타리, 범부채, 바디나물, 시호 등이 있으며 전문가의 도움으로 인체 부위별로 좋은 약용식물을 식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참가자들에게는「폐, 기관지에 좋은 약용식물」자기 안내서가 제공되며, 약용식물 세밀화와 함께 생약명, 효능, 서식지 및 재배 특성 등을 자세히 소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8월 11일부터 9월 1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 국립수목원 내 난대온실 앞에서 시작한다. 20명 선착순으로 진행하며 참가 신청은 전자우편(aganolee@korea.kr)으로 하면 된다. 국립수목원을 방문한 관람객은 정문 매표소 또는 방문객안내센터에서 「약용식물원 길잡이Ⅰ, 폐·기관지에 좋은 약용식물」을 책자로 받거나,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식물학과 의학의 발달을 이끈 약용식물을 한 자리에 모아둔 「약용식물원」은 우리 자원식물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전시원이다.”라고 강조하며, “수목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 결과를 해설 프로그램과 안내서로 관람객과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산림청 국립수목원, 약용식물 식별 길잡이 프로그램 운영
-
-
산림청 국립수목원, 능소화 유해성 연구결과 발표... 꽃・잎・줄기 등 독성 없어 안전
- 대표적인 여름 꽃인 능소화의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 위험이 있다는 논란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K. Schum, 능소화과)는 예로부터 담벼락이나 큰 나무 밑에 관상용으로 즐겨 심어 왔으며, 최근에는 도시의 건물이나 아파트, 도로변에 벽면녹화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덩굴성 목본식물이다. 최근 능소화 꽃가루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온라인을 통해 확산되고 있어, 어린이들이 많은 학교 주변이나 집안의 정원에 심어도 되는지에 대한 민원이 많았다. 일부 문헌에 따르면 “능소화 꽃가루의 미세구조가 갈고리 모양이어서 피부나 점막에 닿으면 잘 떨어지지 않고 염증을 유발하며, 눈에 들어가면 결막염,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나와 있어 그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능소화 꽃가루와 관련된 논쟁에 대한 진실을 구명하기 위해 능소화 꽃가루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조사한 결과, 능소화의 꽃‧잎‧줄기‧뿌리 등에는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능소화 꽃, 잎 등 부위별 추출물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모든 농도에서 9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즉, 꽃‧잎‧줄기 등에는 독성이 없어 약용으로 섭취해도 안전하다. 이는 한약재로 쓰이는 감초, 고삼, 백선피 추출물을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했을 때보다 세포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익모초, 헛개나무 등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다만, 꿀샘에서 분비되는 꿀(화밀, 花蜜)의 경우 24시간 처리했을 때는 세포독성이 없으나, 48시간 이상 장시간 처리한 경우에는 일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어 오래된 꿀을 먹거나 장시간 피부 노출시에는 주의를 해야한다. 또한, 능소화 꽃가루는 표면에 가시 또는 갈고리와 같은 돌기가 있는 형태가 아닌 매끈한 그물망 모양을 하고 있어, 바람에 날리기 어려운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사람의 눈에 들어갈 확률이 낮고, 들어간다 하더라도 피부나 망막을 손상시키는 형태적 구조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은 바람에 의해 꽃가루가 날리는 풍매화가 대부분이나, 능소화 꽃가루는 꿀벌, 뒤영벌, 호랑나비 등의 곤충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지는 충매화로 확인되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일반적으로 능소화과(科) 식물 중에는 화밀에 페놀 수지(phenolics), 이리도이드 배당체(iridoid glycosides) 등의 독성성분이 소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며, 하지만, “피부 접촉 시 알레르기 또는 피부염증을 유발하거나 몸에 치명적인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심어 사용하기에 크게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산림청 국립수목원, 능소화 유해성 연구결과 발표... 꽃・잎・줄기 등 독성 없어 안전
-
-
약용식물관리사
- ■ 자격증 소개 약용식물의 전문적인 재배(생산)로 우수하고 고른 품질과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약용식물을 확보하고, 이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환경 조건을 형성하고, 순조롭고, 환경 친화적 관리와 아울러 엄격한 관리의 방법을 연구 탐색하며 모든 재배 과정의 철저한 기록ㆍ관리로 최고 품질의 약용식물을 배급하여 국민 건강 유지를 궁극적 목적으로 하여 행하는 자를 일컫는다. 뿐만 아니라, 약용식물의 재배 및 관리에 있어서 보다 현대적이고 전문화시켜 이에 대한 신지식ㆍ신개념의 개발에 전념하고, 관련 산업의 전문적인 경영관리 능력을 갖춘자를 말한다. ■ 진로 및 전망 약용식물은 질병의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서의 목적, 경제발전의 속도에 맞추어 식품, 화장품 등의 원료로서 그 용도와 사용량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최근 20년동안의 약용자원식물의 수출입실적을 볼 것 같으면 1995년의 수출실적 이 1975년에 비해 물량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금액면에서 2.4배 증가 하였으나 수입물량은 1995년이 1980년에 비해 14.2배 증가하였고 수입금액은 6.3 배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거의 많은 약용식물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중국산 약용식물이 무차별로 수입되어 농약, 중금속 오염등이 심각하여 약용 식물로서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독약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의 천연 약용식물의 재배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주요 약용식물의 재배실적을 보면 1994년 생산량으로 볼 때 당귀, 작약, 길경 (도라지), 사삼(더덕), 산약(마), 두충, 천궁, 독활, 구기자, 황기의 10개품목이 1000M/T이상을 생산하였고, 1995년은 당귀, 작약, 길경, 황기, 사삼, 천궁, 산약, 두충, 의이인, 향부자의 10개 품목이 1,000m/t이상을 생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약용자원식물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인삼이며 이는 전매품종으로 되어 있어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별도로 취급하고 있다. 약용식물은 제약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95년 전체 제약시장에서 약초와 중약제품(중성약)이 33.1%를 차지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96년 국민전체가 제약에 지출한 비용 중 약 28%를 한방 관련에 약용식물에 차지하였다. 이렇듯 약용식물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약용식물에 대한 수요 증가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 수행직무 약용식물관리사의 직무범위는 파종. 재배. 수확. 선별. 세척. 건조 등의 관리 직무와 약용식물의 포장, 보관 및 저장, 품질관리, 위해요소관리 등의 경영 직무, 약용식물을 포제 즉, 효능의 변형을 주어 또 다른 효능을 창출할 수 있는 활용 직무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 약용식물관리사시험과목 및 출제비율 ○ 과목 문항수 시험시간 약용식물학 개론 20 문항 100 분 약용식물학 각론 20 문항 약용식물의 관리 20 문항 약용식물의 활용 20 문항 약용식물 관련법규 20 문항 ○ 약용식물관리사합격기준 1. 4지선다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필기시험 매 과목당 40점 이상 총점 평균 60점 이상인 자. 2. 단,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전문인이 적정인원을 초과할 경우 선발 인원을 공고 후 상대평가로 시행할 수 있다 ○ 약용식물관리사가산점 -2% 대상자 한방미용학과, 한약학과 등 관련 전공자로 2년 이상 수료한 자. -3% 대상자 한방피부관리사, 한약사, 한약업사 등의 관련 자격증 소지자.
-
- 산림산업
-
약용식물관리사
산림복지 검색결과
-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남태헌) 국립나주숲체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이하 한약자원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전남광역치매안심센터대상 항노화 치유사업인 ‘기억을 걷는 숲’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치매예방·관리를 통해 노화로 인해 저하되는 기억력과 신체기능을 보존·향상하고 우울감을 완화하는 등 국민의 건강한 노년 생활영위를 돕고자 마련됐다. 항노화 산림치유 프로그램 “기억을 걷는 숲”은 전남광역 치매안심센터 21개 시·군·구 종사자 대상으로 운영하고, 한의사인 한약자원연구센터 최고야 센터장과 류지효 선임연구원을 초빙, 노화방지·신체기능 향상 등을 위한 한의약 활용법 강연 및 참가자 건강 상담이 진행되었다. 황인욱 국립나주숲체원장은 “치매안심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의학연구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다양한 산림치유 콘텐츠 제공으로 치매·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면서 “앞으로 산림복지선도기관으로써 건강한 노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기타공공기관 지정
- 산림복지 전문기관인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윤영균)이 올해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지난 25일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의 ‘2017년도 공공기관 지정’에 따라 기타공공기관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31일 밝혔다. 기재부의 공공기관 지정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공운법)’ 제4조 내지 제6조에 따라 이뤄지는 절차로써 올해에는 총 332개 기관이 공운법에 따른 관리 대상으로 확정됐다. (공기업 35개, 준정부기관 89개, 기타공공기관 208개) * 공기업 : ('16) 30개 → ('17) 35개 (+5개) * 준정부기관 : ('16) 89개 → ('17) 89개 (변동없음) * 기타공공기관 : ('16) 202개 → ('17) 208개 (+6개) 올해 공공기관 지정요건(공운법 제4조)이 충족돼 신규로 지정된 기관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을 비롯해 총 13개 기관이다. * 기타공공기관(13) : 한국재정정보원, 한국저작권보호원,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약진흥재단, 국립부산과학관, 경북대학교치과병원, 한전 의료재단법인 한일병원,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환경보전협회, 사단법인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재)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재단법인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특히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따라 2개 기관이 지정 해제, 5개 기관이 공기업으로 변경 지정됐다. * 지정해제(2) : 녹색사업단, 기초전력연구원 * 변경지정(5) : 그랜드코리아레저,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KPS, 한국가스기술공사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해 4월 개원한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이번 공공기관 지정으로 개방‧공유‧소통‧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하고 체계적인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전망이다. 또한, 공운법을 비롯해 ‘공공기관의 통합공시에 관한 기준’ 등의 적용으로 경영공시 및 고객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국가시설 운영‧관리의 책임성 및 투명성 제고, 방만 경영 방지, 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기타공공기관은 공운법 제5조의 규정에 따라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하는 공공기관 중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제외한 기관을 말한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기타공공기관 지정
-
-
한국한의학연구원, 둘레길 본초탐사대 1기 결성
- 한국한의학연구원은 1994년 한국한의학 연구원법 제정 공포(법률 4758호)에 의거하여 설립이 되었고, 당시는 서울 소재로 설립되었으나, 2004년 2월에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으로 청사이전이 되었다. 현재는 과학기술부산하 기초기술연구회 소속으로 되어 있는 정부출연연구원이며, 2011년 8월 제 7대 최승훈 원장이 취임하여 “한의학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건강한 삶에 공헌한다”는 사명과,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한의학의 과학화와 표준화를 선도하여 세계 최고의 전통의학 연구기관으로 비상한다”는 비전을 세웠다. 올 8월 중순에는 KIOM 둘레길 본초탐사대 1기를 결성하여, 전국의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향약과 본초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최근에는 향약표본관을 정식으로 개관 할 예정에 있에 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는 한약뿐 아니라, 한의의료기술, 한의문헌정보 등 많은 분야에서 한의학적 관점으로 연구하고 있는 기관이다. 그리고 한의기술표준체계구축, 한의기술원천기술개발, 한의정보소재인프라 구축 바탕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한의학의 과학화, 표준화, 세계화를 위해 줄기차게 노력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
- 산림복지
-
한국한의학연구원, 둘레길 본초탐사대 1기 결성
-
-
지역사랑! 그 세 번째 실천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성부근) 검마산자연휴양림팀에서는 ‘지역발전을 위한 3자 자매결연 협약’에 따라 포항해송로타리클럽과 함께 영양군 수비면 주민들을 위한 3차 종합봉사활동을 실시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7년 1월 28일 국립검마산자연휴양림은 국제민간봉사단체인 로타리클럽(포항해송로터리클럽),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과 함께 산림문화행사, 의료봉사활동, 독거노인 경로잔치 등의 상호공동 관심분야의 협력을 내용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3자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고 두 차례에 걸쳐 종합봉사활동을 실시한바 있다. 이번 3차 종합봉사활동은 2008년 11월 16일(10:00~15:00) 영양군 수비면 사무소와 수비면 일대에서 포항해송로타리클럽 회원 30여명과 칠보산, 검마산자연휴양림팀 등 총 50여명 함께하여 양․한방 의료봉사, 법률상담 및 농촌지원 봉사활동으로 이원화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의료봉사활동에는 오지에 살고 있어서 몸이 아파도 병원을 찾기가 힘든 주민들을 위해서 봉사활동 중에 소요되는 한약 등의 약제비와 침술비 등을 모두 무료로 할 계획이다. 또한, 종합봉사활동에는 의료봉사활동이외에도 현역 변호사가 참여하는 무료 법률상담과 독거노인을 위한 집수리 봉사활동 및 겨울을 따뜻하게 지내게 할 옥돌매트를 선물할 계획이어서 차가워지는 날씨 속에 훈훈한 인정을 나누는 봉사활동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3차 종합봉사활동을 계획․추진 중인 칠보산자연휴양림팀의 현재혁 팀장은 “지역발전을 위한 3자 자매결연 협약의 약속이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이어질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더욱 노력하여 종합봉사활동이 지역사랑의 표본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지역사랑! 그 세 번째 실천
산림환경 검색결과
-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일천궁 1년차 첫 재배지 코로나19로 인해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력 증진을 위한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 한약재에서 주로 쓰이는 천궁, 당귀 등 산림약용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천궁은 기후변화에 예민해 해발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고 특히, 연작장해로 인해 매년 재배지를 옮겨 다니는 번거로움으로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 생산량(M/T) : (´97) 2,294 → (´17) 1,290, 재배면적(㏊) : (´97) 789 → (´17) 185 작물의 연작재배는 토양미생물의 다양성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어 토양미생물을 변화시키며, 이는 작물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작물의 연작장해 원인 규명에 필수적이다. 일천궁 3년차 연작 재배지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천궁 재배지의 토양미생물(세균, 곰팡이) 군집분석을 통하여 천궁 연작장해의 원인 중 토양특성과 토양미생물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토양미생물 중 곰팡이 군집은 토양 pH, 칼슘 및 유효인산(P2O5)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작 재배지에서 병원성이 높은 Fusarium균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토양곰팡이 균은 적합한 조건이 되면 시들음병이 발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천궁은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 생육이 저해되며, 시간이 지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어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는 병징을 나타낸다. 연작장해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파악이 매우 어렵다. 이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해 연작장해의 원인을 일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연작장해 원인 규명을 통해 천궁 재배자들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재배지 토양의 건전성 확보에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농학회지 2020년 3월호와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년 6월호에 각각 게제되었다. 일천궁 시들음병 피해 개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
봉화군서 신품종 우리 ”지황” 재배 성공
- 지난 29일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국내 지황산업 생산기반을 구축할 지황(쌍화차, 십전대보탕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약용작물임) 신품종 재배가 봉화지역 농가에서 성공하였다고 전했다. 이는 저가의 외국산 지황 수입으로 가격경쟁에서 뒤져 재배농가가 점점 사라졌던 국내 지황산업에 봉화군을 시작으로 국내 지황산업 생산기반을 구축하는데 있어 큰 일조를 할 전망이다. 현재까지 농촌진흥청에서는 국내에 적응하는 지황품종을 3품종 육성하였으며, 그중 '대경(2002)'은 기존 '고려지황'보다 수량이 56% 증수되는 품종으로 특히 약용으로 이용하는 근경이 굵어 상품성이 높은 특성이 있으며, '고강(2005)'은 병에 강하면서 주요성분인 catalpol 함량과 엑스함량이 높은 신품종이다. 지난 25일 봉화군농업기술센터(소장 박만우)와 공동으로 현장평가회를 실시한 결과 '고강'과 '대경' 모두 논, 밭에서 성공적으로 재배되어 봉화지역의 새 소득 작물로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0a당 생근 수량은 '고강' 품종은 1,816kg, '대경'은 1,428kg 정도로 나타났고, 소득은 약 360~490만원이 될 것으로 추산되었다. 하지만 뿌리썩음병(근부병) 피해 방제를 위해 토양개량에 주의가 요구되었으며 습해에 매우 취약해 품종에 적합한 지속적인 재배법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진청은 "지난 3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실시한 자료에 의하면 중국산 수입 숙지황에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허용 기준치인 5ppb보다 높게 다량 검출되어 한약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으며 안전한 국산 지황의 생산 및 공급기반 구축이 절실한 실정이다."라고 덧붙여 전했다.
-
- 산림환경
- 산사태
-
봉화군서 신품종 우리 ”지황” 재배 성공
목재이용 검색결과
-
-
나무야, 반가워! 그리고 고마워 !
- 정관박물관(관장 성현주)은 5월 1일부터 10월 28일까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과 함께 ‘나무’를 주제로 한 어린이 체험형 전시 ‘나무를 만나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늘 우리 가까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특별히 관심을 갖거나 이해하려 하지 않았던 ‘나무’를 여러 가지 체험을 통해 만나볼 수 있도록 꾸며진 이번 전시는, 어린이들의 ‘나무’에 대한 관심과 이해,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무를 만나다’ 특별기획전은 전시실 입구에 조성된 숲길을 따라 들어서서 가장 처음 접하는 ‘나무의 일생’에서는 나무의 모습을 살피고 관찰하는 등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나무, 나무와 함께 살아가는 곤충과 동물 친구들에 대해 알아보고, 나무가 우리에게 주는 각종 혜택, 나무로 만든 반닫이·경상 등 전통가구와 제기·다식판 등 살림살이들을 전시하여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서 나무가 어떻게 쓰였는지 등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다채롭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아이들이 몸으로 체험하면서 나무를 오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을 곳곳에 마련했다. 통나무를 이용한 톱질·대패질, 장작패기, 마룻장 깔기 체험, 나무로 만든 악기와 생활용품을 체험하는 한옥 재현 공간, 나무촉감, 한약재 후각 체험 등에서 직접 보고만지고 냄새 맡으면서 우리 생활 속 나무의 다양한 쓰임과 활용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또 나무 블럭과 자석놀이가 갖추어진 나무놀이터에서는 아이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서 자연스럽게 나무와 친해질 수 있도록 했다. 정관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어린이들을 주 대상으로 한 체험형 전시로 기획되었지만, 동반한 어른들 역시 즐겁게 관람하면서 나무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깨달을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전시는 혼잡을 피하기 위해 인터넷 예약제로 운영되며, 정관박물관 홈페이지(https://reserve.busan.go.kr)에서 신청 가능하며 회당 관람인원은 30명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나무야, 반가워! 그리고 고마워 !
오피니언 검색결과
-
-
고온다습한 여름철 더욱 나빠지는 메니에르병
- 메니에르병은 어지럼증, 청력저하, 이명, 귀 먹먹함을 주증상으로 하는 귀 질환이다. 유병률이 높은 질환은 아니지만, 일단 걸리면 잘 낫지 않고 점차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매우 고통스럽기로 유명하다. 메니에르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특히 지금처럼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면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이비인후과 김민희 교수와 함께 메니에르병의 주요증상, 악화요인과 한방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발작성으로 어지럼증과 청력저하 나타나는 메니에르메니에르병은 발작성으로 나타나는 어지럼증, 청력저하와 이로 인한 귀 먹먹함, 이명 등이 동시에 나타나는 질병이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내림프액의 흡수장애로 인한 내림프 수종과 알레르기가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다. 메니에르병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메니에르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질병코트 H810, 메니에르병) 는 지난 8년 사이 2배나 증가했다.(2010년 76,259명 → 2018년 154,283명) 처음에는 귀가 먹먹함으로 시작, 어지럼증 매우 심해처음부터 어지럼증과 청력저하가 같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둘 중 한 가지만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초기에는 저음역에서 심하지 않은 청력저하가 나타나므로 단순히 먹먹하다고만 느끼고 넘어가기도 하므로 청력검사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어지럼증은 심한 경우 오심, 구토와 함께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정도로 발생하게 된다. 처음에는 증상이 나타났다가 없어졌다가 반복하다, 병이 진행되게 되면 증상이 더 심해지고 더 자주 반복된다. 처음엔 한쪽 귀에서만 나타나다가 양쪽 귀 모두에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경우도 20-50% 정도 된다. 높은 습도와 낮은 기압이 악영향, 우리나라 여름철 위험최근 한 연구에서 높은 습도와 낮은 기압이 메니에르병의 증상 악화에 영향을 준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의 고온다습한 여름 날씨 자체가 메니에르병에는 악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이비인후과 김민희 교수는 “외부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내이의 압력이 심해지는 것, 습도가 높을수록 음속이 높아지는 것 등이 원인으로 생각되어진다.”면서 “따라서 메니에르병을 진단 받은 적이 있다면 습하고 기압이 낮아지는 여름에서 가을까지와 비가 오는 날엔 좀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약으로 수분대사 조절하고, 침‧뜸으로 내이 기능 개선양방에서는 메니에르병 치료 시 내림프 수종을 줄이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해 소변을 많이 배출함으로써 전신 수분을 감소시킨다. 한방에서는 수분의 양보다는 수분의 분포 이상에 초점을 맞추어 수분대사에 관여하는 영계출감탕, 오령산, 시령탕 등 한약을 사용한다. 실제로 여러 한약처방이 아쿠아포린의 차단을 통해 수분대사를 조절한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귀주변의 침과 뜸치료는 내이 주변의 혈류를 개선시켜 내이의 기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치료와 관리 잘하면 완치에 가까운 생활메니에르병의 목표는 완치가 아닌 증상의 조절이다. 완치가 없다는 말이 무섭게 들릴 수 있겠지만 치료와 관리를 잘하면 거의 증상 없이 사실상의 완치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다. 양방치료가 잘 듣지 않는 경우 한방치료도 적용해볼 수 있다. 이미 일본에서는 메니에르병에 대한 한약의 유효성이 인정받아 메니에르병 진료가이드라인에서 한약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이비인후과 김민희 교수는 “한약은 수분대사를 활성화시켜주며 침, 뜸, 물리치료 등은 귀 주변의 미세혈관 순환을 촉진시켜준다.”면서 “양약을 쓰면서도 어지럼증이 반복되거나 청력저하가 돌아오지 않는 경우, 한방치료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짜고 단 음식도 증상 악화 시켜, 식습관 관리 중요메니에르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내림프액의 ‘수종’이므로, 식생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저염식이다. 짠 음식을 전혀 안 먹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실제로 그렇게 하기 어려우므로, 최대한 소량을 먹어 하루 총 나트륨 양이 많아지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술과 고당분 음식 섭취도 수분의 정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좋지 않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도움이 된다. 커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연구결과는 없지만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하루 1잔 이하로 옅게 먹는 것을 추천한다. 흡연, 스트레스와 과로 또한 말초 혈류장애의 원인이 되므로 당연히 피하는 것이 좋다.
-
- 오피니언
- 건강&힐링
-
고온다습한 여름철 더욱 나빠지는 메니에르병
-
-
(인터뷰) “(가칭) 지리산림과학고등학교” 개교를 희망하는 공영토 박사
- 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장으로 퇴임한 뒤 사립고등학교 운영에 관여한다는 소식을 들었으나, 자세한 정보가 없었던 공영토박사의 새로운 꿈이 산림분야 특성화학교 개교를 희망한다는 소식에 기자는 인터뷰를 청했다. Q1. 왜 진주에 산림분야 특성화학교가 필요한지요? 본교는 경남 산청군의 최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주시와 약 20~25㎞(자동차로 20~30분)의 거리에 위치하며, 서부경남의 중심인 진주는 전통적으로 한국임업의 교육․연구․행정․산업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진주지역은 묘목, 조경수, 밤, 단감, 고로쇠 수액 등의 주생산지로서, 최근 관련기업으로 대흥조경(조경수, 단감), 청산농원(고로쇠, 곰취) 등이 있고, 그 외 곰취 등의 산나물, 산약초, 장뇌삼 등의 생산이 많으며 목조건축, 통나무집 건축, 전통목공예 장인, 목공예 장식품 장인 등이 많아, 산림분야 특성화고교를 운영할 수 있는 최적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Q2. 지역 내 인프라와 지자체와의 협조관계는 어떤지요? 산청군은 매년 『산청한방축제』를 개최하고 있고, 2013년『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를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동의보감촌, 산청한방약초연구소와 관련하여 한방약초의 재배ㆍ유통․가공 등에 많은 투자 지원과 노력을 하고 있고, 산청군산림조합은 지리산 인근의 목재를 생산ㆍ가공하는 목재가공ㆍ유통단지를 운영해 오고 있고, 인근의 함양군은 우리나라 산삼, 산채 및 산약초의 주요 생산지로서 매년 『산양삼축제』를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산림힐링 및 목조건축 분야의 기초 교육기관인 이 학교의 개설에 대하여, 지역사회에서는 매우 환영하고 있어, 금후 학교 인가(개교)는 물론, 이 학교가 정상궤도에 이르기 까지 본교가 속한 지방자치 단체인 산청군의 직․간접적 협조와 지원이 있을 것입니다. 특히 이번 6.4 지방자치 단체장 선거에서 산청군수 당선자는 이 지역에 『산림과학고등학교』의 유치 및 설치는 물론 학교개설 후, 학교의 시설 및 운영도 적극 지원코자 선거공약으로 선정하여, 지역 주민들과 공개적으로 약속하였습니다. 물론 지역 출신 국회의원의 관심도 매우 높습니다. Q3. 개교의 시기는 언제쯤인가요? 산림특성화고교의 개교는 해당 시․도 교육청과의 산림분야 특성화학교(학과) 지정 승인여부에 달렸지만 2015년 3월 지정 신청을 하고 2015년 9월 승인이 되면, 충분한 홍보 기간을 거쳐, 2017학년도 3월에 특성화학교(학과) 학생입학을 시작할 것입니다. Q4. 승인 후 1년 반이 지난 후에 개교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특성화고 지정 시 산림청의 정책적 필요성과 본교가 속한 지방자치단체 및 인근 정부기관 또는 유관 기관과의 관계 등을 밝히고 협조 공문 또는 MOU 체결 등을 강조하여 설득 할 필요성 있습니다. 본 법인은 인문계고등학교에서 특성화고교로 전환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학교경영 경험상, 홍보가 매우 중요하며, 홍보 및 개교 준비에 1년의 기간을 두어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하며, 실제로 첫 입학생의 학생수준이 낮을 경우, 열등 학생들의 학교로 인식되면, 이 이미지 개선은 매우 힘들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며, 이 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2016학년도 1년은 온전히 학교홍보 및 개교 준비를 할 것입니다. Q5. 학교의 입지조건 및 현장실습장 보유여부는 어떤지요? 경남 서부의 진주지역은 남부산림연구소와 함양국유림관리소가 있고, 경남 산림환경연구원 및 반성수목원, 경남산림박물관, 금원산생태수목원(거창군 소재)가 있으며, 경상대학교와 경남과학기술대학교가 있어, 산림과학고교를 개교할 수 있는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본교의 보유 토지 중 학교와 접하고 있는 산림 1.25㏊, 밭 1,956㎡이 있어 현장 실습용 연습림 및 묘포장 등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Q6. 지정을 승인하는 산림청에 당부하실 말씀은? 본교는 2005년 인문계 고교를 산림관련 특성화고교로 전환코자, 「한약자원과」와 「목조건축과」 2개학과를 설치ㆍ신청하였던 경험이 있고(실제 설치되지는 못하였음), 2010학년도에 인문계 고교를 간호관련 학과로 개편하였고, 2011학년도부터 학교명을 『경남간호고등학교』로 개명ㆍ전환한 바 있습니다. 대개 신규의 특수한 학과는 공립학교에 설치할 경우, 실패 우려가 매우 높습니다. 얘를 들어 공립고교인 경남의 oo고등학교에 한약자원과가 2005년 설치되어 많은 시설 투자하였으나, 학교홍보, 교육과정, 학생진로, 가르치는 교사의 수준 문제, 공립학교 교사의 잦은 이동 등으로 현재는 폐쇄되었습니다. 또한 현 공립 농업계학교에 근무하는 산림관련 교과교사가 원예학과, 임학과, 조경학과 출신이 대부분 이며, 한국 산림과학의 발달을 잘 감지하지 못하여,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교육과정을 어떻게 짜고,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근무 년 수에 따라 전출 또는 퇴직해 버리기 때문에, 교사의 이동이 없는 사립학교에 신규학과를 설치하여야 장기적으로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산림청의 「산림 특성화고교 설치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가능하면 사립학교에 설립하여야 할 것입니다. 최근 전국 고교의 각종 지표면<대학 진학 및 성취율 등>에서 사립이 거의 대부분의 지역 및 학교조건<인문계, 특성화고, 어문계열, 예능계 등>에서 상대적 우위에 있습니다. Q7. 성공적인 개교와 운영에 중요한 점이 있는지요? 이 학교가 성공하려면, 넓은 지역(전국)에서 학생모집이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기숙사 시설(150명 수용)이 선결되어야 하며, 산림교육의 충실을 위해서는 실험공장(예 ; 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실험공장)이 필요하며, 실험공장 내에서 목재를 다루는 방법, 목조주택의 부재를 가공하거나 접합(Jointing)하는 방법 등의 실질적인 실물교육이 인근 교실에서의 이론ㆍ설계 교육과 연계하여 이루어 져야합니다. 또 매우 중요한 점은, 학생실습으로 생산된 묘목과 산약초 및 목조주택 등은 실수요자에게 판매하여 학교의 수입으로 들어와서, 다음해 학생들의 실제교육을 위한 교육자료는 물론 실습재료 및 실습기자재 구입 등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특성화고교로써 지속적이고 정상적인 산림과학고교의 교육이 이루지리라 여겨집니다. 마지막으로 통상 특성화고교가 설립되면, 실습기자재 구입비, 교과목 개발비, 현장방문 실습비 등은 지역교육청이나 지자체로부터 지원받기 때문에, 산림 특성화고교의 산림청 지원예산의 사용범위를 학생실습 시설에도 투자할 수 있도록 조치하면 더 좋은 결과를 빠른 기간내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기자는 산림과학원 재직 시 보였던 공영토박사의 열정적인 모습을 다시 보니 지금 뜻하는 일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
- 오피니언
- 리더인터뷰
-
(인터뷰) “(가칭) 지리산림과학고등학교” 개교를 희망하는 공영토 박사
-
-
[칼럼] 목·어깨 통증의 원인과 치유 - 근막통증증후군
- 날씨가 풀리면서 야외활동 하기 좋은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면서 갑작스러운 어깨나 뒷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런 경우 대개 단순한 근육통으로 쉽게 통증이 해소된다. 그러나 오랜 시간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호전이 없다면 ‘근막통증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근막통증증후군이란 신경학적 이상은 없으나 어깨나 뒷목 등의 근육이 뭉쳐 뻐근하고 쑤시는 증상을 말한다. 흔히, 옛말에 ‘담이 들었다’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잠을 자고 일어났는데 갑자기 목이 좌우로 돌아가지 않는다든가, 앞뒤로 굽히고 젖혀지지 않는 경우, 어깨 날개뼈 부위의 급격한 통증, 깊은 호흡을 할 때 옆구리 쪽의 통증으로 호흡이 불편한 증상 등 여러 가지 통증의 양상을 호소한다. 근막통증증후군의 발생이유는 잘못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할 때 생긴다. 특히 젊은 세대는 스마트폰과 테블릿PC, 컴퓨터 등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어깨가 뻐근해지는 것을 호소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직장인들의 경우 한손으로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전화 통화를 하는 등의 경우 지속적으로 근육을 사용함으로 피로가 쌓이게 된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증상은 처음에는 목이나 어깨부위가 조금 결린다는 정도의 느낌만 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통증이 심해지며 나중에는 목을 움직이기도 힘들고 통증부위의 근육이 단단해지며 뭉치게 된다. 심해지면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만성적인 어깨통증은 물론 목 디스크, 어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눈 뒤의 측두통이 있을 때 원인을 찾아보니 등이나 어깨에 특별히 아픈 부위가 있는데 그 부위가 통증을 일으키는 곳이다. 윗 팔의 전면과 후면, 손가락 통증이 지속적으로 저리게 느껴질 때는 목의 일부 근육의 영향일수도 있다. 어깨 삼각근 중간의 깊숙한 부위의 쑤시는 증상, 어깨 앞 깊숙한 부위의 통증, 수면을 방해할 정도의 잠자리에서의 통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근막통증증후군은 통증은 있으나 MRI나 CT촬영으로도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목이나 어깨통증이 가벼운 상태일 때 치료받는 것이 좋다. 예방과 치료방법은 가벼운 경우에는 휴식과 마사지, 온열치료도 도움이 된다. 직장에서 업무 중간에 하는 가벼운 스트레칭과 마사지는 긴장된 어깨의 근육을 풀어주어 어깨 통증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국부적이고 단순한 피로에 의해 유발된 증상이라면 침이나 부항 혹은 뜸으로 치료할 수 있고 전체적인 불균형에 의한 증상이라면 어혈을 감소하고 순환을 강화하는 소풍활혈계통의 한약이 도움이 될 것 이다. (대구시 북구 태전동, ☎ 053-322-3515)
-
- 오피니언
- 칼럼
-
[칼럼] 목·어깨 통증의 원인과 치유 - 근막통증증후군
임업정보 검색결과
-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4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음나무’이다. 음나무는 두릅의 일종이다. 두릅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흔히 알려진 참두릅은 두릅나무의 새순이고,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불린다. 개두릅과 참두릅은 언뜻 보면 구분하기 쉽지 않지만, 자세히 보면 개두릅은 참두릅보다 잎이 진하고 윤기가 있다. 참두릅보다 씁쓸한 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음나무는 손으로 만질 수 없을 정도로 가시가 많다. 가시가 날카롭고 억세 엄하다는 의미로 ‘엄나무’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로 선조들은 음나무 가지를 대문이나 방문에 걸어두어 흉한 기운을 막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 음나무는 다양한 쓰임새를 지니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은 한약명으로 ‘해동피’라고 하며 사포닌, 루틴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을 삶은 물은 혈액 속 당 수치를 낮춰주어 당뇨 개선에 사용하거나, 소염작용에 좋다 하여 관절염, 피부병, 궤양 등에 많이 사용한다. 음나무의 뿌리는 줄기와 함께 한약으로 사용하거나 닭백숙에 넣어 먹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목재 자체의 무늬도 곱고 아름다워 최고급 목재로도 활용된다. 또한, 음나무 순(개두릅)은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A는 물론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 끓는 물에 살짝 데치면 영양성분이 우수한 고급 산채가 된다. 개두릅은 단순히 데쳐 초장에 찍어 먹는 맛도 일품이지만 고기와 궁합이 좋아 삼겹살이나 쇠고기에 말아 먹거나, 장아찌, 전, 솥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10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대추’다.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며 매우 많은 열매를 맺는다. 특이하게도 대추꽃은 반드시 열매를 맺어야만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로 없다. 이런 이유로 대추는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차례상에 대추가 빠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또한, 대추는 간을 보호하고 담즙분비를 유도하여 간의 피로 회복에 좋고, 부기 제거, 혈관 건강 개선, 스트레스 완화, 노화 방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는 수확기인 가을에는 생으로 먹고, 말린 대추는 한약재나 삼계탕 재료 등으로 연중 이용되며, 최근에는 대추호두말이, 대추라떼 등 이색 조리법(레시피)의 대추요리가 개발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
2018 임산물 생산자(생지황) 간담회 개최
- 진안군 산림조합은 지난 1월 29일 생지황 재배자들을 모시고 생산자간 기술교류 및 침목 도모를 위한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생지황은 지황 뿌리의 날것을 말하며 피의 생성을 돕고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생지황재배 활성화를 위한 생산자간 의견 교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임산물 재배를 원하는 예비 임업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 자리에서 전해석 조합장은 “수입 임산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가에 수입이 어려운 생지황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우리 조합이 생지황의 판매와 양질의 생지황 재배교육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또한 “우리 조합은 2018년을 임업인과 조합원의 소득증대를 위한 한 해로 정하고 재배품목의 다양화를 위한 품목 교육과 선진지 견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후정산 벌채사업을 통해 산주 소득사업에도 적극 나서겠다.”라고 밝혔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2018 임산물 생산자(생지황) 간담회 개최
포토뉴스 검색결과
-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국립산림과학원 복령재배시험지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6월 30일(금), ‘복령’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3개 지자체 연구소(강원특별자치도 산림과학연구원,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와 협업하여 전국 4곳에서 지역 적응성 시험 재배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는 임산물로 이뇨작용과 부종 감소, 항암 등의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복령의 새로운 기능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5월 뼈 건강 개선을 위한 골 대사 조절 기능이 뛰어난 복령 균사체를 발굴한 바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뼈 건강 증진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복령의 대량증식 연구도 함께 수행하기 위해 권역별로 시험연구지 3곳을 추가 구축하였다. 이번 복령 시험재배는 내년 9월까지 수행하며, 권역별로 복령 생산량을 분석하여 대량증식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구명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미생물연구과 유림 임업연구사는 “복령이 임업인을 위한 새로운 소득 품목이 될 수 있도록 복령의 건강 증진 물질 탐색과 대량증식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건강 임산물 ‘복령’, 대량생산 연구 본격 시동
-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남태헌) 국립나주숲체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이하 한약자원연구센터)와 연계하여 전남광역치매안심센터대상 항노화 치유사업인 ‘기억을 걷는 숲’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치매예방·관리를 통해 노화로 인해 저하되는 기억력과 신체기능을 보존·향상하고 우울감을 완화하는 등 국민의 건강한 노년 생활영위를 돕고자 마련됐다. 항노화 산림치유 프로그램 “기억을 걷는 숲”은 전남광역 치매안심센터 21개 시·군·구 종사자 대상으로 운영하고, 한의사인 한약자원연구센터 최고야 센터장과 류지효 선임연구원을 초빙, 노화방지·신체기능 향상 등을 위한 한의약 활용법 강연 및 참가자 건강 상담이 진행되었다. 황인욱 국립나주숲체원장은 “치매안심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의학연구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다양한 산림치유 콘텐츠 제공으로 치매·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면서 “앞으로 산림복지선도기관으로써 건강한 노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항노화 산림치유의 첫발, 한약자원연구센터와 함께!
-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4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음나무’이다. 음나무는 두릅의 일종이다. 두릅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흔히 알려진 참두릅은 두릅나무의 새순이고, 음나무의 새순은 ‘개두릅’이라 불린다. 개두릅과 참두릅은 언뜻 보면 구분하기 쉽지 않지만, 자세히 보면 개두릅은 참두릅보다 잎이 진하고 윤기가 있다. 참두릅보다 씁쓸한 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음나무는 손으로 만질 수 없을 정도로 가시가 많다. 가시가 날카롭고 억세 엄하다는 의미로 ‘엄나무’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로 선조들은 음나무 가지를 대문이나 방문에 걸어두어 흉한 기운을 막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 음나무는 다양한 쓰임새를 지니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은 한약명으로 ‘해동피’라고 하며 사포닌, 루틴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음나무 줄기 껍질을 삶은 물은 혈액 속 당 수치를 낮춰주어 당뇨 개선에 사용하거나, 소염작용에 좋다 하여 관절염, 피부병, 궤양 등에 많이 사용한다. 음나무의 뿌리는 줄기와 함께 한약으로 사용하거나 닭백숙에 넣어 먹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목재 자체의 무늬도 곱고 아름다워 최고급 목재로도 활용된다. 또한, 음나무 순(개두릅)은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A는 물론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 끓는 물에 살짝 데치면 영양성분이 우수한 고급 산채가 된다. 개두릅은 단순히 데쳐 초장에 찍어 먹는 맛도 일품이지만 고기와 궁합이 좋아 삼겹살이나 쇠고기에 말아 먹거나, 장아찌, 전, 솥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4월 이달의 임산물 ‘음나무’
-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대표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기 위해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10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대추’다.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며 매우 많은 열매를 맺는다. 특이하게도 대추꽃은 반드시 열매를 맺어야만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로 없다. 이런 이유로 대추는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차례상에 대추가 빠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또한, 대추는 간을 보호하고 담즙분비를 유도하여 간의 피로 회복에 좋고, 부기 제거, 혈관 건강 개선, 스트레스 완화, 노화 방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는 수확기인 가을에는 생으로 먹고, 말린 대추는 한약재나 삼계탕 재료 등으로 연중 이용되며, 최근에는 대추호두말이, 대추라떼 등 이색 조리법(레시피)의 대추요리가 개발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도 이달의 임산물을 선정하여 임업인이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임산물의 판매를 촉진하고, 국민 누구나 건강한 임산물을 먹고 즐길 수 있도록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10월 이달의 임산물 ‘대추’
-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천궁기내식물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품질을 가진 식물체를 대량복제 생산할 수 있는 아(芽)배양 조직배양기술로 천궁, 참당귀, 작약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산림약용자원의 대표 작물인 천궁, 작약, 참당귀는 한약의 필수 재료로 쓰이며, 면역력 증진 등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뛰어나 생산자와 수요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약용자원이다. 천궁, 참당귀, 작약은 국내에서 약용수종의 전체 생산액(4,990억) 중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천궁 6.5%, 참당귀 4.9%, 작약 25%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병충해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묘목 수급의 문제와 값싼 수입산으로 인해 재배 임가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조직배양 기술은 무균상태에서 조직을 배양하여 건전하고 우량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으며, 초기 식재부터 품질이 우수한 묘종을 만든다는 이점이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묘목 수급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천궁 기외 순화식물체 이 기술을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다른 산림약용자원의 대량생산 기반 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산에서 자라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산성 향상, 무병묘 및 고기능성 신품종 개발 등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 창출 및 토종 산림약용자원의 보존 및 보존·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고상현 소장은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면역력 강화 등 우수한 약리성분이 대량 함유되어 있는 약용자원 개발에 노력할 것”이라 말하며, “이와 더불어 국산 약용자원의 우수함을 알리고 산업적 이용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산림약용자원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스마트 온실을 설립중이며, 생육과 성분함량이 증진된 약용자원 개발 등의 연구를 함께 수행할 계획이다. 작약 기내배양식물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연 면역력 강화제 천궁, 참당귀, 작약의 대량생산 길 열렸다
-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참당귀 육성포지 전경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우라나라 전통 약용자원인 참당귀를 대상으로 우량 개체선발을 통해 보다 나은 참당귀 품종을 얻기 위한 고품질 신품종 육성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는 참당귀의 안정적인 재배와 품질향상, 활용도 확대를 위해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생장이 우수하고 뿌리, 잎, 꽃 등에서 유익한 활성성분 함량이 높은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육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부위를 활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참당귀 품종이 개발될 것이다. 개발된 신품종은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천연물 신약 등의 고기능성 식·의약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배지 변이개체 선발 참당귀는 동의보감 처방 중 500회 이상, 방약합편 처방 중 150회 이상 언급되었으며, 한약 처방에 생강, 감초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용가치가 높은 약용자원이다. 참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의 다년생식물로써 현재는 봉화, 제천, 평창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건조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며, 참당귀의 뿌리는 보혈하는 작용을 하여 주로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항균작용 및 신진대사촉진 등 부인병 치료에 효과가 좋아 여인의 약초로 불린다. 한편, 지금까지의 참당귀 육성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 10월 27일(화)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진행하였으며, 세미나 참석자들과 함께 신품종 조기육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의 박홍우 연구사는 “유망한 산림약용자원의 신규발굴과 품종육성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라고 전하며, “향후 토종 약초인 참당귀의 안정적인 생산과 이용성 다양화로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유망계통 선발 자가수정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여인의 약초 참당귀, 고품질 신품종 육성 기반 마련
-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일천궁 1년차 첫 재배지 코로나19로 인해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력 증진을 위한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 한약재에서 주로 쓰이는 천궁, 당귀 등 산림약용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천궁은 기후변화에 예민해 해발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고 특히, 연작장해로 인해 매년 재배지를 옮겨 다니는 번거로움으로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 생산량(M/T) : (´97) 2,294 → (´17) 1,290, 재배면적(㏊) : (´97) 789 → (´17) 185 작물의 연작재배는 토양미생물의 다양성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어 토양미생물을 변화시키며, 이는 작물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작물의 연작장해 원인 규명에 필수적이다. 일천궁 3년차 연작 재배지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천궁 재배지의 토양미생물(세균, 곰팡이) 군집분석을 통하여 천궁 연작장해의 원인 중 토양특성과 토양미생물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토양미생물 중 곰팡이 군집은 토양 pH, 칼슘 및 유효인산(P2O5)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작 재배지에서 병원성이 높은 Fusarium균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토양곰팡이 균은 적합한 조건이 되면 시들음병이 발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천궁은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 생육이 저해되며, 시간이 지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어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는 병징을 나타낸다. 연작장해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파악이 매우 어렵다. 이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해 연작장해의 원인을 일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연작장해 원인 규명을 통해 천궁 재배자들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재배지 토양의 건전성 확보에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농학회지 2020년 3월호와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년 6월호에 각각 게제되었다. 일천궁 시들음병 피해 개체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
-
갈황색미치광이버섯으로 폐암·전립선암 잡는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 산림버섯연구실은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김기현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환각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인 ‘갈황색미치광이버섯’에서 폐암세포와 전립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갈황색미치광이버섯 추출물에서 ‘세스퀴테르펜류(sesquiterpenes)’를 새롭게 발견하였으며, 현재 항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과 상당히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어 새로운 천연 항암치료제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약학회의 약학전문 국제학술지 ‘아카이브즈 오브 파마칼 리서치(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IF 2.49)’ 43권에 발표되었다. 한편, 갈황색미치광이버섯은 섭취 후 30분 이내 정신불안, 인지장애, 공격적인 행동 등이 나타나는 중독증상을 발생시키는 맹독성 버섯으로 야생채취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림소득자원연구과 김만조 과장은 “국민의 건강한 삶을 증진하기 위해 독버섯의 새로운 활용가치를 높이는 약리학적 연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산림버섯이 의약품산업의 신소재로 각광받으며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연구기능을 확대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버섯연구실은 치명적인 독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에서 강력한 유방암 치료물질인 ‘로리딘 E’를 발견한 바 있으며, 앞으로 산림 독버섯의 유용물질을 활용해 새로운 치료산업 소재발굴을 연구할 예정이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갈황색미치광이버섯으로 폐암·전립선암 잡는다
-
-
고온다습한 여름철 더욱 나빠지는 메니에르병
- 메니에르병은 어지럼증, 청력저하, 이명, 귀 먹먹함을 주증상으로 하는 귀 질환이다. 유병률이 높은 질환은 아니지만, 일단 걸리면 잘 낫지 않고 점차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매우 고통스럽기로 유명하다. 메니에르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특히 지금처럼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면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이비인후과 김민희 교수와 함께 메니에르병의 주요증상, 악화요인과 한방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발작성으로 어지럼증과 청력저하 나타나는 메니에르메니에르병은 발작성으로 나타나는 어지럼증, 청력저하와 이로 인한 귀 먹먹함, 이명 등이 동시에 나타나는 질병이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내림프액의 흡수장애로 인한 내림프 수종과 알레르기가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다. 메니에르병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메니에르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질병코트 H810, 메니에르병) 는 지난 8년 사이 2배나 증가했다.(2010년 76,259명 → 2018년 154,283명) 처음에는 귀가 먹먹함으로 시작, 어지럼증 매우 심해처음부터 어지럼증과 청력저하가 같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둘 중 한 가지만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초기에는 저음역에서 심하지 않은 청력저하가 나타나므로 단순히 먹먹하다고만 느끼고 넘어가기도 하므로 청력검사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어지럼증은 심한 경우 오심, 구토와 함께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정도로 발생하게 된다. 처음에는 증상이 나타났다가 없어졌다가 반복하다, 병이 진행되게 되면 증상이 더 심해지고 더 자주 반복된다. 처음엔 한쪽 귀에서만 나타나다가 양쪽 귀 모두에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경우도 20-50% 정도 된다. 높은 습도와 낮은 기압이 악영향, 우리나라 여름철 위험최근 한 연구에서 높은 습도와 낮은 기압이 메니에르병의 증상 악화에 영향을 준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의 고온다습한 여름 날씨 자체가 메니에르병에는 악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이비인후과 김민희 교수는 “외부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내이의 압력이 심해지는 것, 습도가 높을수록 음속이 높아지는 것 등이 원인으로 생각되어진다.”면서 “따라서 메니에르병을 진단 받은 적이 있다면 습하고 기압이 낮아지는 여름에서 가을까지와 비가 오는 날엔 좀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약으로 수분대사 조절하고, 침‧뜸으로 내이 기능 개선양방에서는 메니에르병 치료 시 내림프 수종을 줄이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해 소변을 많이 배출함으로써 전신 수분을 감소시킨다. 한방에서는 수분의 양보다는 수분의 분포 이상에 초점을 맞추어 수분대사에 관여하는 영계출감탕, 오령산, 시령탕 등 한약을 사용한다. 실제로 여러 한약처방이 아쿠아포린의 차단을 통해 수분대사를 조절한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귀주변의 침과 뜸치료는 내이 주변의 혈류를 개선시켜 내이의 기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치료와 관리 잘하면 완치에 가까운 생활메니에르병의 목표는 완치가 아닌 증상의 조절이다. 완치가 없다는 말이 무섭게 들릴 수 있겠지만 치료와 관리를 잘하면 거의 증상 없이 사실상의 완치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다. 양방치료가 잘 듣지 않는 경우 한방치료도 적용해볼 수 있다. 이미 일본에서는 메니에르병에 대한 한약의 유효성이 인정받아 메니에르병 진료가이드라인에서 한약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이비인후과 김민희 교수는 “한약은 수분대사를 활성화시켜주며 침, 뜸, 물리치료 등은 귀 주변의 미세혈관 순환을 촉진시켜준다.”면서 “양약을 쓰면서도 어지럼증이 반복되거나 청력저하가 돌아오지 않는 경우, 한방치료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짜고 단 음식도 증상 악화 시켜, 식습관 관리 중요메니에르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내림프액의 ‘수종’이므로, 식생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저염식이다. 짠 음식을 전혀 안 먹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실제로 그렇게 하기 어려우므로, 최대한 소량을 먹어 하루 총 나트륨 양이 많아지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술과 고당분 음식 섭취도 수분의 정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좋지 않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도움이 된다. 커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연구결과는 없지만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하루 1잔 이하로 옅게 먹는 것을 추천한다. 흡연, 스트레스와 과로 또한 말초 혈류장애의 원인이 되므로 당연히 피하는 것이 좋다.
-
- 오피니언
- 건강&힐링
-
고온다습한 여름철 더욱 나빠지는 메니에르병
-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림 신품종 육성기술 세미나 개최
-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센터장 이용석)는 11일 민․산․관협의체 운영을 통한 「산림 신품종 육성기술 세미나」를 (사)산림자원육종가협회 회원을 포함한 민간 육종가, 종자업계, 대학, 공공기관, 지자체 및 중앙기관 신품종개발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주시 상록리조트에서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기존 전통적인 육종의 한계를 벗어나 고부가가치 산림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유용성분 분석과 한약자원 개발을 주제로 충남대 박종태 교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우문 박사, 한국한의학연구원 최고야 박사의 특별 강연과 서주조경 유용희 대표의 소나무 육종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12일에는 민간육종가 및 지자체 신품종개발 관계자 30여명이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약용식물원 견학을 하였다. 아울러, 산림분야 식물신품종보호제도가 시행된 이래 품종보호권 제200호 등록품종인 표고 ‘산조715호’에 대한 기념패 증정이 있었으며, 산림 신품종 육성 간담회를 통하여 신품종 개발 촉진 및 종자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산림 신품종 출원건수 : 425건, 품종보호등록 건수 : 208건(2019년 현재 기준) 특히, 본 행사에서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총 4년간 8개소에 조성되는 신품종 재배단지 시범사업의 취지를 설명하고 육종가들과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였다. * 2019년 조성지 : 강원 평창, 경남 하동 이용석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은 “생물주권이 강화되는 국제환경 속에서 육종가의 피땀의 결실인 신품종은 대한민국 임업의 새로운 소득자원이 될 것이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나갈 중요한 자원”이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신품종 개발과 지식재산권 확보 및 육종가의 권익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품종관리센터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림 신품종 육성기술 세미나 개최
-
-
한방산업단지 곰취 채취 행사
- 상주시 한방산업단지는 5월 24일 오전 상주한방산업단지 내 자연약초재배지에서 곰취 채취 행사를 했다.이날 체험 행사에는 한방산업단지와 은척면사무소, 은척면 부녀회 40여명이 함께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한방단지 자연약초재배지에 재배하는 곰취를 채취해 봄으로써 한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곰취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한방산업단지 관계자는 “한약재로 사용되는 곰취를 지속적으로 재배해 한방산업단지 활성화에 기여 하겠다”고 했다.
-
- 산림산업
-
한방산업단지 곰취 채취 행사
-
-
산림약용자원 천궁의 새로운 시듦병 원인균 밝혀!
- 국내 대표 약용자원인 천궁(川芎)은 냉병, 빈혈 및 중풍 치료 등에 쓰는 한약재로 혈관 확장, 항균, 항진균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식물이 감염되면 건전주에 비하여 수확량이 1/3(평균 30%)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안전한 산약초 생산을 위해 중요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川芎)에 시듦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구명했다고 밝혔다. 시듦병원균에 감염된 천궁은 생육 초기에 아래잎부터 시들기 시작하며 시든 잎은 점차 노란색으로 변하는 증상을 보인다. 병든 식물체를 뽑아보면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의 생육이 저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병이 계속해서 진전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고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게 된다. 천궁에 주로 발생하는 식물병으로는 잎마름병, 흰가루병, 점무늬병, 줄기썩음병과 시듦병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천궁의 시듦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푸자리움(Fusarium)속에 속하는 균류로서 주로 토양에 서식하는 식물병원균이며 적합한 조건이 되면 항상 발병하기 때문에 이어짓기를 하는 다른 약용작물에서도 중요한 식물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동안 천궁의 시듦병 원인균으로 알려졌던 것과는 다른 종류의 시듦병 원인균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푸자리움(Fusarium)속에서도 천궁의 시듦병원균은 푸자리움 에스피피(Fusarium spp.)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로 유발된 시듦병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많은 약용작물 중에서 인삼의 뿌리썩음병과 지황의 시듦병이 이 병원균에 의해 발병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황기와 패모에 시듦 피해를 주는 원인균은 푸자리움 옥시스포럼(F. oxysporum)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밝혀진 시듦병원균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면 크고 작은 여러 형태의 포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형 분생포자(分生胞子)는 달갈형으로 0∼1개의 격벽(隔壁)을 가지고 있고, 대형 분생포자는 통통한 초승달 모양으로 뚜렷한 3∼6개의 격벽을 가지고 있었다. 또 다른 특징으로 불량한 환경조건에 강해 월동이 가능한 둥근 형태 후막포자를 관찰하였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천궁의 시듦병원균을 구명함으로써 약용작물 천궁의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에 대해 적극적인 방제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며 “앞으로도 약용작물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원균의 지속적인 동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재배자들과 협력하여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산림약용자원 천궁의 새로운 시듦병 원인균 밝혀!
-
-
약용자원 천궁(川芎) 지키는 해충 방제법 마련한다
- 국내 대표적 약용자원인 천궁(川芎)은 어혈(瘀血)을 풀어주고 기운을 돌리며 풍을 쫓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어 한약재로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알려지지 않은 해충들이 나타나면서 작물피해가 늘어나고 있지만, 적합한 방제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시행된 PLS(농약허용물질목록제도)의 시행으로 약용작물 재배자들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대표적 약용자원인 천궁(川芎)잎에 피해를 주는 총채벌레류의 종류와 분포 비율, 그리고 미보고 해충의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고 알렸다. 그 동안 도라지, 더덕, 시호 등의 약용작물에 발생하는 총채벌레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된 적이 있지만 천궁류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일반적으로 총채벌레는 참당귀, 천궁을 비롯한 약용작물의 잎, 꽃, 줄기 등 다양한 부위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증식력이 강하고 약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이 매우 높아 방제가 어려운 해충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일천궁과 토천궁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류는 모두 6종으로 기주작물에 따라 분포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대표적으로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가 천궁에 가장 많은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천궁에서는 대만총채벌레>꽃노랑총채벌레>미나리총채벌레>볼록총채벌레>대관령총채벌레>파총채벌레 순이었지만, 토천궁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대만총채벌레>미나리총채벌레>볼록총채벌레>대관령총채벌레>파총채벌레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천궁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던 대관령총채벌레(Anophothrips obscurus), 미나리총채벌레(Thrips nigropilosus), 그리고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등의 해충도 발견하였다. ‘대관령총채벌레’는 온난지역에 분포하면서 주로 벼, 옥수수 등의 벼과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높은 생식능력으로 빠르게 개체군을 형성하여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나리총채벌레’는 북반구에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종류의 식물을 가해하는데 일본에서는 국화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볼록총채벌레’는 오미자와 감귤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동안 어떤 해충의 피해인지 밝혀내지 못했던 해충을 찾아내 적합한 방제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었으며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천궁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해충의 다양성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올해부터 시행된 PLS의 시행으로 약용작물 재배자들의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당귀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천궁에서 총채벌레류의 종 동정, 분포비율 및 미보고 해충 구명은 병해충 친환경 방제에 도움이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산림약용작물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지속적인 동정과 친환경 맞춤형 방제법 연구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배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약용자원 천궁(川芎) 지키는 해충 방제법 마련한다
-
-
국립산림과학원, 국내산 약용소재 표준 데이터 ‘천연물지도’ 만든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적 약용자원인 참당귀와 일천궁에 대해 재배지역별로 생육환경에 따른 유용 성분의 함량 차이를 분석하여 약용소재의 고품질화와 천연물의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천연물지도를 작성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자생 산림약용자원을 비롯한 국내산 약용소재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고기능성 약용소재 자원을 발굴하고자 2017년부터 주요 약용자원을 대상으로 천연물지도 작성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천연물지도란 국내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산림약용자원을 대상으로 지역과 시기, 식물체 부위와 토양 특성별로 유용물질인 지표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전국 천연물 분포도를 말한다. 최근 천연물의약,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 글로벌 천연물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 맞춰 천연물 원료소재의 품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약용소재에 포함된 지표성분 혹은 유용성분은 원료소재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규격 한약재의 경우 지표성분이 일정 함량 이상 함유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참당귀는 봉화, 평창을 비롯한 전국 13지역의 재배지와 자생지를 대상으로 항산화와 항암 등의 약효를 포함한 지표성분인 3종(노다케닌,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의 총함량을 분석한 결과 3.54~8.42%로 재배지역에 따라 크게는 2.3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생지의 야생 참당귀는 재배지보다 평균 1.5배 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천궁은 영양과 봉화를 비롯한 6개 재배지를 조사하였으며, 주요성분인 3종(리구스틸라이드, 클로로겐산, 페룰산)의 총함량을 분석한 결과 0.13~0.51%로 크게는 3.9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기상요인, 토양특성 등 재배환경이 유용 성분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고품질의 우수한 약용소재 생산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크다. 천연물지도 작성 연구는 원료소재 단계에서부터 유용성분의 표준화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여 국내 약용자원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함으로써 원료 소재 수입 대체 및 경쟁력 확보하고, 국내 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천연물 소재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최근 잦은 기상이변과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약용자원의 재배, 생산 및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정적인 고품질의 약용소재 생산과 재배적지 구명 등 재배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천연물지도 작성 대상 품목은 시장수요, 생산량, 시급성, 산업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향후 독활, 산수유, 작약, 산겨릅나무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천연물지도를 작성해 나갈 예정으로, 약용소재의 유용성분 함량은 기상과 재배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주요 재배지를 기반으로 향후 5년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주요 약용소재를 대상으로 한 천연물지도 작성을 계기로 국내산 약용소재 품질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고부가 산림약용자원의 발굴 및 산업화 활용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며, “성분, 환경요인, 기능성 구명 등 체계적인 연구수행를 통해 산림약용자원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을 위한 국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국립산림과학원, 국내산 약용소재 표준 데이터 ‘천연물지도’ 만든다
-
-
한국임업진흥원, 대추산업발전 및 소득증대를 위한 혁신 세미나 성료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11월 30일(금), 대전에서 현장 노하우 공유를 통한 대추임가 소득 증대 및 혁신적인 대추 산업 발전을 위해서 「대추산업발전 및 소득증대를 위한 혁신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추산업발전 혁신 세미나는 유관기관, 임업인 등 약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본 세미나는 국민 참여를 통해 대추산업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앞으로 대추산업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를 위해 개최됐다. 세미나에서는 산림경영전략연구소 김재성 대표의 “임업통계로 보는 대추 생산량 변화 및 재배 임가 특성”, 한반도농원 최덕현 대표의 “대추 가공과 마케팅 전략” 등의 발표가 있었으며, 참석자들의 대추산업 현황과 각자의 재배 노하우⋅대추산업 발전을 위한 의견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참석자들은 “현재 대추가 주로 제수용⋅한약재⋅식자재 등으로 거래되는데, 대부분 마른 대추로 유통되어 소비가 제한적인 상황”이라면서, “대추산업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대추 가공품 개발⋅지원 및 홍보가 절실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한, 비가림 재배지 조성을 통한 열과 방지 등이 고품질 대추재배를 위한 비법이라고 설명했다. 구길본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대추산업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임업인과 분야별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당면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대추재배임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 대추산업발전 및 소득증대를 위한 혁신 세미나 성료
-
-
건강임산물 ‘복령’에서 새로운 항암물질 발견
- 소나무 뿌리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는 버섯인 ‘복령’에서 폐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이 발견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은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김기현 교수 연구팀(의과대학 백관혁 교수)과 공동연구를 통해 복령의 균핵에서 폐선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항암물질을 발견하고 약리효과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의 2015년 통계에 따르면 폐암은 국내 암 발생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 폐선암은 폐암 중 발생률이 약 44%로 발생 환자가 가장 많은 암종이다. 공동연구팀은 복령의 균핵으로부터 분리한 4가지 천연화합물*로 폐선암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여 암세포 자살을 유도하는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복령의 균핵은 복령이 땅속에서 생장하면서 소나무 뿌리로부터 공급받는 영양물질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이번 연구는 복령 균핵 성분의 명확한 화합물 구조를 밝히고, 항암유전자 피오십삼(p53)의 상태와 관계없이 다양한 폐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건강임산물로 알려진 복령은 국내 한약재 시장 내 상위 10개 품목 중 하나로 국내에서 한해 평균 약 1,200톤이 소비되며 100억원대의 소비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복령의 성분이 명확하게 표준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복령 산업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복령에서 새롭게 발견된 물질이 산림바이오산업의 표준원료로 이용되도록 복령의 재배 표준화와 추출물 분리의 표준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분자생물학분야 전문 학술지 ‘셀(Cells)’의 7권 116호에 실렸다. 김세현 산림소득자원연구과장은 “산림생명산업의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산림버섯의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밝히는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국내산 복령의 표준재배법 개발로 임업인 소득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
건강임산물 ‘복령’에서 새로운 항암물질 발견
-
-
나무야, 반가워! 그리고 고마워 !
- 정관박물관(관장 성현주)은 5월 1일부터 10월 28일까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과 함께 ‘나무’를 주제로 한 어린이 체험형 전시 ‘나무를 만나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늘 우리 가까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특별히 관심을 갖거나 이해하려 하지 않았던 ‘나무’를 여러 가지 체험을 통해 만나볼 수 있도록 꾸며진 이번 전시는, 어린이들의 ‘나무’에 대한 관심과 이해,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무를 만나다’ 특별기획전은 전시실 입구에 조성된 숲길을 따라 들어서서 가장 처음 접하는 ‘나무의 일생’에서는 나무의 모습을 살피고 관찰하는 등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나무, 나무와 함께 살아가는 곤충과 동물 친구들에 대해 알아보고, 나무가 우리에게 주는 각종 혜택, 나무로 만든 반닫이·경상 등 전통가구와 제기·다식판 등 살림살이들을 전시하여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서 나무가 어떻게 쓰였는지 등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다채롭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아이들이 몸으로 체험하면서 나무를 오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을 곳곳에 마련했다. 통나무를 이용한 톱질·대패질, 장작패기, 마룻장 깔기 체험, 나무로 만든 악기와 생활용품을 체험하는 한옥 재현 공간, 나무촉감, 한약재 후각 체험 등에서 직접 보고만지고 냄새 맡으면서 우리 생활 속 나무의 다양한 쓰임과 활용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또 나무 블럭과 자석놀이가 갖추어진 나무놀이터에서는 아이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서 자연스럽게 나무와 친해질 수 있도록 했다. 정관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어린이들을 주 대상으로 한 체험형 전시로 기획되었지만, 동반한 어른들 역시 즐겁게 관람하면서 나무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깨달을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전시는 혼잡을 피하기 위해 인터넷 예약제로 운영되며, 정관박물관 홈페이지(https://reserve.busan.go.kr)에서 신청 가능하며 회당 관람인원은 30명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나무야, 반가워! 그리고 고마워 !
-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신소득 창출이 유망한
- 지난해 8월 17일 나고야의정서가 국내에 발효됨에 따라 국내 산림자원의 가치는 매우 높아졌다. 이에 따라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센터장 김종연)는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개느삼’ 자원의 조속한 확보 및 신품종 개발을 위해 신규 「산림생명자원 관리기관」국립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정은주 교수팀이 선정되어 4월 20일 협약식 및 현판식이 진행되었다.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 Nakai)’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강원도 북부지역(양구, 인제 등 이북지방)에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되어 있는 특산수종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자람이 좋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란다. 남부지방에서는 종자의 결실이 어려워 실생번식은 불가능하나, 지하경을 잘라서 근삽법을 통해 번식이 가능하다. 그 외, 생물공학기법이 발달함에 따라 식물조직배양법을 이용한 기내번식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개느삼의 이용범위는 콩과식물로써 조경용으로 척박한 경사지나 절개사면 등에 녹화용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그 외 에도 예로부터 뿌리를 ‘고삼(苦蔘)’이라 하여 한약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고삼의 효능은 항염증 및 위장기능 개선, 이뇨작용, 항암작용 등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신물질분석을 통해 신약, 화장품 등 바이오산업의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다.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전공 정은주 교수팀은 「산림생명자원 관리기관」으로서, 3년간 우리나라 고유수종 개느삼을 체계적 수집, 증식, 보존 및 특성평가, 이용활성화를 위한 D/B를 구축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날 협약식 이외에도 ‘산림청 규제개혁 현장지원센터’를 마련하여 참석자 대상 산림분야 규제개혁 홍보 및 산림생명자원 사업 수행을 저해하는 규제와 불편사항을 청취하였다. 아울러,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2010년부터 『농업생명자원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내 산림생명자원의 수집·보존 및 특성평가, 자원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산림생명자원 관리기관」10개 지정·운영을 지정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산업화 산림자원의 체계적 확보를 위해 확대 운영할 계획 중에 있다. 김종연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은 “산림생명자원 관리기관 지정을 통하여 우리만이 할 수 있는 고유종을 체계적 수집·보존 및 신품종개발을 위한 특성평가 관련 연구를 하는 것은 그 가치가 매우 높다.”면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산림자원의 주권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 품종관리센터
- 산림청본청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신소득 창출이 유망한
-
-
대구수목원 『대구의 나무도감』 펴내
- 쓰레기 매립장에서 향토 식물자원 보전과 자연생태 체험 그리고 자연학습의 장으로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대구수목원은 대구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들을 소개하는『대구의 나무도감』을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대구의 나무도감』은 대구 인근의 산야에서 자생하거나 생활주변의 공원 등에 식재되어 있는 나무 296종류를 선정하여 현장에서 편하게 활용하고 언제 어디서나 들고 다니기 쉬운 크기로 제작했다. 특히 도감에는 나무를 보다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전경, 꽃, 열매, 잎, 수피, 겨울눈, 종자 등 계절에 따른 나무의 부위별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생태ㆍ환경적 특성과 학명, 영명, 한약명, 나무이름의 유래, 용도, 효능, 유사 식물 종간의 식별 요령 등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하여 보다 쉽게 나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고 오래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제작했다. 본 도감은 시민들이 누구나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대구중앙도서관 등 주요 공공도서관에 비치를 하였으며, 수목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 및 학습용 보조 자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대구시 장정걸 수목원관리사무소장은 “『대구의 나무도감』이 나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초보자에게 나무를 쉽게 알고 이해하는 안내서로써 그 역할을 하길 바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식물에 대한 유익한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수목/과학
-
대구수목원 『대구의 나무도감』 펴내
-
-
2018 임산물 생산자(생지황) 간담회 개최
- 진안군 산림조합은 지난 1월 29일 생지황 재배자들을 모시고 생산자간 기술교류 및 침목 도모를 위한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생지황은 지황 뿌리의 날것을 말하며 피의 생성을 돕고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생지황재배 활성화를 위한 생산자간 의견 교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임산물 재배를 원하는 예비 임업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 자리에서 전해석 조합장은 “수입 임산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가에 수입이 어려운 생지황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우리 조합이 생지황의 판매와 양질의 생지황 재배교육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또한 “우리 조합은 2018년을 임업인과 조합원의 소득증대를 위한 한 해로 정하고 재배품목의 다양화를 위한 품목 교육과 선진지 견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후정산 벌채사업을 통해 산주 소득사업에도 적극 나서겠다.”라고 밝혔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2018 임산물 생산자(생지황) 간담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