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재)숲과나눔 일환경건강센터-사회적기업 ㈜가온 업무협약 체결
- 재단법인 숲과나눔 일환경건강센터(센터장 김형렬)가 사회적기업 (주)가온과 ‘노동자 산업안전보건서비스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화) 밝혔다. 양 기관은 상호 업무 협력체계 구축을 토대로 지역사회 노동자의 업무상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위해 힘을 합치게 됐으며, 올 하반기부터 요양보호사를 우선하여 건강 교육 및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산후관리사까지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업무협약은 노동자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의 일터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노동자의 건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프로그램 상담 장소 제공 △노동자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및 보건서비스 제공 등이다. 류현철 일환경건강센터 부센터장은 “지역사회에 직업병으로 어려움을 겪는 노동자에게 지속적인 건강관리(상담)와 산업안전보건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가내 근로라는 이유로 노동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근로기준법이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가사관리사 분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뜻깊다”고 밝혔다. 한편, 일환경건강센터는 재단법인 숲과나눔(이사장 장재연)의 부설기관으로 반도체 산업 협력업체의 환경·안전·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의 일터를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 설립된 민간 최초 공익산업보건센터다. 센터는 소규모 영세업체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산업 안전 보건서비스를 무상 제공하는 등 직업병 예방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뉴스광장
- 환경
-
(재)숲과나눔 일환경건강센터-사회적기업 ㈜가온 업무협약 체결
-
-
해남군, 생활권 내 위험한 나무 제거
- 해남군이 생활권 내 재해 위험이 있는 나무를 제거하는 녹색 서비스를 제공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올해로 3년째 실시되고 있는 위험한 나무 제거 서비스는 주민들의 신청을 받아 전문가의 현장 심사를 거쳐 재해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해 주고 있다. 특히 강우와 강풍, 태풍 등으로 나무가 쓰러지거나 흔들려 가옥이나 전선 등에 발생하는 시설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를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는 14개 읍⋅면에서 264건을 접수받아 대나무 100주와 단순 불편목 59주를 제외하고 나머지 105주에 대해 제거사업을 실시하고 있다.첫해인 2017년에는 148주, 2018년 407주를 신청 받아 나무를 제거하거나 가지치기를 실시했다. 군은 태풍 등 자연재해가 발생해 나무가 쓰러지거나 부러졌을 때 응급복구 사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생활권 내 제거할 위험목이 있는 주민은 신청기간에 가까운 읍⋅면사무소에 접수하면 담당 부서의 현장 심사 후 위험목 제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 뉴스광장
- 환경
-
해남군, 생활권 내 위험한 나무 제거
-
-
죽로차와 함께하는 전통문화체험, 담양에서 함께해요
- 전남 담양군에서 ‘죽로차와 함께 대숲향을 담다’라는 주제로 죽로차와 함께하는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오늘은 죽로차 마시는 날 행사는 매월 1일 죽녹원 일원에서 14시부터 16시까지 제다와 다도 체험을 통해 차 활용법을 배우고 죽로차와 함께하는 대나무 이야기를 들으며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참가신청은 담양군 문화관광 홈페이지(tour.damyang.go.kr)를 통해 가능하다. 참가비는 5천원으로 선착순 30명(1회)을 모집하며, 수시로 사전예약을 받는다. 또한 ‘죽로차와 함께하는 담양여행’은 매주 토·일·공휴일 죽녹원 내 우송당, 관광정보센터와 메타세쿼이아랜드 3개소에서 13시부터 16시까지 다도체험과 죽로차 시음행사를 즐기는 프로그램으로,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여가능하다. 군 관계자는 “지역 고유의 죽로차 향기 가득한 다도체험으로 바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고 여유를 가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본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에서 지원하며, 자세한 사항은 담양군 녹색관광과(061-380-3151)와 (사)담양죽로차연합회(061-383-2212)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
- 뉴스광장
- 행사/축제
-
죽로차와 함께하는 전통문화체험, 담양에서 함께해요
-
-
하동 북천 꽃양귀비 축제장 현장 점검
- 하동군은 오는 17일 개막하는 제5회 하동 북천 꽃양귀비 축제를 앞두고 윤상기 군수가 지난 8일 축제 준비사항과 꽃 포장에 대한 현장점검을 벌였다고 9일 밝혔다. 이날 현장점검은 유례없는 따뜻한 겨울날씨가 지속되다 4월 갑작스러운 저온으로 인한 작물의 생육상황과 축제 준비사항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보완하고자 실시됐다. 윤 군수는 이날 축제장 포장을 둘러보면서 꽃의 개화시점, 이색작물 관리, 둑방길 쉼터 조성, 꽃탑 등의 시설물 보완, 볼거리 작물 식재, 체험시설 정비 및 활용, 탐방로 황토포장, 주차장 정비, 직전 소류지 주변 정비 등 축제 준비 전반에 대해 꼼꼼히 점검했다. 윤 군수는 여러 가지 시설 설치도 중요하지만 기본이 되는 꽃밭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작물 및 포장 관리, 잡초제거 등으로 남은 기간 전체 포장에 대해 관리를 철저히 하고 편의시설도 빠짐없이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옛 북천역에 설치된 하동 레일바이크 탑승장을 찾아 포토존 설치, 장미꽃 식재 등을 추가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향기 나는 봄나들이, 꽃천지 북천에서’를 슬로건으로 한 이번 축제는 5월 17일∼26일 10일간 북천면 직전리 일원 25만㎡의 들판에서 개최된다. 이번 축제에서는 유럽양귀비, 금영화, 안개초, 수레국화 등의 이색 꽃밭 단지를 새로 조성하고, 왕고들빼기를 심어 수확과 함께 김치 담그기 등의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또한 디기탈리스 등 9종의 꽃을 이용해 800여개의 화분을 만들어 레일바이크 및 축제장 탐방로에 배치해 볼거리를 더욱 풍성하게 한다. 문면근 하동북천 코스모스메밀꽃영농조합법인 대표는 “현재까지의 꽃양귀비 작황은 매우 양호하며, 남은 기간 꽃밭 관리를 철저를 기해 관광객에게 아름다운 꽃 축제를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행사/축제
-
하동 북천 꽃양귀비 축제장 현장 점검
-
-
하동군, 하동야생차문화축제 10일 개막
- ‘왕의 차! 다향표원(茶香飄遠)! 천년을 넘어 세계에 닿다’를 슬로건으로 한 제23회 하동야생차문화축제가 10일 화려한 막을 올린다. 오는 13일까지 나흘간 우리나라 차 시배지 화개·악양면 일원에서 개최되는 이번 축제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에 걸맞게 글로벌 문화관광 차축제를 목표로 한다. 특히 하동녹차의 세계화와 대중화, 산업화에 역점을 두면서 대한민국 대표 다인(茶人)박물관 건립 분위기를 조성하고, 2022년 개최 목표인 하동야생차의 세계유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토대 마련에 초점을 둔다. 글로벌 축제 도약을 위한 주제관, 세계 차문화 페스티벌 등 세계인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하고, 녹차의 대중화를 위한 가족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을 확충한 것도 이번 축제의 특징이다. 그리고 차 생산 농가와 가공업체의 소득향상과 직결되는 소비·판촉 프로그램을 적극 발굴하되 비주제성 프로그램은 가급적 축소했다. 이를 위해 이번 축제는 대표 프로그램 6개를 비롯해 핵심 프로그램 6개, 공식 프로그램 4개, 공연․전시 프로그램 6개, 경연 프로그램 4개, 사찰 연계 프로그램 3개, 글로벌·체험 프로그램 8개, 기타 13개 등 60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축제는 첫날 오전 10시 화개면 차시배지에서 축제의 성공과 올해 차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헌다례로 시작된다. 같은 시각 주무대에서는 하동차생산자협의회가 주관하는 올해의 차 품평회가 열리고, 행사장 일원에서 제3회 남대우 문학기념 백일장 및 시낭송대회, 켄싱턴 리조트에서 해외바이어초청 수출상담회가 각각 개최된다. 그리고 오전 11시 주행사장에서 하동의 명품 차 브랜드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하동 차 시장이 개장하며, 오후에는 천년고찰 칠불사에서 선차 학술발표 대회가 열린다. 이어 오후 7시 개막식에 앞서 6시부터 찻일소리 공연과 ‘하동야생차 다향표원’을 테마로한 하동청소년예술단 하울림의 특별공연, 길놀이, 권원태의 줄타기 공연이 이어진다. 그리고 개막식에서는 1부 주제 퍼포먼스에 이어 2부 슈퍼 스틱의 타악 공연과 인기가수 거미의 축하공연으로 축제의 서막을 알린다. 다음 날은 오전 10시 대한민국 아름다운 찻자리 최고대회와 추억의 만화가와 함께하는 여행스케치가 주행사장에서 열리고, 지리산국립공원 주차장에서는 오전 10시 KBS 전국 노래자랑 리허설에 이어 오후 1시 송해 선생의 사회로 본격적인 녹화가 진행된다. 또 같은 날 오후에는 제1회 대렴차문화대상 시상식, 지역민이 함께하는 내 고장 멋 자랑대회가 주무대에서 열린다. 셋째 날은 오전 10시 대한민국 다례 경연대회를 시작으로 통일메아리 악단의 ‘이제 만나러 갑니다’ 공연, 내 고장 멋자랑 대회가 주무대에서 차례로 이어진다. 마지막 날은 오전 10시 하동 티 블렌딩 대회, 김해시립가야금연주단 공연, 딩동댕 군민화합 노래자랑에 이어 오후 6시 축제의 대미를 장식하는 폐막식을 끝으로 나흘간의 축제를 마무리한다. 이와 함께 이번 축제에서는 무대 프로그램 외에 축제에 참가하는 내·외 관광객 누구나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상설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마련된다.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된 1200년 역사의 하동 전통차농업과 섬진강 재첩잡이의 국가중요어업유산, 이웃사촌 남해·광양 홍보관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주제관이 축제기간 운영된다. 그리고 청정 지리산 자락에 50만㎡ 규모로 조성 중인 정금차밭에서 신촌차밭을 거쳐 쌍계사 인근 차시배지로 이어지는 2.7㎞ 구간에서는 주말·휴일 힐링과 치유의 천년 차밭길 투어가 진행된다. 또한 한국을 비롯해 영국·일본·대만·터키·중국·러시아·인도·베트남 등 세계 9개국의 차와 차 관련 소품, 다도구 등을 전시·판매하는 세계 차문화 페스티벌도 축제기간 펼쳐진다. 특히 이번 축제에서는 체험·참여형 프로그램이 대폭 늘어나면서 축제장을 찾는 관광객이면 누구나 이들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축제를 즐길 수 있다. 대표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올해 신설된 하동야생차 야외 제다체험으로, 녹차의 덖음 체험과 차별화한 전통방식의 화로를 이용해 잭살차를 만들어 보거나 ‘홍차’로 잘 알려진 발효차의 맛을 제대로 낼 수 있는 비비기 체험 등을 할 수 있다. 티 블렌딩 대회와 함께 올해 신설된 티 블렌딩 체험 및 티 칵테일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며, 차의 종류와 효능, 차와 허브의 특성, 블렌딩 차를 만들어 나만의 차 이름을 지어보는 하동차문화학교도 운영된다. 과거 궁중에서 임금님이 먹던 녹차 꽃 송편 빚기 체험, 차꽃 모양 열쇠고리나 찻잔 받침 등을 만들어 보는 차 바느질 공예, 찻잎의 크기·빛깔·향기·맛 등을 구별해보는 채엽교실도 개설된다. 그 외 청정 지리산 공기캔 체험, 찻사발 빚기, 추억의 달고나 체험, 차를 이용한 음식 체험, 차와 함께하는 최참판댁 예절교실, 화사별서 고택음악회, 하동 농·특산물 판매장, 목공 DIY, (주) 파리크라상 홍보·판매관 등도 상설 운영된다.
-
- 뉴스광장
- 행사/축제
-
하동군, 하동야생차문화축제 10일 개막
-
-
산림조합중앙회, 시군조합 표고재배 지도, 재배상담 역량 강화
-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이석형) 산림버섯연구센터는 지난13일 표고버섯 산업 활성화와 전문지도 인력 육성을 위한 표고버섯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였다. 전국 142개 시군조합 표고담당 지도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표고버섯 역량강화 교육은 우수 표고 품종설명, 원목 재배교육, 표고 종균 공급 및 전산운영, PLS(농약 허용물질 목록 관리)제도, 표고재배 병해충 교육 등 재배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이번 교육은 국내 최고의 버섯관련 강사진으로 표고 원목 재배기술과 병해충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을 위한 지도원의 역량을 높이는데 주력하였다. 고한규 산림버섯연구센터장은“지속적인 표고버섯 지도 담당자 교육을 통해 안정적인 재배기술 보급과 재배 임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지역 일자리 창출과도 연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산림조합중앙회, 시군조합 표고재배 지도, 재배상담 역량 강화
-
-
장흥군 편백숲 우드랜드, 철저한 준비로 태풍 피해 최소화
- 장흥군 편백숲 우드랜드가 최근 태풍 ‘솔릭’ 북상에 대한 철저한 대비로 피해를 최소화했다. 우드랜드는 2012년 볼라벤 태풍으로 40~50년생 아름드리 편백나무가 쓰러지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폭우와 강풍을 동반할 것으로 예고됐던 태풍에 대비해 우드랜드 내 시설물 점검, 수로정비 및 고사목제거, 배수로 토사퇴적물 제거 및 물길설치, 우드랜드 임시휴장 하는 등 태풍 대비 활동에 만전을 기했다. 그 결과 강풍과 폭우 속에서 별다른 피해 없이 태풍을 막아냈다. 우드랜드 직원 60여명이 시설물 점검, 우드랜드 정화활동 등 태풍피해 복구활동을 실시해 26일부터 탐방로 일부를 제외하고 우드랜드 안에 조성된 숙박시설이나 편백소금집 등은 모두 정상운영 되고 있다. 정종순 장흥군수는 “사전에 실시했던 태풍 대비활동으로 큰 피해 없이 지나가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철저한 사전대비로 우드랜드 내 피해가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장흥 억불산 기슭에 자리 잡은 우드랜드 내에는 목재문화전시관, 편백소금찜질방, 생태건축체험장(펜션) 등이 들어서 연중 방문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자연발아 조성된 편백숲을 활용하여 황톳길, 편백톱밥길, 지압로 등 테마별 맨발걷기길을 조성하여 연중 관광객 맞이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 뉴스광장
- 수목/과학
-
장흥군 편백숲 우드랜드, 철저한 준비로 태풍 피해 최소화
-
-
군산시, 태풍‘솔릭’북상 대비 비상체제 유지
- 군산시는 강한 비와 바람이 예상되는 제19호 태풍‘솔릭’이 서해안을 중심으로 북상함에 따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시에서는 산사태와 붕괴 등을 예방하기 위해 축대・옹벽 등 안전시설물을 점검했으며, 배수펌프장과 우수저류조 등 배수시설물을 재정비하고 연안어선의 대피명령과 소형어선의 인양조치를 완료했다. 또한 기존 공동주택단지 등 노후주택을 대상으로 시설물 점검반을 편성하여 일제점검을 실시했으며, 강풍 및 집중호우에 취약한 공동주택 등 건설현장을 찾아 안전조치에 나섰다. 특히 이승복 부시장은 지난 23일 관내 공동주택 건설현장을 직접 찾아 태풍 피해 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강조하며 건설공사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총력을 기울였다. 공사장 주변 배수시설과 안전펜스의 고정상태, 고층의 자재 적재 등 위험요소를 재정비하고, 특히 강풍으로 인한 타워 크레인 전도 사고 발생 시 재산・인명피해가 막대함에 따라 피해 위험성을 거듭 강조하며, 태풍이 완전히 소멸되기 전까지 타워 크레인의 운행을 전면 중지하고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태풍 솔릭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위험요소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며, 태풍 피해 발생 시 관계부서 및 유관기관과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풍수해 재난 현장조치 매뉴얼에 따라 신속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군산시, 태풍‘솔릭’북상 대비 비상체제 유지
-
-
서천군, 태풍 ‘솔릭’선제적 대응에 행정력 집중
- 서천군은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향해 북상중인 가운데 오는 23일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1일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선제적 대응에 팔을 걷어 붙였다. 박여종 서천부군수는 태풍으로 인한 군민 인명 및 재산 피해 최소화를 위해 21일 오후 4시30분 군청 회의실에서 관련 부서장과 각 읍면장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주재하고 행정력을 집중시켜 태풍 대비 태세를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군은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실무반 비상연락망을 정비하고 정위치 비상근무를 실시하는 등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으며 집중호우와 강풍을 대비해 재난 취약지역 사전점검에 나섰다. 빗물받이 퇴적물 청소상태와 공사장 주변 배수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노후주택과 주택사면, 급경사지, 지하주택 및 상가 등을 대상으로 침수방지시설 점검, 하천 내 사고 방지 위한 예·경보시스템 확인 등 시설물을 꼼꼼하게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폭염 대응으로 설치했던 그늘막 제거하고 건축물과 옥외시설 및 공사장, 해안지역 등을 돌며 지붕과 조형물을 결박, 농업분야 재해 대비 비닐하우스를 고정하는 등 강풍에 철저하게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박여종 서천부군수는 “지역자율방재단 예찰 활동도 강화하고 군민 스스로 재난에 사전대비 할 수 있도록 문자 발송, 옥외 전광판 등을 통해 행동요령을 적극적으로 집중 홍보해 태풍으로 인한 주민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서천군, 태풍 ‘솔릭’선제적 대응에 행정력 집중
-
-
담양대나무축제, 전국 지역축제 만족도 2위
- 2017, 2018년도 2년 연속 문화 관광 최우수축제인 담양대나무축제가 방문객 만족도 2위 지역축제 선정됐다. 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와 여행전문 리서치 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시행한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에 따르면 담양대나무축제가 행사 콘텐츠와 축제 환경 등 운영 부문에서 710점을 획득해 종합 만족도 2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2016~2017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702개 지역축제 중 방문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60사례 이상인 71개 축제를 대상으로 콘텐츠 풍족도와 축제 환경 쾌적도 등을 평가했다. 조사 결과, 콘텐츠 풍족도 부문은 휴식공간, 쉼터, 벤치 등 쉴거리 측면에서 69.3점을 얻었고, 축제 환경 쾌적도 부문은 대중교통, 정체, 주차질서 등 교통 환경 분야에서 63.1점을 얻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또한 화장실, 안내소, 휴식 공간 등 편의시설과 팸플릿, 진행요원 등 안내/진행 분야에서 각각 66점과 64.63점을 얻어 2위를 차지하는 등 4개 분야에서 상위 3위 안에 드는 우수한 성적을 얻었다. 군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직접 축제 현장을 방문해 본 적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축제 프로그램과 운영 전반에 대한 평가인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담양 대표 관광 브랜드인 담양대나무축제가 전 세계인이 즐기는 글로벌 축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담양대나무축제는 지역 부존자원인 대나무를 소재로 한 전국 유일의 축제로 대나무와 관련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와 학생에게 교육적 효과는 물론, 가족 단위 방문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로 평가받고 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담양대나무축제, 전국 지역축제 만족도 2위
-
-
무안군, 벼 병해충 예찰 및 중점방제 지도에 총력
- 무안군(군수 김산)은 최근 서남해안 일부 지역에서 벼 흰등멸구가 발생함에 따라 벼 중점방제 기간을 이 달 10일부터 20일까지로 정하고 벼 병해충 발생예찰과 함께 모든 논에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8∼9월 중점방제 대상 병해충은 멸구류, 먹노린재, 혹명나방,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등으로 현재까지 관내 벼 병해충 발생은 미미한 수준이나 향후 상습 발생지역과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예찰이 필요하다. 특히 멸구류는 발생 시 초기에 신속하게 방제해야만 미질 저하, 수량 감소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이삭도열병은 예방위주로 출수 전 이삭이 2~3개 팰 때 방제하며, 혹명나방은 포장에 피해 잎이 1~2개 정도 보이거나, 벼 잎이 세로로 말리는 유충 피해증상이 보일 때 방제하면 된다. 군 관계자는 “고온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기상여건에 따라 병해충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중점방제 기간에 방제하여 예방적 관리를 해주기 바라며, 농약 사용 시 적용약제 혼용 여부, 희석배수 준수, 방제복 착용 등 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무안군, 벼 병해충 예찰 및 중점방제 지도에 총력
-
-
장흥군 장기 폭염(가뭄)에 따른 산림 피해 최소화 노력
- 전라남도 장흥군은 장기간 계속되는 폭염에 따른 가뭄으로 올해 식재된 조림, 가로수 등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림(수목) 가뭄 피해 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정종순 장흥군수는 물축제 기간 폭염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가뭄이 동시에 발생함에 따라 지역민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8월 1일부터 산림 가뭄피해대책 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군이 직접 식재한 수목 등에 군 운용 가능 물차를 동원하여 관수를 실시하는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올해 장흥군에서는 조림과 공원 등 6개 분야 50만 그루의 나무를 식재하였으며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군 협력체를 구성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장흥군 산림조합에서는 물차를 무상대여하였으며 장평면 번영회에서는 인건비를 지원하는 등 전 군민의 의지를 담아 가뭄을 극복하고 있다. 민선7기 출범과 더불어 맑은물 푸른숲을 군정의 목표로 할 정도로 산림에 대한 관심과 군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장흥군은 이번 폭염에 따른 가뭄을 극복하는 데 지역민의 관심과 적극적 협력을 유도하여 숲속의 장흥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고 의지를 밝혔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장흥군 장기 폭염(가뭄)에 따른 산림 피해 최소화 노력
-
-
장흥군, 편백숲 우드랜드서 숲 해설가 양성한다
- 장흥군(군수 정종순)은 지난 23일 숲 해설가 양성을 위해 숲해설가광주전남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숲해설가광주전남협회는 2002년에 창립한 사단법인으로서 2008년에 산림청 산림교육전문가 양성기관으로 지정 받았다. 업무협약을 맺은 양측은 10월부터 장흥 편백숲 우드랜드에서 숲 해설가 양성교육 현장실습을 진행하기로 했다. 장흥읍 억불산 자락에 위치한 정남진 편백숲 우드랜드는 33ha에 걸쳐 40년생 이상의 아름드리 편백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숲 속에는 사색의 숲, 자생식물원, 목재문화전시관, 말레길 등 조성되어 있고 숲해설, 유아숲체험 등 산림교육과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국 최초의 산림복지복합단지다. 편백숲을 활용한 체계적인 산림교육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 평가되어 숲 해설가 양성과정 현장실습 장소로 선택됐다. 장흥군 관계자는 “편백숲 우드랜드는 실습 여건이 잘 갖추어져 있고 숲해설가의 경험도 풍부한 만큼 더 많은 실습생들이 찾아와 실습교육을 받고 많은 관광객들이 산림치유, 유아 숲 프로그램 등 다양한 숲 체험을 경험하여 힐링되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장흥군, 편백숲 우드랜드서 숲 해설가 양성한다
-
-
담양군, 올여름은 대나무정원 담양 ‘죽녹원’으로 떠나요!
- 담양 죽녹원은 무더운 여름 온도를 낮춰 줄 시원한 대나무 숲속의 맑은 공기를 마시며 여유로운 휴가를 보내기 안성맞춤인 곳. 한편, 국내 굴지의 여행사인 모두투어에서 소개한 ‘해외여행 부럽지 않은 국내 여름휴가지 추천 7’에 담양이 올여름 추천 여행지로 꼽힌 바 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담양군, 올여름은 대나무정원 담양 ‘죽녹원’으로 떠나요!
-
-
올 여름 휴가는 무안연꽃축제에서 시원하게 즐겨요!
- 오는 8월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무안군 일로읍 회산백련지 일대에서 ‘사랑·소망, 그리고 인연’이라는 주제로‘제22회 무안연꽃축제’가 개최된다. 올해 22회째를 맞는 무안연꽃축제는 개막행사인 연자방 소망등 달기, 백련 가래떡 나눔잔치와 올해 처음으로 도입된 사랑과 화합의 대행진을 시작으로 8개 분야 85종의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큰 호응을 받았던 ‘얼음나라 i-쿨존’을 대폭 확대해 운영한다. i-쿨존은 꽁꽁 얼린 얼음을 주제로 겨울 포토존, 아이스 로드, 연 얼음물체험, 얼음놀이터 등 시원한 축제장을 선사한다.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프로그램으로는 발이꽁꽁 연꽃 얼음 물길 체험, 연꽃 소원유등 띄우기, 연꽃하늘 드론 시연 및 체험과 회산백련지 전역에 가상의 보물을 숨겨 찾는 연꽃방죽 AR 보물찾기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수생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전망대를 비롯해 108흔들다리, 생태탐방로, 생태연못, 전통정원 등이 운영되며, 올해 새롭게 선보일 ‘평화의 동산’에는 다양한 연꽃과 한반도모형의 꽃단지, 포토존, 꽃 터널 등을 설치하여 회산백련지의 새로운 볼거리가 될 전망이다. 공연행사로는 연꽃 군민노래자랑, 연풍연가 사람음악회, 무안 승달국악대제전 수상자 특별 초청 공연 등 다채로운 주민참여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연꽃 백일장 및 사생대회, 황토골 무안요리 경연대회, 연꽃 어린이 독서 골든벨 대회 등의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밖에도 유리온실 수변무대에 연꽃등 설치, 다양한 레이저쇼, 연꽃 프로포즈 포토존, 버스킹 공연과 가벼운 음료와 다과를 즐길 수 있는 연빛 살롱을 운영하고, 수련공원과 연꽃전망대에 연자방 LED 소망등 달기, 연꽃 소망유등 띄우기, 연꽃등 달기 체험 행사를 진행해 연꽃과 음악, 아름다운 배경, 먹거리를 갖춘 야외 파티 공간으로 젊은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그 어느 해보다 다양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를 풍성하게 준비했으니,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여 시원한 여름축제도 즐기고 백련향기와 함께 힐링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올 여름 휴가는 무안연꽃축제에서 시원하게 즐겨요!
-
-
장흥군 장동면, 친환경 작목반 선진지 견학
- 장흥군 장동면 친환경 작목반(작목반장 김재기)은 농업인들의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 함향과 유기농 면적 확대를 위해 지난 13일 선진지 견학을 실시했다. 이날 견학은 친환경농업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단지별 친환경농업 선도농가 40명과 담당공무원 및 농협관계자 등 총 45명이 전남 나주시 농업기술원 및 무안군 친환경 선도농가의 친환경 벼 포장을 견학했다. 장동면(면장 김광재)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선진 재배기술 교육과 각종 시설을 견학하면서 우리지역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을 확대시켜 농가소득 증대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무농약, 유기농을 적극 유도하여 올해에는 유기농 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체험을 마친 한 작목반원은 “형식적인 견학이 아닌 농가들이 보고 느끼며 친환경농업 실천 의지를 갖게 하는 유익한 선진지 견학이었다”며 “앞으로도 견학 프로그램을 만들어 새로운 영농기술을 습득해 농가소득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며 기대를 나타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장흥군 장동면, 친환경 작목반 선진지 견학
-
-
장흥군새마을회, 깨끗한 바다 해양환경교육 실시
- 장흥군새마을회(회장 김명환)는 지난 12일 대덕읍새마을가족(협의회장 남태만, 부녀회장 홍성순) 40여명과 깨끗한 바다를 지키고 해양환경을 보존하기 위한“2018 실천하는 해양환경 교육”을 실시하였다. 최근 해양환경 및 해양 쓰레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해양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이해하고 해양이 주는 이점과 현재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바다환경을 보전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통하여 이해를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해양환경교육원“찾아가는 해양환경 교육”의 이창남 교수의 강의로 진행되었다. 교육에 함께한 새마을지도자장흥군협의회 김일진회장은 “지구표면의 70%를 차지하여 지구의 심장과도 같은 우리 지역의 바다를 지역주민과 새마을지도자가 함께 깨끗하게 관리하여 우리 후손에게 물려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교육 소감을 말하였다. 한편 장흥군새마을회는 건강하고 깨끗한 바다를 지키기 위하여 실천하는 해양환경 교육, 해양쓰레기 수거, 해양 정화활동, 캠페인 등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는 “2018 해양환경 보전분야 민간단체”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실천하고 있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장흥군새마을회, 깨끗한 바다 해양환경교육 실시
-
-
정남진장흥농협, 표고버섯·무산김 하반기 홍콩 첫 수출
- 장흥의 대표 특산물인 원목 표고버섯, 무산김, 김치가 지난 11일 홍콩 수출길에 올랐다. 수출 물량은 표고버섯 3톤, 무산김 13,000세트, 김치 6,000세트를 비롯한 장흥 특산물로 약 2억 원 규모다. 이날 장흥군을 떠난 수출품은 13일 부산항에서 선적돼 홍콩으로 출발한다. 이번 수출은 올해 초 장흥원목표고버섯 35톤 수출 계약 협의 후 하반기 첫 수출이다. 정남진장흥농협(조합장 강경일)과 장흥군(군수 정종순)이 손잡고 지역 특산품의 부가가치창출과 내수시장 한계 극복을 위해 노력한 것이 열매를 맺은 것이다. 강경일 조합장은 “홍콩과의 꾸준한 신뢰로 인해 매년 계약 물량 및 품목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수산물, 가공식품 등 수출가능성이 있는 상품을 발굴하여 해외시장개척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종순 장흥군수는 “원목표고버섯을 비롯한 장흥특산물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판매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군 차원에서 다각도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남진장흥농협은 지난해 홍콩과 일본 등으로 13억원 수출하였고 전반기에도 미국에 표고차 첫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정남진장흥농협, 표고버섯·무산김 하반기 홍콩 첫 수출
-
-
구례군, 방광마을 전통 숲 가꾸기 실시
- 구례군은 지리산 계곡변에 자리 잡고 있는 방광마을의 전통 숲이 주민들의 손길로 아름다운 풍광을 되찾고 있다고 밝혔다. 방광마을회(이장 강태수)는 지난 5월 구례군과 전통마을 숲을 가꾸기 위해 ‘마을 숲 돌보기 협약’을 체결한 후 우드칩 깔기, 산머루 터널 만들기 등 숲 돌보미 활동을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등 평소 숲속의 전남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지난 10일 본격적인 여름행락철을 맞이하여 마을주민 80여 명이 참여해 마을 숲에 식재된 이팝나무, 산딸나무 등 교목류 300주와 산수국, 꽃댕강 등 관목류 1,870주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잡초와 잡목을 제거하고 환경을 정비하였다. 강태수 마을이장은 “계곡과 연접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으나 그동안 제대로 된 풍광과 숨겨진 전설을 소개할 수 없었지만, 전통마을 숲 복원으로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며, “주민들과 협력하여 전국 최고의 마을 숲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군에서는 앞으로도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고 생리적 복원이 시급한 마을 숲을 선정해 고사목 제거, 후계목 심기, 수목환경 개선, 산책로 조성, 주민 편의시설 설치 등 숲의 옛 모습을 구현해 숲과 함께 전해오는 역사·문화를 계승하고 아름다운 산림문화자원이 될 수 있도록 육성할 계획이다.
-
- 뉴스광장
- 지방행정
-
구례군, 방광마을 전통 숲 가꾸기 실시
-
-
한밭수목원으로‘우리식물 나들이’어때요
- 한밭수목원은 오는 20일부터 한 달간 엑스포시민광장 일원에서 제25회 우리꽃 전통생활식물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우리식물 나들이’라는 부제로 펼쳐지는 이번 전시회는 한밭수목원에서 직접 가꾸고 기른 봉선화, 원추리, 도라지 등 우리꽃과 아주까리, 수세미, 조롱박 등 전통생활식물 250종 3,100여 점이 약용식물, 허브식물, 수생식물 등 주제원별로 수목원 곳곳에 전시된다. 행사장 주변에는 봉선화 물들이기, 화분 만들기와 윷놀이, 투호 등 남녀노소 누구나 다양한 전통놀이를 체험할 수 있는 부스가 운영되며, 포토존에서는 가족, 연인과 즉석사진 찍기도 무료로 즐길 수 있다. 특히, 잔디광장 중앙에 대형 한꿈이 꽃탑과 꽃조형물을 비롯해 PET병을 재활용한 바람개비, 옛날 우물펌프 등 다채로운 볼거리가 제공되며, 야간에는 경관조명으로 LED 꽃마차, 장미정원 등 색다른 분위기를 관람할 수 있다. 이밖에, 전시기간 중‘맥키스오페라 뻔뻔한 클래식’‘청춘마이크’‘2018 견우직녀축제’등 문화행사와‘세계희귀애완동물전시’,‘식물세밀화 전시’등 풍성한 문화행사도 함께 마련된다. 한밭수목원 관계자는“이번 전시는 예년에 비해 전시장 규모는 물론 체험프로그램, 연계행사, 경관조명 등 풍성한 볼거리를 준비했다”며 “가족, 연인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만드는 시간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밭수목원 홈페이지(http://www.daejeon.go.kr/gar/index.do)를 참고하거나 전화(042-270-8481)로 문의하면 된다.
-
- 뉴스광장
- 수목/과학
-
한밭수목원으로‘우리식물 나들이’어때요
산림행정 검색결과
-
-
‘국립 난대수목원 거제 유치’ 15만 지지서명 확보
- 산림청이 조성하는 ‘남부권 국립 난대수목원’ 경남 거제 유치를 위한 시민운동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 유치 서명운동에 15만 명 가깝게 동참했다. 거제시민 10명 중 6명꼴이다. 거제 유치를 바라는 시민사회의 염원이 고스란히 담겼다는 평가다. 거제 지역 220개 시민·사회·자생단체가 참여한 ‘국립 난대수목원 범시민 유치 추진협의회’는 25일 거제시청을 찾아 그동안 확보한 시민 서명지를 전달했다. 서명인 4만 명을 목표로 지난달 29일 대시민 선전전에 돌입한 협의회는 그동안 참여 단체를 중심으로 자발적인 서명운동을 벌여왔다. 집계 결과 26일간 총 14만 7871명이 국립 난대수목원 거제 유치를 지지하며 서명을 남겼다. 수치상으론 6월 기준 24만 8742명인 거제시 인구의 59.4%다. 서명인 중에는 통영 등 인접 지자체 시민도 포함돼 있는데, 특정 지역이 아닌 300만 경남도민 모두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협의회의 설명이다. 협의회 임태성 공동대표는 “(서명운동)현장 분위기가 엄청 뜨거웠다. 어린아이부터 부모, 노인, 학생, 노동자, 상공인 등 각계각층이 난대수목원 유치를 바랐다”고 전했다. 서명지를 전달받은 변광용 거제시장은 “이만큼 한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게 놀랍다. 시민의 염원이 이뤄지도록 전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거제시는 내달 6일로 예정된 산림청 현장평가에서 서명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남부권 국립 난대수목원은 산림청이 주관하는 국책 사업으로 제4차 수목원진흥기본계획에 반영돼 오는 2029년까지 1000억 원 상당을 투입해 건립된다. 현재 경남 거제와 전남 완도가 사활을 걸고 경합 중이다. 2009년부터 국립수목원 조성을 추진해 온 거제시는 이미 사전 준비를 마쳤다. 기본계획 용역, 자연자원 조사를 비롯해 사업 대상지 주도로를 도시계획도로로 지정·고시하는 작업까지 완료한 상태다. 이를 토대로 동부면 구천리 산 96번지 일원 국유림 200㏊를 대상지로 낙점했다. 이곳은 연평균 기온이 14.3도로 전형적인 해양성 난대기후대를 보이는 곳이다. 미래 기후 변화에 대비한 식물 종 보존과 증식 등 식물 산업화와 남부 해양권 수목유전 자원 연구에 적합하다는 게 거제시의 판단이다. 게다가 조선업 장기 불황으로 침체에 빠진 지역 경제 회복과 관광객 1000만 시대 개막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민선 7기 핵심 사업에 국립 수목원 조성을 포함하고 구체적인 밑그림까지 완성했다. 상록활엽수원, 침엽수원, 난대연구림같은 난대수종 전시원을 비롯해 관람·편의 시설(방문자센터, 주차장, 휴게시설, 임산물 판매장 등), 교육·연구시설(난대림 연구센터, 종자 저장고 등), 식물자원 보전·복원 지원 시설(묘포장, 증식온실, 재배시설 등)도 준비 중이다. 여기에 올해 착수한 ‘치유의 숲’ 조성 사업과 연계해 거제 동부면을 명실상부 국내 최대 ‘힐링 단지’로 탈바꿈시키기로 했다. 산림청은 8월 중 남부권 난대수목원 대상지를 확정한다. 내부 평가단을 구성해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적정성과 타당성을 평가해 결론을 내린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국립 난대수목원 거제 유치’ 15만 지지서명 확보
-
-
부산 치유의 숲, 이젠 마을버스 타고 오세요.
- 부산시(시장 오거돈)는 오는 8월 1일부터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 소재 「부산 치유의 숲」에 마을버스 정류소를 신설하여 운영한다고 밝혔다. 부산 치유의 숲은 2017년 개원하여 지금까지 1만 4천여 명이 숲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시민들의 치유 및 힐링 공간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나, 그동안 대중교통과 연계성이 떨어져 이용에 다소 불편한 점이 있어, 이번 대중교통 수단인 마을버스가 부산 치유의 숲까지 연장 운행함으로써 보다 많은 시민들이 편리하게 부산 치유의 숲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정구 범어사역과 철마면 구간을 운행하는 마을버스 2-3번을 「부산 치유의 숲」까지 노선 연장 운행하여 「부산 치유의 숲」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예정으로, 버스는 하루 18회 운행하고, 배차간격은 60분이다. 한편, 2017년 개원한 영남권 최초 「부산 치유의 숲」은 총면적 153ha의 부지에 연면적 325㎡의 방문자센터, 숲문화센터, 학술림 연구동 배치 및 60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로는 숲속치유마당, 풍욕장, 숲속명상터, 솔바람 쉼터, 마음 나눔터 등이 있으며 주요 프로그램은 초·중학생을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행복한 숲,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쉼이 있는 숲,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내 마음의 숲,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시 찾는 숲, 임신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태교숲 등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프로그램은 동절기(12~2월)를 제외하고 매일 2회(오전 10시, 오후 2시) 운영되며 체험시간은 2시간정도 소요된다. 숲치유 프로그램은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며 부산시 홈페이지 통합예약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된다. 문의사항은 부산광역시 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051-888-7117) 및 치유의 숲 방문자 센터(☎051-976-2831∼3)로 하면 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마을버스 정류장 신설 운영으로 「부산 치유의 숲」이 시민들에게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가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일상생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치유프로그램을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많은 참여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부산 치유의 숲, 이젠 마을버스 타고 오세요.
-
-
전남 곡성군 ‘솔바람 치유의 숲’ 9월 첫선
- 전남 곡성군에 위치한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이 오는 9월 개장을 목표로 최종 정비 단계에 들어섰다. 24일 군에 따르면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은 산림청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4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곡성군 동악산(735m) 자락의 신기리 청계동 계곡 일대에 조성했다. 현재 기본적인 공사가 완료된 상태이며, 진입로 및 시설 등에 대한 최종 정비를 통해 9월 중 개장할 계획이다. 군은 대상지 선정과 진입로 사유지 정비를 도왔다. 여의도의 약 3분의 1 가량인 92ha의 면적에 달하는 솔바람 치유의 숲에는 울창한 소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한여름에도 서늘한 기운이 느껴진다.숲 내에 있는 청계동계곡에는 동악산 북쪽으로부터 수많은 골짜기들이 합류해 풍부한 수량을 자랑한다. 여름철 무더위로 인한 피로를 씻어내기에 제격이다. 역사적으로도 임진왜란 의장병이었던 청계 양대박 장군의 의병 활동 본거지라는 유서 깊은 의미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산림청은 이처럼 자연과 역사가 살아 있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숲이 주는 이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솔바람 치유의 숲을 조성하게 됐다.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은 크게 ▲명상지구 ▲치유시설지구 ▲물치유 지구로 구성돼 있다. 명상지구에는 말 그대로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을 다스릴 수 있도록 하늘바람길, 장수 전망대, 솔향기 쉼터, 풍욕장 등이 조성돼 있다. 치유시설지구는 운영관리동과 체험동 건물이 위치하고 있다. 이 곳에서는 건강을 측정하고 다양한 실내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물 치유지구는 타 지역의 숲과 차별화된 물치유 프로그램 특화 공간이다. 다도원(茶道園), 돌탑 치유장, 전망대, 참꽃 쉼터, 음이온 쉼터 등에서 청계동 계곡의 풍부한 수량을 활용해 다양한 치유 활동을 할 수 있다. 솔바람 치유의 숲에 조성된 이러한 시설들은 사람들이 소나무의 피톤치드가 주는 진정작용을 제대로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고 군은 설명했다. 전체 면적 중 80%가 소나무로 둘러싸인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은 피톤치드를 생산하는 거대한 허파라고 할 수 있다. 치유의 숲으로서 최상의 조건이다.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에서는 출생기부터 회년기까지 생애주기별 산림치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계획이다. 군은 솔바람 치유의 숲이 개장하면 청계동이 여름철 피서지에서 4계절 사람들이 찾는 탈바꿈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치유의 숲과 청계동 계곡과 기차마을, 도림사, 압록유원지 등의 연계로 더욱 많은 관광객들이 곡성을 방문할 것으로 보고 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전남 곡성군 ‘솔바람 치유의 숲’ 9월 첫선
-
-
양주시, 수준 높은 숲 체험 서비스 제공
- 양주시는 양주숲복지센터 주변에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숲체험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옥정숲 산림욕장’ 과 ‘독바위 유아숲체험원’ 조성을 완공했다고 밝혔다. 양주시는 양주숲복지센터 주변에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숲체험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옥정숲 산림욕장’ 과 ‘독바위 유아숲체험원’ 조성을 완공했다 옥정숲 산림욕장은 옥정동 산57 일원, 1만304㎡ 규모로 산림욕을 즐길 수 있는 산림욕 베드와 쉼터, 데크 계단, 야자매트, 연못 등을 갖추고 있다. 독바위 유아숲체험원은 옥정동 741-2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아들의 모험심과 협동심, 체력을 기를 수 있는 그물망통과하기, 외나무다리건너기, 모래농장, 4인 시소, 인디언하우스 등 다양한 모험놀이 시설을 설치했다. 시는 현재 천보산림욕장, 불곡산산림욕장, 도토리유아숲체험원, 하늘물유아숲체험원, 회암사지유아숲체험원(회암동) 등 5개소에 숲 해설가와 유아숲지도사를 동반한 숲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올해 완공한 숲 체험 시설을 포함해 운영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숲체험 프로그램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양주숲복지센터나 양주시청 산림휴양과로 전화로 사전예약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숲을 보전하고 즐기며 소중함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등 숲이 제공하는 생태적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산림행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양주시, 수준 높은 숲 체험 서비스 제공
-
-
산림청, 폭염 대비 숲가꾸기 사업장 안전대책 추진
-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당분간 전국에서 폭염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숲가꾸기 사업장 인명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주요 안전대책 내용은 직사광선 노출 위험이 높은 낮 12시 이후 작업 지양, 폭염경보 발령 시 작업 휴무, 안전관련 준비물 및 물·그늘·휴식시간 마련, 기상특보에 따른 탄력적 작업시간 운영 등이다. 또한 산림청은 폭염기간 동안 도급공사의 준공기간 연장 및 사업기간 제외 등 유예처리하고, 산림사업장 관리감독을 강화한다. 아울러 5개 지방산림청장과 27개 국유림관리소장, 230여 개 시·군·구 산림부서장이 사업장을 직접 현장점검하고, 작업자 대상 안전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창술 산림자원과장은 “인명피해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라면서 “현장 위주의 예방활동, 근로자 체력관리,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 등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폭염 대비 숲가꾸기 사업장 안전대책 추진
-
-
산림청, 국민멘토단 권역별 간담회 개최
-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이달 10일부터 25일까지 서울, 대전, 광주, 대구에서 ‘국민멘토단 권역별 간담회’를 개최한다. 산림청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국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전국에서 국민멘토단 266명을 선발했다. 이번 간담회는 10일과 12일 서울, 19일 대전, 22일 광주, 25일 대구 등 모두 5차례 열린다. 앞서 산림청은 참석자 사전 접수를 받았으며, 간담회에는 모두 80여 명의 멘토단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산림정책 추진방향과 멘토단 활동성과를 공유하고, 정책 개선사항 및 멘토링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강혜영 혁신행정담당관은 “국민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여 참여와 공감을 바탕으로 산림행정 혁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국민멘토단 권역별 간담회 개최
-
-
익산산림항공관리소, 농림지 병해충 항공방제 실시
- 산림청 익산산림항공관리소(소장 장준태)는 ‘2019. 7. 09.(월) ~ 7. 10.(수)까지 농림지 동시발생 병해충 항공방제를 경남 밀양 일원에서 했다”고 밝혔다. 이번 농림지 항공방제는 피해가 큰 경남 밀양시 지역 농지 893ha를 대상으로 집중 방제를 실시했으며, 익산산림항공 관리소는 러시아제 KA-32T(까므프) 대형 헬기를 투입하여 농림지에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미국선녀 벌레에 대한 대대적인 방제를 완료했다. 익산산림항공관리소 장준태 소장은“해마다 많은 피해로 이어지는 해충을 박멸하여 농민들의 실음을 덜어주기 위하여 앞으로도 최선으로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항공본부
-
익산산림항공관리소, 농림지 병해충 항공방제 실시
-
-
이천시 여름철 재해취약지역 현장점검
- 이대직 이천시 부시장은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여름철 자연재해에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을 위하여 집중호우 및 태풍대비 취약지역 현장점검에 나섰다. 이날 이 부시장과 안전총괄과 과장 및 담당부서장들은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장을 현장점검하고, 차량침수우려 취약지역 및 재난예·경보시설 점검, 배수펌프장 및 인명피해우려 저수지 현장을 점검하는 등 선제적 우수기 재해사전대비를 위해 현장행정을 실시하였다. 이대직 부시장은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를 철저히 하여 시민의 불편사항과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최우선이다”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현장 중심의 철저한 재난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시는 집중호우 및 태풍 발생 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며, 배수펌프장 6개소와 재난 음성경보시스템 57대를 즉시 가동 할 수 있도록 하고, 총 49개의 재난영상감시시스템을 통해 재난상황에 상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재난대응·대비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수방자재 등 재난자원 비축, 지역자율방재단을 활용한 예방활동 실시, 하천변·산사태 취약지역 등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대비 및 현장점검 등을 통해 예찰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이천시 여름철 재해취약지역 현장점검
-
-
제6대 청양산림항공관리소 김대환 소장 부임
-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청양산림항공관리소 제6대 기관장으로 김대환(金大煥) 소장이 부임하였다. 김대환 소장은 1999년 6월 산림청 보은국유림관리소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하여 20년간 산림청 업무를 두루 거친 전문가이며, 산림청 운영지원과, 대변인실에 근무, 2019년 7월 1일자로 청양산림항공관리소 소장으로 부임하였다. 취임 인사말로 안전한 임무수행과 직원간의 소통을 강조하면서 “청양산림항공관리소 소장으로 부임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 적극적인 소통으로 직원들과 함께 안전하고 즐거운 임무수행을 하는 조직으로 발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항공본부
-
제6대 청양산림항공관리소 김대환 소장 부임
-
-
장흥군, ‘안전한 여름나기’ 야영장 점검 실시
- 장흥군(군수 정종순)은 25일 야영장 및 유원시설 등 5개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안전점검은 여름 성수기를 대비해 야영장 및 유원시설 등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점검을 위해 실시됐다. 군은 이용객 안전사고 예방과 풍수해·화재 등 자연, 사회재난에 대비한 야영장 안전관리 체계 확립에 초점을 맞추고 점검을 진행했다. 장흥군 문화관광과 주관으로 재난관리부서 담당공무원과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운영했다. 군 관계자는“시설, 화재, 위생 등 해당분야별 집중점검을 실시하였으며, 오는 7월 26일부터 8월 1일까지 7일간 개최되는 정남진 장흥 물축제에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사전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장흥군, ‘안전한 여름나기’ 야영장 점검 실시
-
-
곡성군 녹색자금 나눔숲, 주민들의 쉼터 역할 기대
- 곡성군(군수 유근기)이 사회복지시설(학림원, 한빛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산림환경 기능증진을 위한 ‘녹색자금 나눔숲’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녹색자금 나눔숲은 산림청과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의 복권기금 녹색자금을 지원받아 시행된다. 사회취약계층이 이용하는 공간에 숲을 조성해 산림환경기능 증진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이고, 정서 안정 및 심신 치유를 도모하는 산림복지 사업이다. 군은 사업 추진을 위해 학림원 및 한빛어린이집 관계자와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올 초 간담회를 개최해 수목식재선정, 각종 편의시설 설치 등 다양한 의견 등을 수렴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기술자문을 거쳐 지난 4월 실시설계를 마치고, 6월 말 완료를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나눔숲 조성을 통해 대상지에는 소나무, 왕벚나무 등 조경수 16종 4,579주와 맥문동 등 초화류 7,450본이 식재된다. 주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산책로와 녹색쉼터도 조성된다. 군 관계자는 “보다 많은 군민들께 녹색복지 혜택이 나눠지도록 나눔숲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곡성군 녹색자금 나눔숲, 주민들의 쉼터 역할 기대
-
-
김재현 산림청장, 산림바이오매스 홍보 타운 방문
- 김재현 산림청장(오른쪽)이 20일 오후 전북 전주시 완주군 고산자연휴양림 일원의 산림바이오매스 홍보타운을 방문해 우드칩보일러 열공급시설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산림청 제공>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김재현 산림청장, 산림바이오매스 홍보 타운 방문
-
-
양산산림항공, 장애 인식 교육으로 건전한 문화 조성
- 산림청 양산산림항공관리소(소장 김숙희)는 6월 17일 “장애 인식 개선”을 주제로 울산광역시 혜진원 이태백 원장을 초청하여 교육을 시행했다.혜진원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는 중증장애아동 요양시설로서, 장애아동들에게 자립심과 잔존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이날 교육의 주요 내용은 장애 인식 교육의 필요성, 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편견 깨기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태도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양산산림항공관리소는 매월 혜진원에 자원봉사 활동을 하며 평소 지역사회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솔선수범해 왔다.양산산림항공관리소 관계자는 “이번 직장교육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하면서 “각종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공무원으로서 올바른 장애 인식을 가지고 나아가 올바른 장애 인식 문화를 개선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항공본부
-
양산산림항공, 장애 인식 교육으로 건전한 문화 조성
-
-
담양군, 별빛 따라 걷는 숲속 여행 어떠세요!
- 담양군은 담양의 아름다운 밤하늘을 만끽하는 야간 관광상품인 ‘명사와 함께하는 담양 별빛․달빛 여행’ 인문학투어를 매달 운영하고 있다. 8월 11일 토요일에는 담양 별빛여행이 진행되며, 오는 9일까지 별빛여행 참가자를 모집한다. 별빛·달빛여행은 담양 죽녹원에서 소설가의 담양 인문학 이야기를 들으며 밤바람이 솔솔 들어오는 대숲 산책로와 천연기념물인 관방제림의 숲길을 걷는 프로그램이다. 문화공연도 마련돼 있다. 관방제림 숲을 배경으로 클래식 기타 선율로 여름밤의 낭만을 선사할 예정이다. 한편, 보름달이 뜨는 밤하늘을 걷는 ‘달빛여행’은 오는 8월 25일 진행될 예정이며, 23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참가는 담양군 문화관광홈페이지(tour.damyang.go.kr)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참가비는 5천원이다. 자세한 사항은 담양군청 관광레저과(061-380-3151)로 문의하면 된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담양군, 별빛 따라 걷는 숲속 여행 어떠세요!
-
-
영암군,「숲속의 전남」만들기
- 영암군(군수 전동평)은「숲속의 전남」만들기 2019년 주민·단체 참여숲 조성을 위해 이번달 10일까지 공모로 참여 대상을 모집한다. 전남도「숲속의 전남」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공모사업은 주민·단체가 사업을 직접 제안하고 숲을 조성·관리하며 군민 관심과 자발적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전남도는 공모사업 기본방향을 크게 개선하여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사업대상지에 대한 규제를 완화했는데 신청자격은 5인 이상의 주민모임과 비영리 단체이며, 대상지는 국·공유지 및 공공성격을 갖는 사유지로 5년 이상 토지사용 승낙이 가능한 민간소유 토지도 포함시켰다. 또한 그동안 소규모 단순사업 위주에서 벗어나 지역 대표숲을 조성하기 위해 권역단위 마을가꾸기와 노후공원 재생사업도 포함하며, 주민쉼터 조성을 위한 시설비율을 상향조정할 계획이다. 지원 금액은 개소당 5인 이상 주민모임은 1백만원에서 5백만원까지이며, 비영리단체는 5백만원에서 5억원 내외로 지원할 계획이며, 지원방법은 주민 단체는 묘목과 장비를 지원 받아 숲을 조성·관리하고, 행정에서는 계약 및 기반조성을 지원한다. 최종 선정은 민간단체 참여 의지, 사업계획의 적합성 및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 등을 영암군 협의회 1차 심사와 전남도 숲속의 전남 협의회 2차 심사를 통해 확정하게 된다. 영암군 관계자는“아름다운 영암 만들기를 위한 군민의 자발적 참여를 당부하는 한편, 주민주도 참여숲 조성 참여의사가 있는 경우 사전에 문의하면 공모사업 계획서 작성요령 등을 알기 쉽게 안내할 계획이다. ”며 주민 단체의 참여와 관심을 요청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영암군,「숲속의 전남」만들기
-
-
산림청, 국방·교육부 등 타 부처 국유림 전문경영 추진
-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산림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가치 있는 국가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방부, 교육부, 국가보훈처 등 타 부처 소관 국유림 8,985ha(총 19개소)에 대해 전문적인 산림경영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림경영대행은 타 부처 요청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산림청은 조림·숲 가꾸기·산림병해충 방제·산사태 예방사업 등 통합적 산림 관리를 지원한다. 대상지는 부처별로 국방부 8,650ha, 국가보훈처 211ha, 교육부 124ha 등이며 이 규모는 축구장 1만 2천여 개 면적에 달한다. 올해는 작년 대상지 16개소, 8,583ha과 비교하여 면적이 335ha 늘어났다. 우리나라 전체 국유림 면적은 총 162만ha이며, 이 중 산림청 소관 국유림 148만ha(92%)를 제외한 14만ha는 기능·목적 등에 따라 해당 부처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산림청은 산림관리 전문 부처로서 상대적으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타 부처 소관 국유림을 적극 경영·관리하여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기능 확대 등 산림의 가치를 높여나갈 방침이다. 박영환 국유림경영과장은 “현행 타 부처 소관 국유림 중 산림경영대행 비율은 약 6% 수준으로, 향후 전문적·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산림대상지에 대해서는 소관 부처에서 적극적으로 산림청에 경영대행을 요청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산림청본청
-
산림청, 국방·교육부 등 타 부처 국유림 전문경영 추진
-
-
청군, 황매산 철쭉제와 함께하는 캠페인 펼쳐
- 산청군은 황매산 철쭉제 기간동안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지난 4일 온실가스 1인1톤 줄이기 서명 캠페인 및 제17회 식품안전의 날을 맞이 식중독 예방 캠페인을 실시했다. 지역 사회단체들과 함께한 이번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저탄소생활 실천 및 미세먼지 저감 홍보 리플렛과 보건마스크, 홍보용 물티슈를 탐방객에게 배부하며 에너지 절약·일회용품 자제 등의 실천을 통한 저탄소생활 분위기 동참을 유도했다. 또한 식중독 예방 가두캠페인 실시 및‘손씻기, 끓여먹기, 익혀먹기’ 등의 실천수칙 홍보물을 배부하며 식품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등 축제장 내에서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벌였다. 특히 이번 행사는 지역축제와 연계 실시돼 저탄소생활 분위기 확산과 식중독 예방 실천의 계기가 됐다. 군 관계자는 “축제가 끝나는 13일까지 축제장 내 먹거리식당 6개소를 대상으로 위생상태, 식품보관 및 판매 상태, 식재료 유통기한 준수 여부 등에 대해 매일 지도점검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청군, 황매산 철쭉제와 함께하는 캠페인 펼쳐
-
-
국민의 숲(단체의 숲)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산림청 삼척국유림관리소(소장 전찬기)는 지난 9일 삼척국유림관리소 회의실에서「국민의 숲(단체의 숲) 운영」을 위하여 삼척국유림관리소·한라시멘트 양자간 업무협약 체결식을 가졌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역 단체(한라시멘트)와 국유림을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고 국유림 관리에 지역 단체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국민의 숲 업무협약 체결 대상지는 동해시 망상동 산8번지(면적 59,504㎡)이며 동해고속도로 동해휴게소 뒤편에 있어 동해안 바다 조망이 한 눈에 보이는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해당 장소는 9월달 동부지방산림청과 한라시멘트(주)·한국도로공사 강릉지사 3자간 기업 참여 도시 숲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대상지이기도 하다. 산림청 삼척국유림관리소(소장 전찬기)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하여 숲을 조성하고 가꾸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국민에게 적극 홍보할 계회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법으로 나무심기와 숲 조성 활동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행정
- 남부지방청
-
국민의 숲(단체의 숲)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부여국유림관리소 첨단드론을 활용한 선제적 해충방제 실시”
- 산림청 부여국유림관리소(소장 안의섭)는 농림지 동시발생 병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공주시 정안면 대산리 산93-6번지 일원에서 선제적으로 첨단 드론을 활용한 시범방제사업을 공주시·공주시 농업기술센터와 공동으로 실시하였다. 최근 몇 년 사이 충남지역의 농지와 산림에 동시 발생하는 병해충(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등)이 광범위하게 급증하여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으나, 농촌지역 인력부족과 노령화로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안의섭 부여국유림관리소장은 “첨단드론을 활용한 공동방제는 농림지 동시발생 병해충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종합방제로서 해충방제에 탁월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다양한 방제방법을 적용·완전방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의 삶터이자 쉼터인 산림 보호를 위하여 국가·지자체간의 다양한 협업체계 공간을 개발·강화하고, 규제개혁 발굴에도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밝혔다. 첨단드론을 활용한 항공방제는 방제방법을 다각화 하고 방제효과를 극대화하며 예산절감 효과가 기대됨에 따라 앞으로 첨단드론을 활용한 스마트한 방제는 확대될 것이다.
-
- 산림행정
- 중부지방청
-
“부여국유림관리소 첨단드론을 활용한 선제적 해충방제 실시”
-
-
인제국유림관리소, 제72회 식목일 기념 나무심기 행사 가져
- 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소장 임흥규)는 제72회 식목일을 맞이하여 한국 특산수종인 구상나무 종보전의 중요성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 5일 인제군 남면 남전리에서 나무심기 행사를 개최하였다. 또한,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자라나는 유아들에게 숲의 소중함을 심어주기 위해 인제 지역 내 유아 20가구를 대상으로 탄생목 심기 행사도 병행하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지역주민과, 인제국유림관리소·인제군청 공무원과 인제군 산림조합, 국유림영림단 등 약 110여명이 참여하여 구상나무 500본을 식재하였다. 인제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산지 확인된 구상나무 묘목을 구하는 일이 쉽지 않고 구상나무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하지만 모두가 합심하여 노력한다면 지난 50년 간 국토녹화의 기적을 이루어낸 것처럼 구상나무 보전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빈번하게 발생되는 봄철 산불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국민들의 협조와 관심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
- 산림행정
- 북부지방청
-
인제국유림관리소, 제72회 식목일 기념 나무심기 행사 가져
산림산업 검색결과
-
-
한국임업진흥원‘산양삼 비누 제조법’기술이전 계약 체결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8월 1일(목), 한국임업진흥원 별관에서 천지현황(주)(대표 신현중)과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전용실시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특허권은 한국임업진흥원 임·직원의 직무발명 신고를 통해 출원·등록된 기술로서, 산양삼의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및 제조방법이다. 기술수요자인 천지현황(주)는 한국 고려 인삼의 우수성과 효능을 6여년의 연구를 통해 “천지현” 흑삼 브랜드를 개발하여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으로, 신사업으로 산양삼 활용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생산 및 판매 노하우 축적을 위해 기술보증기금 대전기술혁신센터 중개로 기술이전을 받는다. 구길본 원장은 “임·직원 직무발명을 통해 개발된 성과물이 민간으로 기술이전 되어 기술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될 것”이며, “앞으로도 직무발명 성과물이 임(산)업의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산양삼 비누 제조법’기술이전 계약 체결
-
-
한국임업진흥원, 귀산촌 관심자를 위한 무료강좌 운영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8월 3일(토), 대구를 시작으로 12월까지 ‘귀산촌 아카데미 하반기 교육’을 시작한다. 귀산촌 아카데미는 산촌생활에 관심있는 사람을 위한 귀산촌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공개강좌로, 장소와 시간적 제한이 있는 직장인을 고려하여 매월 2번째 목요일 저녁에 진행하는 평일강좌와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에서 토요일 8시간동안 1~2회 진행되는 토요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사전접수없이 교육생이 자신에게 알맞은 일정을 확인해서 장소로 오면 수강할 수 있어 부담없이 들을 수 있다. 오는 8월 3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한국기술사업화진흥협회 대구광역시지회(KTCA)에서 대구에서 토요강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구 토요강좌에서는 ▲산림치유 및 산림복지서비스, ▲산림농원개발 ▲귀산촌 후소득활동에 대해서 강의한다. 그 외에 서울, 부산, 대전, 광주에서 진행될 귀산촌 아카데미의 세부일정, 장소 등 자세한 정보는 한국임업진흥원 홈페이지(www.kofpi.or.kr → 임업서비스 → 임업인 교육 → 교육알림판)에서 확인 가능하며, 8월에 진행되는 1일 산촌견학, 3박4일 산촌체험을 비롯한 가족 귀산촌 캠프의 일정과 신청방법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구길본 원장은 “산촌으로 이주하고 싶지만 막연한 사람에게 산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귀산촌아카데미를 만들었다.”며, “전원생활, 임산물재배, 창업 등 산에서 원하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되는 교육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 귀산촌 관심자를 위한 무료강좌 운영
-
-
‘국립 난대수목원 거제 유치’ 15만 지지서명 확보
- 산림청이 조성하는 ‘남부권 국립 난대수목원’ 경남 거제 유치를 위한 시민운동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 유치 서명운동에 15만 명 가깝게 동참했다. 거제시민 10명 중 6명꼴이다. 거제 유치를 바라는 시민사회의 염원이 고스란히 담겼다는 평가다. 거제 지역 220개 시민·사회·자생단체가 참여한 ‘국립 난대수목원 범시민 유치 추진협의회’는 25일 거제시청을 찾아 그동안 확보한 시민 서명지를 전달했다. 서명인 4만 명을 목표로 지난달 29일 대시민 선전전에 돌입한 협의회는 그동안 참여 단체를 중심으로 자발적인 서명운동을 벌여왔다. 집계 결과 26일간 총 14만 7871명이 국립 난대수목원 거제 유치를 지지하며 서명을 남겼다. 수치상으론 6월 기준 24만 8742명인 거제시 인구의 59.4%다. 서명인 중에는 통영 등 인접 지자체 시민도 포함돼 있는데, 특정 지역이 아닌 300만 경남도민 모두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협의회의 설명이다. 협의회 임태성 공동대표는 “(서명운동)현장 분위기가 엄청 뜨거웠다. 어린아이부터 부모, 노인, 학생, 노동자, 상공인 등 각계각층이 난대수목원 유치를 바랐다”고 전했다. 서명지를 전달받은 변광용 거제시장은 “이만큼 한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게 놀랍다. 시민의 염원이 이뤄지도록 전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거제시는 내달 6일로 예정된 산림청 현장평가에서 서명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남부권 국립 난대수목원은 산림청이 주관하는 국책 사업으로 제4차 수목원진흥기본계획에 반영돼 오는 2029년까지 1000억 원 상당을 투입해 건립된다. 현재 경남 거제와 전남 완도가 사활을 걸고 경합 중이다. 2009년부터 국립수목원 조성을 추진해 온 거제시는 이미 사전 준비를 마쳤다. 기본계획 용역, 자연자원 조사를 비롯해 사업 대상지 주도로를 도시계획도로로 지정·고시하는 작업까지 완료한 상태다. 이를 토대로 동부면 구천리 산 96번지 일원 국유림 200㏊를 대상지로 낙점했다. 이곳은 연평균 기온이 14.3도로 전형적인 해양성 난대기후대를 보이는 곳이다. 미래 기후 변화에 대비한 식물 종 보존과 증식 등 식물 산업화와 남부 해양권 수목유전 자원 연구에 적합하다는 게 거제시의 판단이다. 게다가 조선업 장기 불황으로 침체에 빠진 지역 경제 회복과 관광객 1000만 시대 개막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민선 7기 핵심 사업에 국립 수목원 조성을 포함하고 구체적인 밑그림까지 완성했다. 상록활엽수원, 침엽수원, 난대연구림같은 난대수종 전시원을 비롯해 관람·편의 시설(방문자센터, 주차장, 휴게시설, 임산물 판매장 등), 교육·연구시설(난대림 연구센터, 종자 저장고 등), 식물자원 보전·복원 지원 시설(묘포장, 증식온실, 재배시설 등)도 준비 중이다. 여기에 올해 착수한 ‘치유의 숲’ 조성 사업과 연계해 거제 동부면을 명실상부 국내 최대 ‘힐링 단지’로 탈바꿈시키기로 했다. 산림청은 8월 중 남부권 난대수목원 대상지를 확정한다. 내부 평가단을 구성해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적정성과 타당성을 평가해 결론을 내린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국립 난대수목원 거제 유치’ 15만 지지서명 확보
-
-
산림교육원, ‘산지관리심화’ 과정 운영
- 산림청 산림교육원(원장 이상만)은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산지관리 담당 공무원 30명을 대상으로 ‘산지관리심화’ 과정을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산지관리심화과정은 산지관리 관련 이론 교육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사례토론을 실시하여 산지관리 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교육에서는 △산지관리정책 △ 보전산지의 지정 및 해제 실무 △산지전용허가 협의 및 사례 토론 △대체산림자원조성비 실무 △채석단지 지정 및 토석채취허가 △산지복구 설계 및 감리요령 △산지복구 우수사례지 견학 등 실무 관련 강의가 진행된다. 또한, 산지전용허가 기준 완화와 관련하여 산지를 농지로 전용하려고 할 때 현황도로가 있어야만 산지전용 가능하던 것을 1만㎡ 이하의 산지 전체가 농지로 둘러싸여있는 경우 현황도로 없이 산지전용 가능하도록 하는 규제혁신 내용도 교육할 예정이다. 산림교육원 이상만 원장은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산지는 중요한 국가자산으로 산지관리심화 과정을 통해 담당자의 업무역량을 강화하여 합리적인 이용과 보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산림산업
- 산림교육원
-
산림교육원, ‘산지관리심화’ 과정 운영
-
-
국립산림과학원, 표고버섯 육종전문가 양성 교육 실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표고버섯 민간 육종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표고버섯 육종기술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한국형 우수 신품종을 육성하는 골든시드 프로젝트(Golden Seed Project)의 일환으로, 표고버섯 신품종 개발을 위한 육종기술을 민간 육종인과 공유하여 국내 표고버섯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실시된다. 교육의 내용은 표고버섯의 단포자 분리, 균주 배양방법, 교잡 및 육종 과정 등이며 수업 참가자를 중심으로 이론교육 및 실습을 진행한다. 실습과정에서 사용하는 재료는 국립산림과학원이 제공할 예정이며 실습자가 육종을 위한 표고버섯을 직접 가지고 있는 경우 실습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표고버섯 육종기술교육 참가신청은 7월 25일부터 전화(02-961-2506)로 접수하면 되며, 선착순 15명만 모집한다. 교육은 8월 5일부터 28일까지(실제 교육기간은 약 7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연구동 103호 산림버섯연구실에서 진행된다. 산림소득자원연구과 김세현 과장은 “이번 표고버섯 육종기술교육이 민간육종가 양성과 더불어 국내 민간육종산업의 발전을 위한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골든시드(Golden Seed) 프로젝트를 통해 국산 표고버섯 품종의 육종 및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기술을 임업인들과 공유해 국내 표고버섯 재배자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국립산림과학원, 표고버섯 육종전문가 양성 교육 실시
-
-
청정숲푸드, 서울시민 식탁을 사로잡는다!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7월 17일(수), 서울시지역상생교류사업단(단장 조혜원)과 청정한 산림 먹거리 브랜드 ‘청정숲푸드’ 판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 도심에 위치하여 도농 상생 교류의 거점이 되고 있는 ‘상생상회(종로구)’에 ‘청정숲푸드’ 코너를 개설하고, 국내 산림에서 생산된 건강한 먹거리 브랜드‘청정숲푸드’등 우수 임산물의 매장입점과 다양한 청정임산물 판매이벤트도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임산물의 수요가 많아지는 추석 명절 및 밤, 대추, 떫은감 등 임산물의 본격적인 가을 수확철에는 판촉 행사와 문화행사를 대폭 확대해 ‘청정숲푸드’ 알리기와 임산물 판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구길본 원장은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판로 지원을 요청하는 임업인들에게 지속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상생 협력을 통해 서울시민의 식탁에 건강한 식재료인 청정숲푸드가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 청정숲푸드란? 산림에서 자연이 키운 임산물에 대한 검증과 정보제공을 통해 우수한 청정임산물의 소비자 신뢰를 향상시켜 임업인 소득향상을 지원하고 임산물의 산림재배를 활성화하여 산림의 경제적 활용가치 향상
-
- 임업정보
-
청정숲푸드, 서울시민 식탁을 사로잡는다!
-
-
국립수목원, 표본의 새로운 가치를 더하다
-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개원 20주년을 기념하여, 27일 산림생물표본관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 주제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산림생물표본의 관리와 이용(Expanding the Value of Natural Science Collections”이다. 미국 LA 자연사박물관의 엘리자베스 엘우드(Elizabeth R. ELLWOOD)박사의 “산림생물표본을 대상으로 한 자연과학연구의 향상과 연구자들 간의 연결을 위한 생물표본의 디지털화”라는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네덜란드 바헤닝언대학교 프릭 베커(Freek T. BAKKER )교수의 “식물표본 유전체학: 연구를 위한 식물체 기록의 DNA 확보”, 영국 자연사박물관 데이빗 리스(David C. LEES) 박사의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나비목 표본수집: 분류학과 침입 외래종 역사의 재조명” 등 5가지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국내 최초의 산림생물전문 표본관으로,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산림 생물 2만 여종, 110만 여점의 연구용 표본을 보유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2014년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 발표 전후인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신종(新種, new species) 169종, 미기록종(未記錄種, newly recorded species) 329종을 발굴하고 관련학계에 보고하였으며, 기준표본은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다.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의 기본정보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에서 볼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국립수목원은 한반도 산림생물자원의 현황과 중요성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이용한 생물자원 연구, 활용 가능성과 부가 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국내 표본관들의 운영관리 선진화와 전문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국립수목원, 표본의 새로운 가치를 더하다
-
-
한국임업진흥원, 경남지역 산촌리더 현장포럼 개최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6월 24일(월)부터 25일까지 양일간 경남 하동 의신산촌생태마을에서「2019 산촌리더 현장포럼」을 개최하였다. 산촌리더 현장포럼은 산촌리더들의 역량강화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목적으로 매년 개최하는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경남을 시작으로 총 7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산촌리더 현장포럼은 마을리더(마을 위원장, 이장, 운영매니저, 사무장)와 마을주민이 주도하여 마을의 부족한 점과 문제점을 스스로 진단하고 산림청, 한국임업진흥원, 경남도 지자체 공무원, 전문가와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금번 경남지역 현장포럼에서는 ‘산촌마을 디자인을 우리 손으로’라는 주제로 마을별로 디자인 마스트플랜을 수립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산촌마을주민과 지자체 공무원간 소통의 시간을 통해 마을과 행정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구길본 원장은“찾고 싶고, 살고 싶은 지속가능한 산촌을 만들기 위해 산촌리더들의 지속적인 역량강화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 경남지역 산촌리더 현장포럼 개최
-
-
한국임업진흥원, 2019년도 산림일자리발전소 그루경영체 모집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 산림일자리발전소는 6월 20일(목)부터 7월 23일까지 사회적경제 활동에 근간을 두고 산림소득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림관련 경영체의 창업과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 산림일자리발전소 그루경영체’를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2019년도 2기 그루매니저 선정지역인 24개 지역에서 120개소를 선정할 예정이다. 그루경영체로 선정되면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합하고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추진되는 창업활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창업과정뿐만 아니라 창업 후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경영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지원을 모색한다 그루매니저란 지역의 산림/인적자원 조사, 그루경영체 발굴 및 육성, 비즈니스모델 개발, 사업계획 수립, 창업과 경영개선 등을 현장에서 밀착 지원하는 기획.활동가이다. 올해 선정된 그루경영체는 3년간 견학▷자문(워크숍)▷워크숍▷교육훈련▷프로그램 참여▷네트워크▷사업계획▷홍보▷마케팅▷파일럿 등 창업 여건과 상황에 따라 산림일자리발전소에서 활동 중인 지역 그루매니저가 현장 밀착형으로 지원하게 된다. 산림일자리발전소 그루경영체 모집 사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주민공동체는 한국임업진흥원 홈페이지(www.kofpi.or.kr)에서 공고를 확인하거나 산림일자리발전소(042-381-5190, 5194~5)로 문의하면 된다. 구길본 원장은 “숲에서 사회적 경제를 실현하는 지원체계인 그루경영체를 통해 청년들이 산림과 관련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 며, “산촌지역의 인구감소, 일자리, 소득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한국임업진흥원, 2019년도 산림일자리발전소 그루경영체 모집
-
-
장흥군, 표고버섯 재배 선진기술 보급 ‘박차’
- 장흥군(군수 정종순)은 오는 30일부터 목재산업지원센터 세미나실에서 표고재배 기술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표고생산농가, 귀농·귀촌농가,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이번 기술교육은 장흥표고버섯생산자협회(회장 임병석)에서 주관한다. 교육은 전문가를 초청해 이상기후에 따른 재배대처방법, 선진재배 기술동향 및 품질인증 관리제도, 농약PLS 시행에 따른 안전성 관리방안 등 지역 표고산업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장흥표고버섯생산자협회는 이와 함께 정남진 토요시장에서 원산지 표시단속, 표고재배 기술보급, 선진지 견학 등의 활동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지역 대표 특산품인 표고버섯의 안정적인 생산 기반구축과 재배농가 소득향상에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군 대표 브랜드인 장흥표고버섯을 지속적으로 육성해 표고산업 활성화 및 농가에 실질적인 혜택이 늘어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장흥군, 표고버섯 재배 선진기술 보급 ‘박차’
-
-
진안고원 치유숲에서 즐기는 신나는 물놀이
- 진안군은 오는 30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정천면 진안고원 치유숲에서 ‘신나는 물놀이 잔치’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물놀이 잔치는 방학을 맞은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물놀이를 하고 무엇을 먹고, 입고 어떻게 건강한 생활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환경교육과 치유숲에서만 만날 수 있는 자연 식사, 간식을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이를 위해 군은 진안고원 치유숲 야외광장에 물놀이기구(에어바운스)를 설치했다. 진안군의료원 조백환원장과 힐링스쿨 황성수박사로부터 아토피, 알러지, 비염, 가러움 등 환경성질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환경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참가비는 식사비용으로 아동 2,500원, 성인은 4,500원이다. 개인은 당일 방문하여 이용할 수 있고 단체는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예약문의 진안고원 치유숲 063-433-1666) 진안고원 치유숲 센터장을 겸임하고 있는 조백환 원장은 “아이들이 무더운 여름방학에 진안고원 치유숲에 와서 즐겁고 건강한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며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진안고원 치유숲에서는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 건강나누리캠프(6~9월), 자연과 함께하는 인문학 강의(10~12월), 생활습관개선교육 및 체험(옥녀폭포 산책, 에코팩만들기, 홍삼족욕, 천연염색, 흙놀이(수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진안고원 치유숲에서 즐기는 신나는 물놀이
-
-
세계 해태상 테마공원 기공식 개최
- 신안군이 내년 하반기 새천년대교 개통으로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안좌도에 '정의의 상징' 해태(해치)상을 테마로 세계 해태상 테마공원 기공식을 11.2일 오후 3시에 가졌다. 이날 기공식에는 고길호 군수를 비롯하여 정광호 군의회 의장, 군의원, 유관기관 및 사회단체장 그리고 지역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하여 기공을 축하했다. 해태(海陀)는 시비곡직을 판단하는 신령스러운 재주를 지닌 영물로서 정의의 동물, 법의 상징, 화재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로 알려져 있으며, 건축물 앞에 벽사의 의미로 세우거나 법관의 상징으로 조선시대 대사헌 흉배에도 사용되어 졌다. 세계 해태상 테마공원이 건립되는 안좌도는 서양화가 수화 김환기(1913∼1974)의 고향으로, 돌담‧고인돌‧우실‧노두 등 옛 돌문화가 잘 보전되어 있는 곳이며, 사업부지인 신촌저수지 수변은 세계 해태상 테마공원 조성사업과 안좌지구 농어촌 테마공원 조성사업, 김환기 미술관 건립사업이 연계 추진되어 신안 중부권의 대표 관광지로 부상할 전망이다. 공원내 해태 테마관은 1층에 전시실 1실, 수장고, 다목적실, 카페&뮤지엄샵으로 꾸며지고, 2층은 로비와 2개 전시실, 수변을 활용한 건너편에는 특별전시실이 만들어 지며, 공원 야외에 해태상과 석탑, 문인석 등이 전시된다. 고길호 신안군수는 세계의 해태상과 우리의 돌 문화를 접목하여 관광객 볼거리를 확충하는 한편, 공무원과 학생들의 교육의 장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안군 압해읍과 암태면을 잇는 새천년대교 개통에 즈음하여 완공될 테마공원은 지역발전특별회계 22억 8천만원, 군비 26억 8천만원 등 총 49억 6천만원이 투자되며, 중부권 주요 관광지로 조성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산림산업
- 임업진흥원
-
세계 해태상 테마공원 기공식 개최
-
-
산림엔지니어링협회 신현수회장 국무총리표창수상
- 신 현 수(辛炫秀,57)회장은 산업통상자원부주관 2017년 엔지니어링의 날 행사(10원18일,서울상공회의소)에서 엔지니어링 산업발전에 공헌한 유공자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여 산림분야 엔지니어링 산업계 종사자들의 자부심과 산림엔지니어링협회의 위상을 선양하였다. 신 현 수 회장은 2003년 경남 김해시에 주식회사 동서개발을 설립이래 14년간 엔지니어링산업에 종사하면서 한국 엔지니어링협회 농림협의회 회장과 한국 산림엔지니어링 협회 회장으로 선임되어 적극적인 엔지니어링산업활동으로 엔지니어링산업 발전에 기여 하였으며 산림분야 엔지니어링산업계 종사자들로 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있음 신현수회장은 엔지니어링사업에 종사하면서 고령임에도 강한 학구열로 산림자원학과에 편입하여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전문지식을 엔지니어링산업 분야에 접목하여 엔지니어링 산업발전에 기여하였음 신현수회장은 앞으로도 그동안 쌓아온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산림분야 엔지니어링산업 발전 및 엔지니어링산업 종사자들의 권익신장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노력을 하겠다고 말하였다.
-
- 산림산업
-
산림엔지니어링협회 신현수회장 국무총리표창수상
산림복지 검색결과
-
-
부산 치유의 숲, 이젠 마을버스 타고 오세요.
- 부산시(시장 오거돈)는 오는 8월 1일부터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 소재 「부산 치유의 숲」에 마을버스 정류소를 신설하여 운영한다고 밝혔다. 부산 치유의 숲은 2017년 개원하여 지금까지 1만 4천여 명이 숲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시민들의 치유 및 힐링 공간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나, 그동안 대중교통과 연계성이 떨어져 이용에 다소 불편한 점이 있어, 이번 대중교통 수단인 마을버스가 부산 치유의 숲까지 연장 운행함으로써 보다 많은 시민들이 편리하게 부산 치유의 숲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정구 범어사역과 철마면 구간을 운행하는 마을버스 2-3번을 「부산 치유의 숲」까지 노선 연장 운행하여 「부산 치유의 숲」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예정으로, 버스는 하루 18회 운행하고, 배차간격은 60분이다. 한편, 2017년 개원한 영남권 최초 「부산 치유의 숲」은 총면적 153ha의 부지에 연면적 325㎡의 방문자센터, 숲문화센터, 학술림 연구동 배치 및 60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로는 숲속치유마당, 풍욕장, 숲속명상터, 솔바람 쉼터, 마음 나눔터 등이 있으며 주요 프로그램은 초·중학생을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행복한 숲,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쉼이 있는 숲,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내 마음의 숲,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시 찾는 숲, 임신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태교숲 등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프로그램은 동절기(12~2월)를 제외하고 매일 2회(오전 10시, 오후 2시) 운영되며 체험시간은 2시간정도 소요된다. 숲치유 프로그램은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며 부산시 홈페이지 통합예약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된다. 문의사항은 부산광역시 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051-888-7117) 및 치유의 숲 방문자 센터(☎051-976-2831∼3)로 하면 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마을버스 정류장 신설 운영으로 「부산 치유의 숲」이 시민들에게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가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일상생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치유프로그램을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많은 참여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부산 치유의 숲, 이젠 마을버스 타고 오세요.
-
-
전남 곡성군 ‘솔바람 치유의 숲’ 9월 첫선
- 전남 곡성군에 위치한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이 오는 9월 개장을 목표로 최종 정비 단계에 들어섰다. 24일 군에 따르면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은 산림청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4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곡성군 동악산(735m) 자락의 신기리 청계동 계곡 일대에 조성했다. 현재 기본적인 공사가 완료된 상태이며, 진입로 및 시설 등에 대한 최종 정비를 통해 9월 중 개장할 계획이다. 군은 대상지 선정과 진입로 사유지 정비를 도왔다. 여의도의 약 3분의 1 가량인 92ha의 면적에 달하는 솔바람 치유의 숲에는 울창한 소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한여름에도 서늘한 기운이 느껴진다.숲 내에 있는 청계동계곡에는 동악산 북쪽으로부터 수많은 골짜기들이 합류해 풍부한 수량을 자랑한다. 여름철 무더위로 인한 피로를 씻어내기에 제격이다. 역사적으로도 임진왜란 의장병이었던 청계 양대박 장군의 의병 활동 본거지라는 유서 깊은 의미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산림청은 이처럼 자연과 역사가 살아 있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숲이 주는 이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솔바람 치유의 숲을 조성하게 됐다.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은 크게 ▲명상지구 ▲치유시설지구 ▲물치유 지구로 구성돼 있다. 명상지구에는 말 그대로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을 다스릴 수 있도록 하늘바람길, 장수 전망대, 솔향기 쉼터, 풍욕장 등이 조성돼 있다. 치유시설지구는 운영관리동과 체험동 건물이 위치하고 있다. 이 곳에서는 건강을 측정하고 다양한 실내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물 치유지구는 타 지역의 숲과 차별화된 물치유 프로그램 특화 공간이다. 다도원(茶道園), 돌탑 치유장, 전망대, 참꽃 쉼터, 음이온 쉼터 등에서 청계동 계곡의 풍부한 수량을 활용해 다양한 치유 활동을 할 수 있다. 솔바람 치유의 숲에 조성된 이러한 시설들은 사람들이 소나무의 피톤치드가 주는 진정작용을 제대로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고 군은 설명했다. 전체 면적 중 80%가 소나무로 둘러싸인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은 피톤치드를 생산하는 거대한 허파라고 할 수 있다. 치유의 숲으로서 최상의 조건이다. 곡성 솔바람 치유의 숲에서는 출생기부터 회년기까지 생애주기별 산림치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계획이다. 군은 솔바람 치유의 숲이 개장하면 청계동이 여름철 피서지에서 4계절 사람들이 찾는 탈바꿈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치유의 숲과 청계동 계곡과 기차마을, 도림사, 압록유원지 등의 연계로 더욱 많은 관광객들이 곡성을 방문할 것으로 보고 있다.
-
- 산림행정
- 지방행정
-
전남 곡성군 ‘솔바람 치유의 숲’ 9월 첫선
-
-
‘2020년 복권기금 녹색자금사업’ 내달 9일까지 공모
-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윤영균, 이하 진흥원)은 장애인과 노인 등이 거주하는 사회복지시설에 나눔숲과 무장애나눔길 등을 지원하는 복권기금 녹색자금사업의 내년도 사업 공모를 내달 9일까지 접수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정부 국정과제(42)인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는 맞춤형 사회 보장’을 위해 복권기금 녹색자금을 활용, 사회복지시설에 녹지 조성과 사회·경제적 배려계층의 숲체험·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마련됐다. 이에 따라 나눔숲 조성사업(나눔숲, 무장애나눔길, 실내환경개선사업)은 내달 9일까지, 숲체험·교육 지원사업은 내달 2일까지 녹색자금통합관리시스템(gfund.fowi.or.kr)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이를 위해 진흥원은 사업 참가를 희망하는 기관·단체를 대상으로 11일 대전 동구 선샤인호텔 오아시스홀에서 사업설명회(나눔숲 조성사업 오전 10시, 숲체험·교육 지원사업 오후 2시)를 개최한다. 공모분야는 장애인·노인 등이 거주하는 사회복지시설에 녹지공간(나눔숲, 무장애나눔길, 실내환경개선사업 등)을 조성하는 ‘나눔숲 조성사업’(134억 2,000만 원)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숲체험·교육 지원사업’(75억 원) 등이며, 사업비(7개 세부사업)는 총 209억 2,000만 원이다. 특히 내년도 ‘숲체험·교육 지원사업’은 수혜계층 확대 등 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일반 소외계층 지원과 사회적 가치 증진, 산촌특화·지역상생과 나눔숲 돌봄으로 사업을 세분화할 계획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진흥원 누리집(홈페이지, www.fowi.or.kr)의 공지사항을 확인하거나 녹색자금관리팀(나눔숲 조성사업, 042-719-4081∼3)이나 녹색자금사업팀(숲체험·교육 지원사업, 042-719-4072∼4)으로 문의하면 된다. 김영석 녹색자금관리실장은 “복권기금 녹색자금사업은 산림복지 취약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숲을 통해 국민이 행복할 수 있도록 사업시행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복권기금 녹색자금은 복권판매 수익금을 활용,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산림환경을 보호하고 산림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산림청장이 운용·관리하고 있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2020년 복권기금 녹색자금사업’ 내달 9일까지 공모
-
-
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 청년창업캠프 참가자 모집
-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윤영균, 이하 진흥원)은 올 여름 경북 칠곡군 석적읍 국립칠곡숲체원에서 진행되는 ‘산림복지 분야 청년창업캠프(8. 21∼23)’ 참가자를 내달 22일 까지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산림청이 주최하고 진흥원이 주관하는 이번 캠프는 정부 국정과제인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 산업 혁신’을 위해 청년주도형 산림복지전문업 육성과 청년 민간 일자리를 확충하고자 마련됐다. 이 캠프는 개인이나 팀(2∼3명)을 이뤄 직접 산림복지 분야 창업모델을 기획·발표하는 청년창업가 발굴 프로그램이다. 특히 캠프 종료 후에도 산림복지전문업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프로그램 참가자 중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청년들에게는 진흥원 소속 산림복지시설에서 단기 현장 연수 또는 실습 기회가 주어진다. 참가대상은 산림복지 창업에 관심이 있는 청년(만19∼39세, ’80. 1. 1. 이후 출생)이며, 참가자에게는 교육과 숙박·식사 등 전 과정이 무료로 제공된다. 참가신청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진흥원 누리집(홈페이지, www.fowi.or.kr)의 공지사항을 참고하거나 산림일자리창출팀(042-719-4185)으로 문의하면 된다. 윤영균 원장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 진행되는 이번 캠프는 산림복지전문업뿐만 아니라 산림 관련 다양한 창업 소재를 발굴할 예정”이라면서 “앞으로도 산림복지 분야의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 청년창업캠프 참가자 모집
-
-
‘국립자연휴양림 특성화’ 아이디어 공모 기간 연장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정영덕)는 지난 6월 5일 실시한 ‘국립자연휴양림 특성화’ 아이디어 공모 기간을 6월 30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국민들의 기발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보다 폭 넓게 듣기 위해 공모 기간을 30일까지 연장하고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응모내용은 ▲ 전국 42개 국립자연휴양림별 각각을 대표할 수 있는 개성 있는 운영 방안 ▲ 현재 국립자연휴양림에 없는 서비스 방안이다. 응모는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누리집(www.huyang.go.kr, 안내-고객센터-고시/공고 메뉴)에서 공모 참가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하고, 전자우편(perfume98@korea.kr)으로 제출하면 된다. 입상 발표는 7월 12일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누리집에 게시되며, 입상자에게 개별 통보한다. 우수 제안에 대해 최우수상 1명(10만원), 우수상 5명(각 5만원), 장려상 6명(각 2만원)을 선정해 소정의 상품권을 시상한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정영덕 소장은 “이번 공모를 통해 자연휴양림별 특징과 장점을 살린 대표 특성화 모델을 발굴하고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라며, “국립자연휴양림 서비스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국립자연휴양림 특성화’ 아이디어 공모 기간 연장
-
-
청송군 유아숲 체험장 '인기 몰이'
- 경상북도 청송군(군수 윤경희)에서 지난 3월부터 운영하고 있는 '2019 청송 유아숲 체험장'이 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군은 대한민국 최고의 산림휴양지이자 산소카페 청송의 전초기지인 청송자연휴양림 내 유아숲 체험장에서 관내 보육기관 14개소, 유아 350명을 대상으로 오는 11월까지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유아숲체험장'은 아이들이 답답한 공간을 벗어나 숲에서 자연과 교감함으로써 유아의 인성과 창의성 등 전인적 성장을 유도하고 양질의 산림체험·교육 공간을 제공하는 곳으로, 유아숲 지도사 2명을 배치해 나무·꽃·곤충 등 다양한 주제로 숲과 친해질 수 있고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 호응이 높다. 청송군 윤경희 군수는 "유아숲 체험장은 유아들이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자연의 신비로움과 소중함을 일깨우는 의미 있는 장소"라며 "매년 늘어나는 숲 교육 수요에 맞추어 체험시설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 양질의 산림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청송군 유아숲 체험장 '인기 몰이'
-
-
양양군, 여름 성수기 앞두고 송이밸리 자생식물원 준공
- 양양군(군수 김진하)이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송이밸리자연휴양림에 자연학습과 교육휴양이 가능한 자생식물원을 조성했다. 군은 송이밸리자연휴양림을 동해안권의 산림교육․휴양문화 복합단지로 적극 육성하고, 향토․자생식물과 수목 등을 식재해 식물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송이밸리 자생식물원 조성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 사업에는 국비 7억 5천만원 등 총 사업비 15억원이 투입되었으며, 휴양림 내 유휴지로 남아있는 손양면 상왕도리 798번지 일원 3ha 부지에 향토수종 140여종, 4만여 본을 식재했다. 자생식물원은 생태․자연학습이 가능하도록 유실수원과 향토수종원, 품계원, 수생습지원 등 4구역으로 나누어 조성했다. 유실수원에서는 야생조류와 동물 등의 먹이가 되는 식이식물과 과실수를 체험할 수 있으며, 향토수종원은 조선시대 사서에 기록된 양양의 특산수종과 희귀종 등을 관찰학습할 수 있는 공간이다. 품계원은 과거 선조들이 꽃과 나무에 품을 정해 등급별로 운치를 즐기던 정취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강희안의 ‘양화소록’과 유박의 ‘화암수록’을 기초로 1~9등품을 정해 매화와 모란, 산작약, 홍단풍 등을 식재했다. 마지막으로 수생습지원에는 수질정화식물 및 자연천이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공습지와 관찰학습장을 함께 조성했다. 또, 자생식물원 상부에 암석원을 만들고 지형차를 이용해 폭포를 조성, 개울이 흐르도록 했다. 군은 대상부지의 지형을 활용해 인공적인 느낌을 최소화하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충분한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개화시기․형태․색채․질감 등을 고려해 유실수와 야생초화류를 식재해 겨울을 제외한 3계절 내내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자생식물원 조성사업 마무리되면 앞서 운영되고 있는 백두대간생태교육장과 목재문화체험관, 구탄봉 탐방코스 등 관광자원과 연계해 동해안권을 대표하는 복합산림휴양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전망이다. 손동일 산림녹지과장은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향토식물을 보존·육성하고 이를 관광자원화 함으로써, 송이밸리자연휴양림 일대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체류형 산림치유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양양군, 여름 성수기 앞두고 송이밸리 자생식물원 준공
-
-
산림환경포럼, 숲에서 느끼는 소중한시간!
- (사)산림환경포럼(이사장 김헌중)은 지난 3월부터 '지구를 지키는 청소년 산림환경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사)산림환경포럼에서 실시하는 '지구를 지키는 청소년 산림환경체험' 은 복권기금(녹색자금)으로 대전지역 내 초등학교 및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숲길 체험과 산림보호 교육 및 목공체험이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숲해설가의 해설을 시작으로 아이들이 직접 걷고, 만지고, 느끼며 보다 쉽게 숲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갖고 목재를 이용한 DIY목제품을 만드는 시간을 갖는다. 산림환경포럼 관계자는 "숲체험을 통해 아이들이 자신을 돌아보고 행복을 꿈꾸는 위로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체험 신청은 (사)산림환경포럼 홈페이지(www.gkorea.kr) 또는 전화(042-343-9911),e-mail(desk@gkorea.kr)로 하면된다. 한편, 이 체험은 복권기금(녹색자금)으로 (사)산림환경포럼이 주관하며, 복권위원회,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후원으로 진행된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진흥원
-
산림환경포럼, 숲에서 느끼는 소중한시간!
-
-
제주도,도내 자연휴양림 시설물 보완사업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에코힐링을 위해 연간 100여만명이 찾는 방문객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제주절물자연 휴양림을 비롯한 4개 자연휴양림 시설물 보완사업을 추진한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사업비 20억원을 투입해 숙박시설 리모델링(11개소), 주차장 등 편익시설 보수(1식), 야자데크 등 시설물 보수(1식), 무장애 산책로(숲길) 조성(170m), 탐방로 정비(2.5km), 초가동 정비(8동) 등을 성수기전에 마무리하고 휴양림 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시행되는 보완사업을 통해 기존에 조성된 치유의 숲, 목재문화체험장, 유아숲 체험원 등과 연계하고 방문객 등에게 보다 나은 산림문화 휴양 서비스를 제공해 휴양림 이용률이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자연휴양림(143개소) 이용객 1,471만1천명 중 제주지역 내 자연휴양림 이용객은 116만명(7.9%)으로 전국 자연 휴양림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이 찾는 휴양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 3월말 제주도내 제주절물자연휴양림을 비롯한 4개 자연휴양림 입장객은 지난 분기 160,917명과 비교해보면 지난 1~2월 한파 등의 영향으로 1.5%가 감소한 158,435명이 입장한 것으로 집계됐으나 '4·3 70주년 제주방문의 해'를 맞아 4월 이후 방문객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에서는 자연휴양림 이용객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이용객이 집중되는 오늘 10월까지 산림휴양시설 내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안전사고 발생우려가 높은 곳의 경우 특별점검을 통해 사전에 예방 하도록 할 계획이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제주도,도내 자연휴양림 시설물 보완사업 추진
-
-
산림복지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아산시는 28일 아산시근로자종합복지관에서 시 외곽지역에 위치해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체의 구인활동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공유경제를 이용한 기업 출퇴근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는 아산시 사회적경제과 주관으로 공유경제 소셜벤쳐기업인 (주)쉐어앤쉐어 조종운 대표의 사업설명이 있었으며 시 일자리 관련기관, 산업(농공)단지와 기업체, 시 기업지원부서 및 대중교통지원부서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해 카풀을 활용한 출퇴근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제안을 청취하고 다양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개진했다. 조중운 대표는 이 외에도 컨테이너 게스트하우스를 통한 주거문제 해결방안 등 공유경제를 활용한 다양한 청년 일자리 지원방안에 대한 해법을 모색했다. 장치원 아산시 사회적경제과장은 “우리시는 역동적 기업활동에 근간이 되는 인적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며 “특히 오늘 설명회는 꾸준히 제기됐던 청년을 비롯한 산업단지 노동자의 출퇴근 문제에 대한 현장의 의견과 애로사항을 반영해 현실을 감안한 일자리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첫 단계로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아산시는 설명회를 기점으로 산업단지를 비롯한 아산시 외곽지역 기업체의 출퇴근 지원방안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구상 적극 추진하고, 특히 청년 일자리를 우리시 최우선 과제로 보고 청년의 눈높이에서 맞는 강력한 일자리 정책을 마련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아산시는 2017년 12월 15일 ‘아산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를 제정하고 시행중이다.
-
- 산림복지
-
산림복지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
안성, 서운산 자연휴양림 나무심기
- 안성시는 서운산 자연휴양림에서 제73회 식목일 나무심기 행사를 민․관․군 합동으로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황은성 안성시장과 공무원, 지역주민, 안성시산림조합, 평택 미2사단 토마스 드루(Tomas Drew) 장군과 장병 등 약 500명이 참석해, 안성시에 최초로 조성되는 서운산 자연 휴양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식목행사는 서운산 자연휴양림(안성시 금광면 산 19번지 일원) 내 영산홍, 개나리, 사철나무 등 봄꽃나무 2만2천 주를 심어, 4월 26일 준공을 앞두고 손님맞이를 준비하고 장기적으로 울창한 숲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휴양림은 89.9㏊규모로 주변 마무리 공사와 사전점검, 예약프로그램 구축 등 개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운산 자연휴양림의 주요시설 중 하나인 숲속의 집(4~8인실)은 총 8동으로 구성된 독립형 펜션으로, 각 동의 이름은 칠장사, 미리내성지, 금광호수 등 ‘안성 8경’으로 지었을 뿐만 아니라, 건축도 각 동의 특색이 묻어나게 디자인해 선택의 다양성을 꾀했다. 또한 천장 일부를 통유리로 설계해 자연 채광은 물론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들도 감상할 수 있다. 황은성 안성시장은 “안성시에서 처음 조성되는 휴양림에서 가진 식목행사는 미래를 미리 준비하는 안성시민의 따뜻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안성, 서운산 자연휴양림 나무심기
-
-
광양 백운산자연휴양림 숲 속의 야영장개장
- 광양시 휴양림사업소는 백운산자연휴양림 숲 속의 야영장 개장을 위해 대대적인 정비를 마치고 오는 4월 1일부터 개장한다. 따뜻한 봄 햇살 속에 진달래가 지천으로 핀 백운산자연휴양림은 맑은 공기와 함께 백운산의 기(氣)가 충만하고 쾌적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야영객들에게 힐링 장소로 선호도가 매우 높은 곳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2000년 6월 개장 이후 최초로 이용객 10만 명을 돌파했으며 산림청 제97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자 등록, 전라도 방문의 해 대표 관광지 100선 선정되는 등 시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이번에 개장하는 숲 속의 야영장은 야영 데크 74면과 야외탁자, 벤치, 취사장 등을 갖추고 있다. 다만 전기와 바비큐 시설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야영 데크 이용료는 비수기에는 4천 원, 성수기인 7·8월에는 7천 원이다. 주차 요금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휴양림사업소장은 이번에 개장하는 숲 속의 야영장에서 일상생활에 지친 심신을 잠시 내려놓고 백운산의 맑은 공기와 숲 체험을 통해 재충전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아울러 백운산자연휴양림을 사계절 관광과 휴식이 가능한 산림휴양 문화지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시설물 정비와 체험시설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용 시간은 당일 12시부터 다음날 12시까지이며 야영장 입장은 선착순인 만큼 사전에 휴양림사업소(061-797-2655, 2656)로 빈자리가 있는지를 문의하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광양 백운산자연휴양림 숲 속의 야영장개장
-
-
서귀포시, 2018년 숲길 조성사업 추진
- 서귀포시 산림휴양관리소는 숲길 탐방객들에게 안전한 숲길을 제공하기 위해 총 사업비 3억원을 들여 2018년 숲길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숲길 조성 사업은 증가하는 탐방객 수요와 변화하는 숲길 환경에 맞춰 안전하고 편리한 숲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으로, 이 달 말부터 오는 6월까지 진행된다. 산림휴양관리소는 이번 사업을 통해 치유의 숲 호근산책로, 사려니숲길, 머체왓 숲길 등에 야자매트 3.1km, 안내판 15곳, 나무의자 20곳, 정낭 1곳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서귀포시 산림휴양관리소 관계자는 "산림훼손, 탐방객 안전 등의 문제점을 고려해 안전하고 쾌적한 명품 숲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서귀포시는 지난해에 예산 3억 여원을 들여 사려니 숲길 등 3곳에 야자매트 2.6km, 이동식초소 1곳, 안내판 설치 등을 실시했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서귀포시, 2018년 숲길 조성사업 추진
-
-
장흥군, ‘숲에서 놀자’ 우드랜드 산림복지서비스 운영
- 장흥군은 이달부터 편백숲 우드랜드에서 ‘산림복지서비스’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산림복지서비스는 숲해설 프로그램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으로 중심으로 올해 3월부터 12월까지 치유의 숲에서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청소년, 직장인, 일반인, 만성질환자, 아토피·일반가족, 임신부부 등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5천원의 체험료를 받고, 숲 해설 프로그램은 무료로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애들아 숲에서 놀자(숲해설), 희망랜드(산림치유), 숲 태교(산림치유) 등의 다양하게 구성됐다. 숲 해설가, 산림치유 지도사와 함께 숲속호흡요가, 에코티어링, 자연물 이용 체험활동 등의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우든밸리관리사업소장은 “우드랜드에 가득한 피톤치드와 음이온은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질환의 치유와 스트레스 해소, 심신안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며, “우드랜드에서 운영하는 산림복지서비스에 많이 참여해 심신의 깊은 치유를 경험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참여는 전화로 사전예약 또는 현장접수가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우드랜드 홈페이지와 숲 치유센터(061-864-3265)로 문의하면 된다.
-
- 산림복지
-
장흥군, ‘숲에서 놀자’ 우드랜드 산림복지서비스 운영
-
-
백제 123년 시간을 오감으로 느끼는 부여 겨울여행
- “매서웠던 동장군 추위도 가고 길었던 겨울방학도 며칠 남지 않아 아쉽기만 한 이때, 사비백제 123년을 오감으로 체험하는 부여로의 겨울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 개장 2주일 만에 1만명의 이용객을 동원한 인기만점 궁남지 야외스테이트장과 썰매장에는 추위가 더 반가운 가족들로 북적이고 있다. 사계절 다양한 풍광을 자랑하는 궁남지 서문주차장에 자리한 스케이트장과 썰매장은 넓은 주차공간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1시간당 2,000원, 부여주민과 국가유공자는 50%를 할인해주는 저렴한 가격으로 사랑받고 있다. 인근에 자리한 국립부여박물관에서는 국보 제287호로 지정된 백제금동대향로를 만나볼 수 있으며, 어린이박물관에서는 전통문화예술과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이 매일 진행되고 있어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부여시내로 들어오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정림사지,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을 걸으면서 감상할 수 있는데, 특히 정림사지 박물관에서는 2월 28일까지 지역 주민들로부터 기증·기탁 받은 유물과 박물관 소장 작품을 선별해 ‘사비의 향기’ 특별전을 열고 있다. 사비백제의 역사를 오롯이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는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이 최고다. 대형건물지와 왕궁의 주요시설들, 정교하게 판축된 토성이 발굴되어 백제의 왕성 구조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가 있는 곳으로 역사적 가치뿐 아니라 걸으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산책로와 부소산을 끼고 도는 백마강의 시원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매력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능산리고분군과 나성은 시내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어 관광객의 발길이 증가하고 있지 않지만 야간경관 조성과 최첨단 ICT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기대감이 높다. 부여의 세계유산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미리 홈페이지(http://www.buyeo.go.kr/html/heritage/)를 통해 여행코스를 만들고, 가상현실(VR) 사전 체험, VR 가상체험관을 해보는 것도 좋다. 이밖에도 백제문화의 정수 백제역사문화단지,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한 성흥산 사랑나무, 백제기와를 만들어보는 백제기와문화관, 무량사, 서동요테마파크, 송정그림책마을 등 유적지와 관광지들이 산재해 있다. 자세한 여행코스, 관광지, 맛집, 숙박 등은 부여군 문화관광 홈페이지(tour.buyeo.go.kr) 또는 부여여행 앱, 부여군 관광마케팀(041-830-2220)으로 문의하면 된다. 군 관계자는 “최근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타지자체의 경우 관광객 수요에 맞춘 적극적인 관광마케팅을 펼치면서, 지역 특색이 뚜렷한 관광자원과 맛집, 숙박, 체험 등을 연계한 ‘통합관광 패스라인’을 구축하고 있다”며 “현재 부여군에서도 통합관광 플랫폼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조만간 완성도 있는 관광라인이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백제 123년 시간을 오감으로 느끼는 부여 겨울여행
-
-
제주 추자도 ‘황경한의 묘’ 자연생태 휴양공원 조성
- 제주 추자도에 있는 천주교 순교자 황사영의 아들 황경한의 묘가 자연생태 휴양공원으로 조성된다. 제주도는 “추자도내 천주교 111번째 성지순례지인 ‘황경한의 묘’를 자연생태 휴양공원으로 조성해 침체돼 있는 추자도의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자도 주민자치위원회 등 자생단체가 중심이 돼 제주 섬의 특색자원을 활용한 테마형 휴양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도는 내년에 자연생태공원, 휴식공간 쉼터, 해안 마리나 시설, 해안 산책 탐방로, 체험 어장, 휴양 편익시설, 야간 조명시설, 웰빙 먹거리 장터 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전체 사업비는 약 20억원이다. 도는 올해 예산에 추자도 자연생태 휴양공원 조성사업 설계 용역비 1억 2000만원을 편성, 섬 특성에 적합한 친환경적이면서 자연생태 경관 모델을 갖춘 개발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최초의 천주교 박해인 1801년 신유박해 당시 황사영 백서사건으로 아내 정난주(다산 정약용 조카)는 2살배기 황경한과 함께 제주도로 유배를 가게 된다. 정난주는 호송관을 매수, 자신의 아들이 평생을 노비로 살도록 하지 않기 위해 2살배기 황경한을 예초리 바닷가 황새바위틈에 두고 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천주교 제주교구는 눈물로 작별을 했던 예초리 바닷가에 ‘눈물의 십자가’를 세워놓고 성인의 뜻을 기리고 있다. 최근에는 전국에서 천주교 신자들의 순례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 관계자는 “추자도가 갖고 있는 자연경관과 천주교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해 관광객 유치 극대화를 통한 지역주민 소득 창출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제주 추자도 ‘황경한의 묘’ 자연생태 휴양공원 조성
-
-
서귀포 붉은오름자연휴양림 인기 상승
- 제주 서귀포시는 표선면 붉은오름자연휴양림 올해 입장객이 2012년 11월 개장 이후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올해 붉은오름자연휴양림 입장객은 10월말 기준 7만1165명을 기록, 지난해 4만8913명보다 45% 증가했다. 붉은오름자연휴양림은 표선면 남조로 1487-73번지 일대에 산림휴양관 1동·7실, 숲속의 집 9동·11실 등 숙박시설과 방문자센터, 매점 등 편의시설, 숲길 3.2㎞, 오름등반로 1.7㎞ 등을 갖췄다. 지난 7월에는 목재문화체험장이 개장했으며 현재 숲속 야영장을 조성 중이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서귀포 붉은오름자연휴양림 인기 상승
-
-
흥림산자연휴양림, 2017 합동소방훈련 실시
- 영양군(군수 권영택) 산림축산과는 지난 8일 오전 11시부터 50분에 걸쳐 흥림산자연휴양림에서 안동소방서 영양119안전센터와 합동으로 화재발생 대비 인명구조와 소방훈련을 자체적으로 실시했다. 이번 합동소방훈련은 일월면 도계리에 위치한 흥림산자연휴양림에서 예측불허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화재발생 등 비상상황을 설정하고 실시했다. 또한 안동소방서 영양119안전센터는 영양군청 산림축산과 직원들과 흥림산자연휴양림 운영자를 대상으로 소화기 사용법과 심폐소생술 등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현장체험 위주의 교육을 실시했다. 특히 흥림산자연휴양림의 운영자. 관리자 및 안동소방서 영양119안전센터 등 유관기관 단체가 함께 참가하여 위기상황에 따른 초기대응 역량 강화와 안전의식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실시했다. 산림축산과 관계자는 긴급 화재발생 등 안전사고를 대비해서 이번 합동소방훈련을 통하여, 유사시 흥림산자연휴양림 운영자 및 관리자들의 신속한 대처능력을 기를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다고 강평소감을 밝혔다.
-
- 산림복지
- 산림휴양
-
흥림산자연휴양림, 2017 합동소방훈련 실시
산림환경 검색결과
-
-
치악산국립공원, 상반기 협치위원회 운영
- 국립공원공단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소장 노윤경)는 6월 28일 오전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 회의실에서 지역사회 소통과 협력을 위한 ‘2019년도 상반기 협치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원주시청과 원주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14명의 위원이 참석하여 2019년도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 주요 추진사업 및 지역 현안사항 관련 의견 공유 및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
- 산림환경
- 국립공원
-
치악산국립공원, 상반기 협치위원회 운영
-
-
치악산국립공원,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프로그램(KNPFP) 운영
- 국립공원공단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소장 노윤경)는 치악산국립공원의 관리 노하우와 선진사례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공원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프로그램(Korea National Park Friendship Program:KNPFP)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프로그램은 2014년부터 시작되어 올해 6번째 운영중이다.이번 프로그램에는 몰디브, 몽골에서 온 외국공원청 직원 2명이 지난 6월 5일부터 6월 25일까지 3주간 현장관리 교육일정에 참여했다. < 사진설명: 외국공원청 직원의 현장관리 교육일정 참여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 제공)>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프로그램은 행정, 자원보전, 탐방시설 등 3가지 분야로 구성되어, 행정사항에 대한 전반적 교육, 자연자원 모니터링 기법, 탐방프로그램 운영방법, 공원시설 설치관리, 탐방객 안전관리 등 세부일정으로 짜여져있다.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 이승록 자원보전과장은 "이번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프로그램(KNPFP) 운영을 통해 치악산국립공원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선진 관리기법을 국제사회에 전파함으로써 공원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
- 산림환경
- 국립공원
-
치악산국립공원,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프로그램(KNPFP) 운영
-
-
속초시, 우기대비 재해취약지 재해예방사업 추진
- 속초시는 우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급경사지 낙석·붕괴 등 사고에 대처하기 위해 재해취약지 및 급경사지 안전관리대책을 수립하고 오는 6월 28일(금)까지 안전점검을 추진한다. 이번 점검에서 지난 해빙기 점검결과 지적된 급경사지와 산불피해 급경사지 및 인명피해 위험시설 등을 집중 점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보수·보강계획을 수립 한 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은 인명피해 위험시설에 대해서는 재난예방을 위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연중 지속적인 사전 예찰을 강화한다. 특히, 산불피해 급경사지는 우기 전 토사유출 및 붕괴우려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3억을 투입하여 긴급복구공사를 우선 추진한다. 또한 쌍천을 횡단하는 상습침수도로인 세월교 일원에는 침수차단 자동안내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지적 폭우로 인한 차량침수 및 인명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속초시 관계자는 “재해위험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위험요인 해소사업 등을 통해 안전한 도시 속초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환경
- 산사태
-
속초시, 우기대비 재해취약지 재해예방사업 추진
-
-
원주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매개 진드기 주의
- 원주시는 지난 5월 7일(화) 판부면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 및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판부면에 거주하는 환자(만 74세, 여)는 평소 산나물 채취를 위해 인근 야산에 자주 다녔으며, 4월 말 경 반려견과 함께 나물 채취에 나섰다가 진드기에 물린 것으로 보인다. 5월 1일부터 전신 쇠약, 복통, 미열 증상이 있어 의료기관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으며, 5월 7일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2018년 전국에서 259명의 환자가 발생해 47명이 사망했으며, 원주에서는 8명의 환자 가운데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바 있다. 8명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진드기에 물린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은 신림면 4명, 판부면 2명, 지정면 1명, 제천시 봉양읍 1명이다. SFTS는 농작업, 등산 등 야외 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전용 치료제나 예방 백신이 없는 만큼, 농작업, 등산, 벌초, 성묘 등 야외 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긴 옷 착용 및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반려동물에 붙어있는 진드기를 제거하다 물려 감염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장갑 착용 후 핀셋으로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SFTS 바이러스 감염자 중 50대 이상 농림업 종사자(텃밭 작업자 포함)의 비율이 높아 해당 직군의 주의가 필요하다. 진드기에 물리거나 야외 활동 후 14일 이내에 발열이나 소화기 증상(구역, 구토, 설사)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감기몸살이나 식중독 증상으로 생각하고 저절로 낫기를 기다리다 치료시기를 놓쳐 사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원주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매개 진드기 주의
-
-
충북산림환경연구소, 유아숲체험원 참여기관
- 충북산림환경연구소는 도내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2018년도 유아숲체험원 참여기관'을 29일까지 모집한다고 26일 밝혔다. 산림환경연구소 유아숲체험원은 유아가 숲에서 마음껏 뛰어 놀고 오감을 통해 자연과 교감하는 장소로 미동산수목원 내 1만㎡ 규모로 지난해 조성됐다. 주요시설은 나무교실, 통나무건너기, 모래놀이장, 탐방로 등 신체발달 및 창의력 놀이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유아숲체험원은 4~11월 정기형과 수시형으로 운영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충북산림환경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정기형은 선착순 80개 기관을 선정하며 기관별로 연 4회 참여할 수 있어 계절별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다. 수시형은 선착순으로 참여기관을 선정하며 체험 희망일 10일 전에 충북산림환경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지용관 연구소장은 "유아숲체험을 통해 아이들의 창의성과 신체발달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들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환경
-
충북산림환경연구소, 유아숲체험원 참여기관
-
-
신안갯벌도립공원 162㎢로 확대지정 -
- 신안군은 8일 임자, 자은, 팔금 3개면 갯벌 18㎢이 신안갯벌도립공원으로 확대지정 고시된다고 밝혔다. 신안갯벌도립공원은 2009년 최초 증도갯벌 12.8㎢에서 시작하여 2013년 10개 읍면 144㎢로, 이번에 13개 읍면 총 162㎢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갯벌이 없는 흑산면을 제외한 전 읍면이 갯벌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전국 29개 도립공원 중 가장 큰 면적을 자랑한다. 확대지정을 위한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의 긍정적인 평가와 기대를 받았으며, 지난해 11월 전라남도 도립공원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되었다. 확대지정에 따른 타당성조사 및 평가결과 「자연생태계, 경관, 공원관리」 등의 항목에서 3개 지역 모두 86점 이상으로, 기준점수 74점을 크게 상회하여 지정이 타당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확대지정된 갯벌에는 멸종위기종인 노랑부리백로 등 140여 종의 조류와 낙지, 칠게 등 80여 종 이상의 다양한 저서무척추동물 등이 신안의 갯벌에 서식한다. 신안 갯벌은 섬과 섬 사이에 형성된 갯벌로 국제적인 독창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문화재청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신청하였다. 신안군은 갯벌도립공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관찰탐방로 설치, 갯벌체험장, 갯벌 유해시설 처리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생태투어 프로그램 등 생태관광을 활성화하여 갯벌과 주민이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한다는 계획이다.
-
- 산림환경
- 국립공원
-
신안갯벌도립공원 162㎢로 확대지정 -
-
-
한국산지보전협회‘대전시대 개막’신사옥 이전 기념식 개최
- 한국산지보전협회(회장 배정호)는 2018년 1월 30일, 대전 서구 탄방동 창민빌딩에서 신사옥 이전 기념식을 개최하고 새로운 대전시대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김성훈 前 농림부 장관, 류광수 산림청 차장 및 윤영균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 등 임업계 주요 기관단체장들과 김택수 대전광역시 정무부시장을 비롯한 대전지역 주요 인사, 협회 배정호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 등 150여 명이 참석하였다. 배정호 회장은 “대전시대를 맞이하여 『산지의 가치 창출을 선도하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산지전문기관』이라는 협회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창의성과 전문성, 공익성을 핵심가치로 삼아 모든 임직원이 정본청원(正本淸源)의 정신으로 업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류광수 산림청 차장은 축사를 통하여 “한국산지보전협회는 산림청의 산지관리정책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파트너이며, 앞으로도 맡은 바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고객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산지보전협회는 2004년 3월 15일 창립한 산림청 산하 특수법인으로서 산지전용타당성조사, 산지훼손실태조사, 산지정보시스템 운영, 민북지역 산지관리 등 산지의 보전과 산림자원의 육성을 위한 조사, 연구, 교육, 홍보사업을 수행하는 산지전문기관이다. 지난 14년간 서울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해온 협회는 전국에 분포하는 사업현장 접근성 개선 및 산림청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교류협력체계 강화,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에 부응하고자 대전지역으로 사옥을 이전하였다.
-
- 산림환경
-
한국산지보전협회‘대전시대 개막’신사옥 이전 기념식 개최
-
-
진해해양공원, 한국대표‘회의명소’에 선정됐다
- 국제회의장과 전시장 등을 갖추고 있는 진해해양공원이 한국관광공사가 진행한 공모전 ‘2018 코리아 유니크 베뉴(Unique Venue)’에 선정됐다. ‘유니크 베뉴’는 고택, 역사적 건축물, 박물관 등 지역성을 품은 특색 있는 회의장소를 뜻하는 것으로 한국관광공사가 매년 선정한다. 진해해양공원은 이번 공모에서 남해안의 풍광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관광시설은 물론 품격 있는 국제회의장과 연회시설을 갖춘데 높은 점수를 받아 전국 20개 명소에 포함됐다. 경남에서는 유일하다. 진해해양공원에는 국내 최대의 태양광발전 건축물인 창원솔라타워가 있으며, 이곳 지상 120m 지점에 전망대가 설치돼 멀리 거가대교와 신항만을 비롯해 남해안의 아름다운 섬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특히 창원솔라타워에는 국제회의장(644㎡), 소회의실(110㎡), 전시장(606㎡) 등을 갖춰 국‧내외 다양한 회의와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다. 한편, 진해해양공원은 ‘코리아 유니크 베뉴’ 선정으로 관련 홍보물 제작 및 공사 해외지사 등 활용, 공사 K-MICE(K-mic visitkorea.or.kr) 연계 유니크 베뉴 홍보 웹페이지 제작, 해외 MICE 전문매체 대상 기획기사, 국내 PCO․여행사 담당자 대상 팸투어 등 제반 홍보를 1년 동안 지원받게 된다. 김민관 해양공원관리소장은 “이번 코리아 유니크 베뉴 선정을 계기로 ‘창원방문의 해’와 연계한 적극적인 관광마케팅으로 진해해양공원이 세계인이 찾는 관광명소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산림환경
- 국립공원
-
진해해양공원, 한국대표‘회의명소’에 선정됐다
-
-
생물다양성의 미래와 청소년이 한 자리에!
-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11월 18일 서울 서초구 힐스테이트 갤러리홀에서 ‘2017년 생물다양성 청소년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생물다양성 청소년 페스티벌’은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생물자원보전 활동에 앞장선 청소년들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올해로 12회를 맞았다. 이날 행사에서는 생물자원보전 활동에 모범을 보인 제12기 청소년리더(33개교 58팀 286명)와 2017년 그린기자단(총23명)에게 수료증을 수여하고, 우수 활동팀을 선정하여 환경부 장관상을 시상하고 생물다양성에 관한 토크콘서트와 각 팀별 한해 활동 내용을 공유하는 부대행사도 열었다. 청소년리더 최우수상에는 용인외대부속고등학교 ‘GRECO'팀, 대덕중학교 ‘대덕그린피스’팀이 선정됐다. 우수상에는 낙생고등학교 ‘그린키퍼’, 삼괴고등학교 ‘인바이오’, 서산여자고등학교 ‘RANA', 서산중앙고등학교 ’Eco Nature', 군산중앙여자고등학교 ‘새처럼 연구팀’ 등 5팀이 선정됐다. 최우수상에 선정된 ‘GRECO’팀은 개구리에 알맞은 환경을 연구하고 개구리 보호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활동으로, ‘대덕그린피스’팀은 대덕중학교 및 학교 인근의 매봉산과 탄동천의 생물다양성 조사 활동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고등부와 대학부로 구성된 생물다양성 그린기자단은 생물자원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매월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조사와 취재를 진행했다. 큰조롱박 먼지벌레, 꾸구리, 매미와 같은 우리 주변의 다양한 생물종과의 공존에 대해 알리고, 성별이 교란되고 있는 생물들의 현재의 모습,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산불 등이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 등도 직접 조사하고 기사를 작성했다. 이들이 작성한 기사는 매월 선별하여 ‘환경미디어(ecomedia.co.kr)'와 웹레터를 통해 배포되어 국민들에게 생물다양성의 소중함을 알리는 역할을 하였다. 이 중, 기사내용과 제출건수, 채택건수, 조회수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 심사를 통해 4명의 최우수 기자가 선정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소통테이너 오종철의 사회로 생물다양성 청소년리더, 그린기자단 대표, 16년도 생물다양성 청소년 우수리더, 전문가 등이 참석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해 말하다’라는 주제로 활동사례를 발표했다. 이 밖에 생물다양성 청소년리더 제작 영상 상영, 생물자원보전의 바람을 담은 생태지도 퍼포먼스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었다. 한편, 이날 환경부와 내셔널지오그래픽 한국판이 공동으로 주최한 ‘제11회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이야기 사진공모전’ 시상식도 함께 열렸다.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생물들’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올해 사진공모전에는 총 958점이 출품되었으며, 이 중 이동현 씨의 ‘학의 연가’가 대상에 선정됐다. 그 외 ‘눈싸움 해볼까’ 등 최우수상 2명, 우수상 5명을 포함해 총 28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사진공모전의 수상작들은 환경부와 내셔널지오그래픽 홈페이지(www.nationalgeographic.co.kr)에서 감상할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 청소년 페스티벌’ 행사장 내에서도 전시되었다. 노희경 환경부 자연보전과장은“우리 청소년들의 생명을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행동들이 모여 사회로 확산된다면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온 국민들도 동참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청소년과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에코맘코리아 하지원 대표는 "2017년에는 290명의 청소년과 함께 290그루의 나무가 자랐다. 청소년들이 한 그루의 나무를 관찰하며 우리 주변의 생물에 대한 애정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며 "청소년들이 올 한해의 경험을 통해 미래의 생물다양성 리더로 자라나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며 격려했다.
-
- 산림환경
-
생물다양성의 미래와 청소년이 한 자리에!
-
-
2017 UN청소년환경총회 11월 11~12일 서울대에서 양일간 개최
- ‘2017 UN청소년환경총회’가 오는 11월 11일~12일 양일간 3백여 명의 청소년 대표단과 의장단이 참여한 가운데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동에서 개최된다. UN과 공동으로 개최하는 국내 유일의 청소년 총회인 ‘UN청소년환경총회’는 환경단체 에코맘코리아, 유엔환경계획(UN Environment, UNEP), 유엔협회세계연맹(WFUNA)이 주최하고 환경부, 외교부, LG생활건강, 주한미국대사관, 주한유럽연합대표부, 한국과총 등이 후원한다. ‘2017 UN청소년환경총회'는 모의유엔총회를 경험하며 미래의 에코리더인 청소년의 눈으로 글로벌 지구환경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도출하는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다. 특히 올해에는 총회에 앞서 청소년 대표단의 이해를 돕기 위한 워크숍이 사전에 2회 개최된다. 11월 4일 서울대학교에서 1차 워크숍이 진행되며, 11월 5일에는 각 주제에 맞는 현장탐방 워크숍을 서울 노원 도시농업, 동작 성대골 에너지절전마을, 강원도 철원 두루미마을, 경기 안산 시화호 등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UN청소년환경총회에는 UN의 관계자들도 참여할 예정이어서 눈길을 끈다. UNEP 본부의 환경교육을 총괄담당하는 모니카 G. 맷데벳(Monika G. Macdevette) 환경정책이행국장이 방한해 총회 오프닝 스피치를 열며, 마이클 라이터러(Michael Reiterer)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 대사도 참여한다. 이번 UN청소년환경총회를 주최, 진행하는 에코맘코리아 하지원 대표는 “참가 청소년들이 각 국의 대표 자격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글로벌 시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인식할 수 있고, 찬반, 경쟁이 아닌 합의를 통한 해결법을 도출하는 특별한 경험을 통해 미래의 글로벌 에코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
- 산림환경
-
2017 UN청소년환경총회 11월 11~12일 서울대에서 양일간 개최
-
-
환경재단, 식물원으로 떠나는 초등학생 대상 현장 체험 프로그램 실시
-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이 21일(토) 한택식물원에서 초등학생 30명과 함께 ‘오렌지 플랜트 현장 체험’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오렌지 플랜트스쿨 현장 체험’은 환경재단과 ING생명이 함께하는 ‘기쁨으로 키우는 맑은 공기 오렌지 플랜트’ 사업의 일환이다. 환경에 관심이 있는 전국 초등학생 중 선발된 30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교육을 실시했으며 생태 감수성을 키우기 위한 ‘생물다양성 탐방’, ‘자연물 창작 체험’ 등의 현장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환경재단은 설립 이후부터 꾸준히 어린이 환경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아이들이 환경감수성을 갖고 성장한다면 우리의 10년, 20년 뒤는 분명 달라져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아이들에게 현장 경험은 더없이 중요하다. 이번 오렌지 플랜트 체험을 통해 아이들이 한층 성장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오렌지 플랜트 현장 체험에 참여하는 초등학생 60명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아이디어’를 주제로 제출한 포스터 및 에세이 심사로 선발됐다. 각 30명씩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며 2차 현장 체험은 다음달 18일에 진행된다. 한편 환경재단은 ‘기쁨으로 키우는 맑은 공기 오렌지 플랜트’ 사업을 통해 서울 시내 9곳에서 공기 정화 식물 나눔 캠페인을 진행했다. 또한 현재 서울 지역 5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우리의 작은 실천’을 주제로 학교 방문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환경재단 어린이환경센터는 ‘어린이 기후변화학교 습지 현장 체험 그린리더십 과정’ 해양 교구 개발 및 보급 교육인 오션드림 프로젝트 등 어린이들이 생명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다양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하고 있다.
-
- 산림환경
-
환경재단, 식물원으로 떠나는 초등학생 대상 현장 체험 프로그램 실시
-
-
동부산림청,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대책본부 운영!
- 동부지방산림청(청장 고기연)은 산림병해충 조기발견 및 적기방제로 산림피해를 최소화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숲을 만들기 위해『2017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대책본부』를 본격 운영(6.1.~8.31.)한다고 밝혔다.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대책본부』는 3개월간 동부지방산림청과 7개 국유림관리소(강릉․양양․평창․영월․정선․삼척․태백)에 설치하게 되며, 소나무재선충병․솔잎혹파리․참나무시들음병 등 주요 병해충은 물론 돌발․외래 병해충 등에 대한 사전 예찰을 강화하고, 적기 방제를 추진하여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산림과 농경지 등에 많은 피해를 주는 꽃매미 등에 대하여 지역별 농업부서 등 유관기관들과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공동 대응해 나갈 계획이며, 산간마을 및 복지․교육․종교시설 등을 대상으로 국민들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 찾아가는 산림행정을 실현하고자 생활공감형 방제를 실시하게 된다. 고기연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이번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대책기간 중에 각종 병해충 방제에 따른 안전사고 및 주민피해 예방 등을 위한 산림당국의 요청에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리며, 각종 병해충 의심목을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가까운 국유림관리소나 동부지방산림청(033-640-8525~8527)으로 연락을 해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
- 산림환경
- 산불.해충
-
동부산림청,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대책본부 운영!
목재이용 검색결과
-
-
한옥기술인협회직업전문학교 '목구조관리기술자예비과정' 국비직업훈련 운영
- 한옥기술인협회직업전문학교(원장 김가영)에서는 목조건축전문가양성을 위한 과정으로 목구조관리기술자 예비과정을 국비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목구조관리기술자예비과정”은 총 704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 8시간 수업· 88일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교과내용으로는 경량목구조와 중량목구조를 기본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즉, 산업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같은 내용을 함께 구성하고 있으며, 수료 후에는 “목구조관리기술자 양성과정”에 입교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함과 더불어 양성과정 수료 후 국가자격을 취득할 있어 일거양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현재는 1기가 진행되고 있어 이 과정은 8월 10일 수료를 예정으로 하며, 2기는 11월 5일부터 2019년 2월 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한옥기술인협회직업전문학교는 임실목재문화체험장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육신청 및 문의사항은 직접 및 전화(063-642-3900)로 하면 된다.
-
- 목재이용
- 목조건축
-
한옥기술인협회직업전문학교 '목구조관리기술자예비과정' 국비직업훈련 운영
-
-
광양시, 새로운 목재문화 선도할 목재문화체험장 개장
- 광양시는 5월 1일 백운산자연휴양림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목재문화체험장에서 개장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번 개장식에는 정현복 광양시장, 송재천 광양시의회의장을 비롯한 시의원, 주민,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시는 시민의 다양한 문화활동 증진을 위해 2015년부터 52억 원을 투입해 백운산자연휴양림 천년의 숲속에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로 목재문화체험장 건립을 추진해 왔었다. 연면적 1,333.35㎡의 자연친화형 한옥으로 건축된 광양목재문화체험장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각 연령층별로 목재재료를 직접 만지고 느끼면서 작품을 제작해 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이번에 개장한 ‘목재문화체험장’에는 체험실과 전문 목공실, 놀이터, 전시실 등 다양한 시설들이 갖춰졌다. 특히, 어릴 때부터 친근하게 목재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36개월~만6세 아이들을 대상으로 목재놀이시설과 놀이기구를 배치한 나무상상놀이터를 운영한다. 시는 이러한 다양한 목공체험 프로그램이 아이들의 창의력과 상상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줘 시가 추진하고 있는 ‘아이 양육하기 좋은 도시’ 만들기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목재문화체험장 체험료는 작업 난이도에 따라 1인당 최소 1,000원부터 최대 3,000원까지 받고 있으며, 20명 이상 단체로 방문할 경우에는 30%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아이들을 위한 나무상상놀이터 입실 체험료로 6,000원을 받고 있으며, 재료비는 재료구입 단가로 적용해 최소 4,000원부터 최대 36,000원까지 별도의 부담이 있다. 시는 휴양림에서 쉬고, 보고, 듣고, 느끼고, 맛보는 오감체험이 가능하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설 개선을 통해 더 나은 산림휴양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개장식에 참석한 정현복 광양시장은 “백운산자연휴양림에 체험시설이 갖춰지게 됐다”며, “‘치유의 숲’과 ‘백운산 둘레길’을 완료하고, 2021년까지 ‘산림복지단지’를 조성해 백운산자연휴양림에서 치유와 힐링, 레포츠 체험, 교육 등 모든 산림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대표 산림휴양 관광지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백운산뿐만 아니라 목재문화체험장에도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광양목재문화체험장 체험과 관련한 자세한 문의는 전화(☎ 797-9511, 9517)로 연락하면 된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광양시, 새로운 목재문화 선도할 목재문화체험장 개장
-
-
인천 월미공원, ‘2018년 주말 만들기 체험행사’ 진행
- 인천광역시 월미공원사업소에서는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함양을 도모하고자 4월 14일(토)부터 ‘2018년 주말 만들기 체험행사’를 진행한다. 10월 27일(토)까지 총24회(8월 제외), 매주 토요일 14시∼16시까지 2시간동안 월미공원 내 양진당 등 지정장소에서 진행 예정이다. 본 행사는 월미공원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자연과 민속을 주제로 주말 만들기 체험을 실시하여, 친구나 연인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부모님과 함께하는 즐거운 추억을 선사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는 머그컵, 자개거울, 봄햇살 스탠드, 복주머니 방향제, 스카프 염색, 우드마커스로 시계 만들기 등이 진행된다. 인천 월미공원사업소 관계자는 “시민의 쾌적한 휴식과 문화관광은 물론 건전한 정서함양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월미공원은 월미산을 중심으로 월미공원 둘레길 2.3km가 조성돼 있어 그 둘레길을 따라 펼쳐지는 나무들 사이에서 삼림욕이 가능하다. 특히 월미산 정상의 전망대에서 내려다보이는 인천항 및 인천대교 야경과 영종도 너머로 지는 석양이 주는 감동까지 느끼면 자연의 일부임을 느끼며 충전을 만끽할 것이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인천 월미공원, ‘2018년 주말 만들기 체험행사’ 진행
-
-
금산산림문화타운, 오감만족 숲 체험 프로그램 본격 가동
- 중부권 최고의 생태종합휴양단지 ‘금산산림문화타운’이 봄바람과 함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산림생태의 명소로 꼽히는 금산산림문화타운은 원시림에 가까운 숲이 잘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산림시설이 연계돼 생태교육, 휴양, 산림치유의 자연이 주는 특별한 혜택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올해 첫 번째 사업으로 ‘2018년 숲, 목공 체험프로그램’ 참여단체 모집을 끝내고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을 위한 ‘숲에서 놀자’, 임산부 대상의 ‘자연친화적 숲태교’, 어르신이 주인공이 되는 ‘숲 힐링 청춘교실’, 다문화의 ‘행복한 숲속여행’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도 잇따라 문은 연다. 숲, 목공 체험프로그램은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친자연적인 학습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감성·인성·신체발달과 더불어 숲과 환경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중·고생들의 팀활동 목재건축체험인 ‘학교내 아지트’에 진산중학교 등 2개소,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숲속 창의 활동인 ‘행복한 숲이야기학교’에 마전어린이집 등 10개소, 학교숲과 연계한 자연체험학습인 ‘찾아가는 생태학교’에 제원초등학교 등 10개소가 선정돼 오는 5~6월과 9~10월에 각각 진행될 예정이다. 금산산림문화타운은 교육기관과 단체, 가족휴양객들을 대상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생태숲에서의 숲체험 및 하늘놀이터, 하늘슬라이드, 숲속교실에서의 생태놀이활동과 더불어 목공체험을 할 수 있는 목재문화체험장까지 하루 체험코스로 충분하다. 특히 목재문화체험장의 인기는 으뜸이다. 1층에는 유아에서 목공예 전문가까지 다양한 목공수업을 할 수 있는 초급-중급-고급 체험장이 있고, 2층에는 목재문화에 대한 상설전시장이 있어 전국의 우수한 목공작품을 한 눈에 담을 수 있다. 기획전시장, 자료실, 카페테리아, 야외에는 트리하우스 목재체험활동 공간으로 구성돼 산림문화의 재미를 더한층 느낄 수 있어 체험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숲해설은 무료로 진행되며, 목공프로그램은 최소한의 재료비로 문패, 시계만들기 등 대상별로 17가지 체험을 골라서 할 수 있다. 금산산림문화타운 홈페이지(http://forestown.geumsan.go.kr)에서 사전예약하면 된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금산산림문화타운, 오감만족 숲 체험 프로그램 본격 가동
-
-
광양시, 민․관 합동 문화재 안전대진단 실시
- 광양시는 문화재의 보존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3월중 민․관 합동 문화재 안전대진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안전대진단에는 소방시설관리업체와 건축물 소유자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광양 향교, 김 시식지 등 주요 목조 건축물과 무형문화재인 장도, 궁시전수교육관을 대상으로 건축물 구조와 자동화재 탐지설비, 소화기 등을 점검했다. 시는 이번 점검에서 유도등, 감지기 불량 등 미흡한 시설에 대해서는 보완조치를 하는 한편, 안전시설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에는 육안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소방감지기와 유도등 등 소방시설에 대한 작동 점검을 실시해 노후한 유도등과 소방감지기 등의 문제점을 파악했으며, 부적격 시설은 즉시 교체할 계획이다. 김경수 문화재팀장은 “기존의 문화재 안전점검의 경우 목조건축물에 대한 화재예방과 보존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해 불안전 요소 제거와 안전시설 정비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문화유산 보전과 시민의 안전보호를 위해 문화재 정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시는 옥룡사지 주차장 카스톱퍼과 데크 미끄럼 방지판을 설치하는 등 문화재 주변 시설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과 시설물 정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소방 및 방범시설을 추가 설치하기 위해 문화재 3개소를 대상으로 올해 국․도비 1억 2천 5백만 원을 확보하는 등 소방안전시설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 목재이용
- 목조건축
-
광양시, 민․관 합동 문화재 안전대진단 실시
-
-
용인시, 목재펠릿 보일러 18대 보급설치비 70% 지원
- 용인시는 난방비 절감과 탄소 배출이 적은‘목재펠릿(Wood pellet)’ 보일러 18대를 보급키로 하고 희망자를 선착순 모집한다. 목재펠릿은 목재 폐기물을 분쇄해 작은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 가공한 땔감으로, 연소율이 높고 이산화탄소와 대기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한다. 목재펠릿 1톤은 경유 3.3배럴(523리터)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가격은 경유에 비해 64% 저렴하다. 보일러 설치비 400만원의 70%인 280만원(국비포함)은 시에서 지원하고 30%인 120만원만 본인이 부담하면 된다. 보일러는 산림청 보급대상으로 등록된 제품만 설치가능하며 5년 의무 사용 기간 동안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다. 지원자격은 관내 단독주택 거주자로 보일러 신규 설치자이거나, 국고보조를 받아 화목보일러나 펠릿보일러를 설치한 후 5년이 지난 경우다. 희망자는 시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건축물 대장과 주민등록등본 등의 구비서류를 갖춰 용인시 산림과로 방문 제출하면 된다. 고영재 산림과장은 “목재펠릿 보일러는 탄소배출량이 적어 친환경적이고 연료비도 저렴해 경제적”이라며 “더 많은 지역 주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 목재이용
- 목재산업
-
용인시, 목재펠릿 보일러 18대 보급설치비 70% 지원
-
-
장흥군, 쉽게 배우는 목공예 교육 운영
- 장흥군은 이달 4일부터 우드랜드에서 수강생 30여명을 대상으로 ‘목공예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무료로 진행되는 이번 교육은 지역 목공예 산업 활성화와 공예 기술 발전을 위해 마련됐다. 교육은 국가무형문화재 소반장 전수자 등 전문강사를 초빙해 목공예 기초이론, 기구 사용법, 목재가공 디자인·재단·조립, 전통 소반만들기 등의 내용으로 이뤄진다. 장흥군은 앞으로 목공예 전문가를 초빙해 오는 11월까지 매월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 참가자는 “일상생활에서 쓰는 간단한 목제품을 내손으로 만들 수 있게 돼 기쁘고, 내년에도 이러한 교육과정에 참가해 좀 더 수준 높은 목공기술들을 익히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장흥군 홈페이지 (http://www.jangheung.go.kr/) 또는 우든밸리관리사업소 방문 또는 전화문의(061-863-8430)를 하면 된다. 프로그램 참가 신청은 방문 또는 팩스(061-862-0074)로 신청하면 된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장흥군, 쉽게 배우는 목공예 교육 운영
-
-
여주시 목재펠릿보일러 보급 지원
- 여주시(시장 원경희)가 겨울철 난방비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가 높은 친환경 목재펠릿보일러를 지원한다. 올해 여주시는 주거용 21대를 지원할 예정으로, 1대 당 설치 비용은 약 400만원이며 산림청에 보급 대상으로 등록된 제품에 한하여 설치비의 70%(약 280만원)를 지원한다. 신청 자격은 여주시에 주소를 두고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민으로서 사업신청서와 함께 건축물 대장 및 실제 거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주민등록등본 등)를 갖춰 읍·면·동사무소 또는 여주시 산림공원과에 신청하면 된다. 목재펠릿이란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톱밥이나 폐목재 등의 나무만을 활용해 톱밥 같은 입자 형태로 분쇄, 건조 및 압축을 해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연료를 말한다. 목재펠릿은 제조 과정에서 기타 첨가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또한 연소율이 95%에 달해 신재생 에너지로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화석 연료 보일러에 비해 이산화탄소와 대기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여 친환경 연료로 알려져 있다. 권혁면 산림공원과장은 "목재펠릿 보일러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감축 등 환경오염 예방에 기여할 것"이라며 "더 많은 지역 주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자세한 신청 절차와 지원 기준은 여주시청 산림공원과 산림자원팀(031-887-2332)으로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
- 목재이용
- 목재산업
-
여주시 목재펠릿보일러 보급 지원
-
-
연천군, 목조문화재 합동소방훈련 실시
- 연천군은 문화재 현장에서 화재 대응능력 강화와 문화재 안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연천소방서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소방훈련을 시행한다. 이번 합동 소방훈련은 6일 국가사적 제223호인 숭의전을 시작으로 9일까지 경순왕릉, 원심원사 등 목조문화재 3개소에서 화재 발생 상황을 가상하여 실시하며 매뉴얼에 따라 화재신고, 자체 초동진화, 소방차 출동 화재진압 등의 훈련을 수행한다. 특히, 대부분의 목조문화재가 산림과 연접한 특성을 고려하여 산불진화 훈련과 연계 실시로 실질적인 대응 훈련에 중점을 두었다. 이번 합동소방훈련은 화재발생 상황에서 문화재 방재역량 구축을 위하여 현지에서 유관기관별 임무와 역할 등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 훈련과정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아내 화재대응 매뉴얼을 실제상황에 맞게 보완함으로써, 실제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위기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 목재이용
- 목조건축
-
연천군, 목조문화재 합동소방훈련 실시
-
-
전주한옥마을 문화시설들, 글로벌 문화관광도시 도약 앞장서겠다!
- 전주시가 글로벌 문화관광도시로 우뚝 서기 위해 한옥마을에 위치한 여러 문화시설들의 직원들과 머리를 맞댔다. 시는 7일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최명희문화관과 부채문화관, 소리문화관, 완판본문화관, 최근 문을 연 한옥마을역사관 등 전주한옥마을 내 위치한 주요 문화시설 직원과 문화관광해설사, 도시관광해설사, 통역안내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문화시설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서 시는 각각의 문화시설에서 운영하는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관광객들의 반응에 대해 청취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문화시설 관계자들은 체험프로그램 방문객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과 전주를 글로벌 문화관광도시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쏟아냈다. 또한, 이날 간담회에는 문화관광해설사와 도시관광해설사들도 참석해 전주한옥마을 내 문화시설만을 소개하는 해설코스 신설과 문화시설들을 체험할 수 있는 동선, 시간 등에 대해 함께 논의했다. 조영호 전주시 관광마케팅팀장은 “앞으로는 관광객들이 한복체험 뿐만 아니라 전통술박물관, 최명희문학관 등 문화시설들이 지니고 있는 체험프로그램들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설코스 및 홍보물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시설들을 알리는데 협조할 것”이라며 “글로벌문화관광에 맞추어 외국인들의 니즈에 맞는 체험프로그램들도 문화시설들과 함께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목재이용
- 한옥건축
-
전주한옥마을 문화시설들, 글로벌 문화관광도시 도약 앞장서겠다!
-
-
이산 안준영 목판서화가와 함께하는 ‘완판본 맥(脈) 이어가기’
- 대장경문화학교가 운영하는 전주목판서화관에서는 ‘전통 판각 강좌’ 8기 수강생을 모집한다. 전통 판각 강좌는 오는 3월 7일 개강을 시작으로 7월 18일까지 약 5개월간 오후 2~4시까지 전주목판서화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전주의 판각(板刻) 문화 전승을 위해 시작된 전통 판각 강좌는 이산 안준영 목판서화가와 함께하는 ‘전주 사람, 완판본 맥(脈) 이어가기’라는 취지로 지난 2013년 처음 개설돼 그간 200여명의 수강생을 배출했다. 수강생들은 지난해 완판본문화관에서 완판본 심청전 상·하권 목판 복각 출판기념식과 ‘100년만에 핀 꽃 완판본 심청전’ 특별전시에서 복각한 완판본 심청전 목판을 공개하는 등 회원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판각 강좌 초급반을 수료한 수강생들 중 전문지도 과정을 마치면 대장경문화학교가 수행하는 목판 복원 사업의 보조 각수(刻手)로 참여가 가능하며 현재 20여명의 보조 각수를 배출하였다. ‘전통 판각 강좌’는 책판에 글자를 새기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전승하고 이어가는 강좌이다. 초급반을 통해 전통 판각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지도하여 목판서화(木板書畵) 작품을 새길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다. 전주목판서화관 관계자는 “이번 강좌를 통해 전주 시민들이 전주의 판각 문화, 목판 인쇄 문화에 친근하게 다가서고, 완판본의 맥을 이어가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라며 “전통 판각에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이산 안준영 목판서화가와 함께하는 ‘완판본 맥(脈) 이어가기’
-
-
뚝딱뚝딱 나만의 원목 제품 만들기
- 평택시청소년재단(이사장 정상균) 평택시청소년문화센터(센터장 이종규)는 주말공공프로그램을 통해 더 풍성하고 즐거운 주말과 청소년들과 가족이 자신만의 핸드메이드 목공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청소년과 가족이 함께하는 행복조립목공교실 시즌1’을 오는 3월 4일부터 25일(일)까지 총4회에 걸쳐 청소년문화센터 1층 세미나실에서 실시한다. 지난해부터 시행된 ‘행복조립목공교실’은 참가자들의 뜨거운 호응과 높은 만족도에 힘입어 올해는 우수 주말공공프로그램으로 계획했으며, 기존 인기 원목제품과 다양한 새로운 원목제품 만들기를 운영한다. 청소년팀과 가족팀을 우선 접수 받으며 관내 청소년단체, 기관, 복지시설, 학교의 추천을 받은 배려대상 청소년들은 재료를 무료로 제공하여 비용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목공교실은 3월 4일(일)-원목액자만들기, 3월 11일(일)-연필꽂이만들기, 3월 18일(일)-원목트레이만들기, 3월 25일(일)-컴퓨터받침대만들기로 구성되어 있다. 목공교실에 참여하는 활동비는 무료이며 소정의 재료비를 받는다. 문의는 청소년문화센터(☎031-646-5420)로 하면 된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뚝딱뚝딱 나만의 원목 제품 만들기
-
-
충북 청주시, 친환경 목재펠릿보일러 지원
- 충북 청주시는 3억2000만원을 들여 겨울철 난방비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가 있는 친환경 목재펠릿보일러 80대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1대당 지원 한도액은 400만원으로 주택용 75대는 보조 70%·자부담 30%, 주민편의 및 사회복지용 5대는 비용 100%를 지원한다. 지난 19일 현재 주민등록이 청주에 등재돼 있어야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목재펠릿보일러는 화석연료 보일러에 비해 이산화탄소와 대기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친환경 난방기기”라고 말했다.
-
- 목재이용
- 목재산업
-
충북 청주시, 친환경 목재펠릿보일러 지원
-
-
서울시, 공공한옥 역사가옥 운영기관 공모…2월 19일 접수
- 서울시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공공한옥을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1월 30일(화)부터 2월 19일(월)까지 역사가옥 2개소를 운영할 사무 위탁기관(단체)을 공개 모집한다. 위탁 대상은 문화재 한옥 2개소로, 시 민속문화재 제33호인 홍건익 가옥(종로구 필운동 88-1)과 등록문화재 제85호인 배렴 가옥(종로구 계동 72)이다. 시는 위탁 대상인 역사가옥 2개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역사가옥 활용 및 운영 컨설팅 용역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가옥별 정체성에 맞는 전시관 등 문화공간을 조성하여 다양한 전시 및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다. 경복궁 서측에 위치한 ‘홍건익가옥’은 1936년에 건립되었으며, 원형 석조 우물과 일각문이 유일하게 잘 보존된 근대한옥이다. 모두 다섯 채로 구성된 ‘홍건익가옥’은 경복궁 서측 지역의 변천사와 인물들, 다양한 기록 등을 전시하여 지역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북촌에 위치한 ‘배렴가옥’은 1940년경 신축한 한옥으로 근대 실경산수화를 그렸던 제당 배렴(1911~1968) 선생이 생애 말년을 보낸 곳이며, 민속학자 송석하도 조선민속학회 등의 활동을 펼쳤던 공간이기도 하다. 배렴가옥에서는 배렴과 다양한 미술인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전시관과 소규모 체험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있다. 위탁기간은 총 3년(’18. 4월~’21. 3월)으로, 주요 위탁사무는 가옥별 역사적 가치와 콘텐츠를 반영한 전시관 조성 및 예술․교육 활용 프로그램 운영, 대시민 서비스를 위한 사무국 운영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신청자격은 서울시에 주 사무소를 두고, 역사가옥(2개소)의 정체성에 맞는 전시관 조성, 역할과 기능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운영계획 수립 및 전문인력 확보를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문화재 보전․전승․활용 또는 문화유산(박물관 등) 운영관련 비영리법인(단체)이면 가능하다. 공고문은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및 서울한옥 홈페이지(hanok.seoul.go.kr)에 게재되며, 신청을 희망하는 기관(단체)은 2. 19.(월) 10시 부터 17시 사이에 서울시청 한옥조성과 방문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응모에 필요한 서류는 신청서, 제안서, 운영실적 증빙자료 등이며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서울시청 한옥조성과(☎02-2133-5582)로 문의하면 된다. 홍건익가옥과 배렴가옥은 현재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역사가옥 전시 및 문화 프로그램 등을 운영 중에 있으며, 각 가옥의 공간별 특징 및 운영사항 등은 직접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다. ※ 역사가옥 운영시간 : 화~일 10:00~18:00(월요일, 법정 공휴일 휴무) 접수된 사업에 대해서는 신청 법인(단체)의 공신력, 사업계획, 수행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격자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탁기관을 선정, 3월 중 협약을 통해 4월부터 역사가옥 2개소를 운영하게 된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이번 서울 공공한옥 역사가옥 2개소의 운영기관 공모․선정을 통해 문화재 한옥이 지역의 공공재로써 시민(주인)에게 한옥의 일상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목재이용
- 한옥건축
-
서울시, 공공한옥 역사가옥 운영기관 공모…2월 19일 접수
-
-
양주시, 목재펠릿보일러 23대 설치비용을 선착순으로 지원
- 경기도 양주시(시장 이성호)는 겨울철 난방비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주택용 목재펠릿보일러 23대 설치비용을 선착순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목재펠릿보일러는 화석연료인 기름보일러에 비해 이산화탄소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낮은 친환경 난방기기로 30% 정도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주택용 목재펠릿보일러는 1가구당 1대만 지원가능하며 설치비용은 1대당 400만 원 내외로 설치비의 70%를 지원하고 나머지 30%는 신청인 본인 부담이다. 축열조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 초과비용은 개인이 부담해야한다. 신청자격은 양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으로 자부담 능력이 있어야 하며, 기존에 국고보조를 받아 화목보일러나 펠릿보일러를 설치한 경우는 5년이 경과해야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방법은 마감시까지 사업신청서와 함께 건축물 대장이나 실제 거주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서류를 갖춰 읍·면·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나 양주시청 산림휴양과에 제출 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목재펠릿 보일러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감축 등 환경오염 예방에 기여할 것“이라며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신청절차와 지원기준 등 기타 문의사항은 양주시청 산림휴양과 산림경영팀으로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 받을 수 있다.
-
- 목재이용
- 목재산업
-
양주시, 목재펠릿보일러 23대 설치비용을 선착순으로 지원
-
-
담양군, 대나무악기로 새천년 담양에 숨을 불어넣다
- 담양군이 ‘대나무악기 연주자 양성교실’을 열어 새천년을 향한 첫걸음을 내디딘 담양(潭陽)에 숨을 불어 넣고 있다. 최근 담양문화원에서 ‘대나무악기 연주자 양성교실’ 초급과정 개강식이 열렸다. 수강생 30명은 개강 첫날부터 본격적인 악기연주 연습에 들어갔다. 대나무의 고장이라는 지역 특성을 살린 ‘대나무악기 연주교실’은 군민 누구나 대나무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고자 지난 2014년부터 시행됐다. 매년 대나무악기 연주자 80여 명을 양성한 바 있다. 군 관계자는 “수강생들의 자기계발, 더 나아가서는 배움에서 재능 나눔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나무악기 합주단 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오는 1월 26일까지 악기별 초급반을 추가 모집(대금 5명, 피리 10명, 단소 5명)한다. 수강신청은 담양군에 주소를 둔 군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군청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고해 팩스 또는 전자우편으로 신청하면 된다. 정균태 자치행정과장은 “군민들이 대나무악기 연주를 통해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지속해서 마련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담양군, 대나무악기로 새천년 담양에 숨을 불어넣다
-
-
진천군, 목재펠릿 전용보일러 설치 지원
- 진천군은 군민들을 대상으로 목재펠릿 전용보일러 설치 지원사업에 나선다. 2억 4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총 60대의 목재펠릿 전용보일러 설치를 지원하는 이번 사업은 신재생에너지인 목재펠릿 보일러 보급을 통해 농·산촌 주민들의 난방비를 절감하고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신청을 원하는 주민은 각 읍?면사무소에서 오는 2월 말까지 신청 가능하고 3월 중순경 산림축산과에서 대상자를 선정하여 통보한다. 건물을 임대한 경우 건물주의 동의가 필요하며, 국고보조를 받은 화목보일러 및 펠릿보일러 설치 후 5년이 경과하여야 한다. 주거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설치비용은 1 대 당 400만 원으로 280만 원을 지원하고 나머지 120만 원의 자부담금이 있으며, 축열조 설치 시 초과되는 비용 또한 개인이 부담하여야 한다. 진천군에서는 지난 2009년부터 매년 60대 정도의 목재펠릿 보일러 설치 지원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목재펠릿 보일러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 또한 있으므로 많은 군민들이 설치비를 지원받아 경제적 효과를 누릴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목재이용
- 목재산업
-
진천군, 목재펠릿 전용보일러 설치 지원
-
-
단양에 내년 3월 목재문화체험관 문연다
- 단양군은 목재로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백두대간 목재문화체험관을 내년 3월 개관한다고 밝혔다. 이 체험관은 2012년부터 73억원을 투자해 추진 중인 백두대간 녹색테마체험장 조성사업의 하나로 단성면 대잠리에 조성 중이다. 체험관은 건축면적 1618㎡에 목재체험관과 야외무대, 잣나무 쉼터, 숲속 놀이터 등의 시설을 갖추게 된다. 목재체험관에서는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나무 조각퍼즐 맞추기를 비롯해 나무 문패 만들기, 솔방울 인형 만들기 등 9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시설 운영은 평일엔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단체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주말엔 가족단위 이용객을 위한 목공예 교실이 마련된다. 아울러 목공예기능사 자격증을 가진 직원들이 이용객들의 체험을 도울 예정이라 이용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용요금도 공구이용 여부에 따라 800∼3000원(재료비별도)선에 결정 될 것으로 보여 다른 체험프로그램에 상대적으로 저렴해 많은 관광객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 2단계 균형발전사업인 백두대간 녹색테마체험장은 총 1만8540㎡ 부지에 목재문화체험관을 비롯해 휴양·숙박시설 등 다채로운 시설로 이뤄졌다. 테마체험장은 해발 723m의 두악산 기슭에 자리한데다 선암계곡이 흐르고 있어 공기가 맑고 경치가 수려하다. 또 단양느림보길 중 하나인 선암골생태유람길이 지나가는 길목에 자리해 다채로운 생태프로그램과 연계한 관광 상품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테마체험장의 숙박시설은 객실마다 내부를 낙엽송과 자작, 편백, 삼나무 등 건강에 좋은 다채로운 나무로 꾸며놓은 게 특징이다. 지난 8월 개장한 숙박시설은 주말마다 빈방이 없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테마체험장 주변에는 만천하스카이워크와 단양강 잔도, 수양개 빛 터널 등 다양한 관광시설이 자리하고 있어 함께 즐길 수 있다. 단양군 관계자는 "목재에 대한 정보, 교육, 전시, 체험을 통해 목재문화의 확산에 기여하는 한편 지역의 각종 관광자원과 연계하는 등 관광산업 육성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단양에 내년 3월 목재문화체험관 문연다
-
-
서울광장에서 즐기는 목공체험…서울 목공 한마당
- 서울시는 목재와 목공에 관한 다양한 볼거리 및 즐길거리를 마련하여 생활 속 목재이용을 증진하고자 10월 24일(화) 오전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서울광장에서 ‘자연과 함께 숨쉬다’라는 주제로 『제3회 서울 목공 한마당』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3회 서울 목공 한마당』은 친환경소재인 목재의 이용을 증진하고 생활 속 목공문화를 활성화하고자 열리는 행사로 ▴목재제품 전시 및 판매, ▴목공체험, ▴버블공연 등으로 구성된다. 6개 자치구와 서울대공원 희망목공소에서 전시에 참여하며 전시품의 일부는 체험 및 구입이 가능하다. 희망목공소는 산에 쓰러진 나무 등을 수준 높은 목공예품으로 제작하여 이번행사에서 전시하고, 도봉구와 강동구 목공소에서는 나무를 재료로 활용해 책받침, 수저통, 다목적 수납합, 독서대 등을 만드는 목공체험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접수 받아 시행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서는『목재감성 체험박람회』도 함께 진행된다. 목재감성 체험박람회』는 복권기금을 지원받아 소외계층 및 시민 5,000명에게 무료로 목공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체험박람회이다. 목공관련 기관 및 단체가 참여하여 나무를 재료로 저금통, 다용도 꽃이, 책상, 장난감, 소품 등을 만드는 40여종의 목공체험을 선보일 예정이다. 목공무료체험 참여는 현장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사전접수 80%, 현장접수 20%) 행사장을 찾은 영·유아는 서울광장 잔디마당 나무놀이터에서 나무정글짐, 짚라인 등 목재로 구성된 나무놀이터를 설치하여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이번 행사를 위해 서울광장 주변에 총 70여개의 목공 관련 부스가 들어설 예정이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참여하고 즐길만한 목공체험 프로그램과 이벤트, 목공제품 판매가 현장에서 진행될 계획이다. 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서울 목공 한마당에 방문한 시민들이 나무와 함께 놀며 즐기는 시간을 통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소재인 목재에 친숙해지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목재 이용을 증진하고, 목공문화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
- 목재이용
- 목재문화
-
서울광장에서 즐기는 목공체험…서울 목공 한마당
-
-
나무로 연필통 만들까, 가족 얼굴 만들까
- 충남도 산림자원연구소(소장 강길남)는 오는 28∼29일 산림박물관 일원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목재 체험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생활 속 자연스러운 목재 이용을 유도하고, 목재 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한 이번 행사는 820명의 관람객에게 목재 활용 생활도구 만들기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제작 체험 생활도구는 연필통과 가족 액자, 가족 얼굴, 부엉이 액자, 수납상자, 곰돌이 자동차, 연인, 압화 스탠드 등 모두 8종이다. 체험 희망자는 28∼29일 산림자원연구소 당일 현장 접수을 하여야 한다. 참가비는 4,500원부터 2만 원까지 제작 체험 생활도구에 따라 다르다. 강길남 소장은 “깊어가는 가을, 고운 단풍 옷으로 갈아입은 산림박물관에서 가족, 연인과 함께 목공을 통해 즐겁고 행복한 시간 보내길 바란다”며 목재 체험 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
- 목재이용
-
나무로 연필통 만들까, 가족 얼굴 만들까
오피니언 검색결과
-
-
(건강) 운동 후 생긴 어깨통증, “자가진단 안 되요”
- 최근 스포츠 인구가 늘어나면서 골프나 테니스 등 운동 후 다양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늘고 있다. 보통은 단순한 근육통으로 치부해 파스를 붙이는 등 자가진단 하에 치료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깨 통증의 경우 방치했다가 자칫 낭패를 볼 수 있다. 무리한 운동으로 어깨를 움직이는 힘줄인 ‘회전근개’가 파열될 수 있는데,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해야 예후가 좋기 때문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조남수 교수와 함께 회전근개 파열의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어깨 힘줄 끊어지는 질환, 무리한 운동도 원인 회전근개란 어깨를 움직이는 4개의 힘줄을 말한다. 이 힘줄 중 하나라도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질환을 회전근개 파열이라 한다.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면서 근력도 약화되는데, 아픈 팔을 돌릴 때 어깨 속에서 걸리는 느낌이 있거나 팔을 올리다가 통증 때문에 힘이 없어 유지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보통은 나이가 들면서 반복되는 손상이나 마모에 의해서 찢어지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어깨를 이용하는 테니스, 골프 등 스포츠나 외상에 의해 찢어지는 환자도 적지 않다. 회전근개 파열, 8년 사이 80% 넘게 증가 회전근개 파열은 계속적으로 증가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회전근개파열로 병원을 찾는 환자(질병코드 : S460, 어깨의 회전근개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는 2010년 74,687명에서 2018년 138,939명으로 80% 넘게 증가했다. 2018년 기준 50-60대가 65%(97,684명)로 가장 많았는데, 30-40대 젊은 층도 25%(31,064명)로 적지 않게 발생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조남수 교수는 “회전근개 파열은 기본적으로 퇴행성 질환이지만, 최근 스포츠 인구가 늘면서 30-40대 젊은 층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오십견과는 다른 질환, 자연치유 안되고 수술적 치료 필요 운동 후에 발생한 통증이든, 나이가 들어 생긴 통증이든 어깨에 통증이 생겼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한다. 운동 후 통증은 단순히 근육통이라 생각하거나, 50대 이상에서는 오십견(동결견)으로 생각해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라는 인식 때문에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회전근개 파열은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지 않는 질환으로 통증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하다. 정형외과 조남수 교수는 “정확한 진단 없이 파열을 방치할 경우 완전 파열로 진행되고, 지속되는 통증 때문에 어깨를 움직이지 않게 되면 점차 굳어지면서 통증은 더 심해지게 된다.”면서 “파열이 커질 경우 나중에는 수술적 봉합도 어려워 불가피하게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아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절개 적은 관절경 수술로 빠른 회복 가능 회전근개가 부분적으로 파열됐거나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약물이나 주사치료, 운동치료를 하게 된다. 정형외과 조남수 교수는 “회전근개가 심하게 파열됐다면 자연 치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관절경으로 끊어진 힘줄을 꿰매줘야 한다.”면서 “5mm 정도 구멍을 통해 관절 내에 내시경을 삽입하고 모니터로 관찰하면서 찢어진 회전근개를 봉합한다.”고 설명했다. 관절경술은 기존 절개술에 비해 통증이 적고 절개로 인한 주위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아 회복이 빠르다. 입원기간은 4~5일이며 조기 퇴원을 원하는 직장인들은 빠르면 수술 후 2일째 퇴원할 수 있다. 혈류량 보존하는 새로운 수술법으로 재파열 줄여 회전근개 봉합술은 대체로 힘줄을 위팔뼈(상완골)에 단순 부착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재파열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재파열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은 회전근개로 가는 혈류량을 보존하면서 힘줄의 고정력을 높이는 봉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정형외과 조남수 교수는 “혈류량 보존 봉합술을 시행할 경우 과거 25% 정도의 재파열 비율을 6%로 크게 낮출 수 있어 환자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회전근개 파열 예방법 ■ 운동 전후로 어깨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기■ 평상시 자주 기지개를 켜는 습관을 들이기■ 균형 잡힌 식습관으로 어깨 힘줄을 튼튼하게 하기■ 어깨 운동을 꾸준하게 하여 어깨 근육과 인대의 유연성 기르기
-
- 오피니언
- 건강&힐링
-
(건강) 운동 후 생긴 어깨통증, “자가진단 안 되요”
-
-
2020년 지면신문 보기 (E-Book)
- 679호(2019. 01.01) 680호(2019. 01.07) 681호(2019. 01.14) 682호(2019. 01.21) 683호(2019. 01.28) 설날휴간 684호(2019. 02.11) 685호(2019. 02.18) 686호(2019. 02.25) 687호(2019. 03.04) 688호(2019. 03.11) 689호(2019. 03.18) 690호(2019. 03.25) 691호(2019. 04.01) 692호(2019. 04.08) 693호(2019. 04.15) 694호(2019. 04.22) 695호(2019. 04.29) 696호(2019. 05.06) 697호(2019. 05.13) 698호(2019. 05.20) 699호(2019. 05.27) 700호(2019. 06.03) 701호(2019. 06.10) 702호(2019. 06.17) 703호(2019. 06.24) 704호(2019. 07.01) 705호(2019. 07.08) 706호(2019. 07.15) 707호(2019. 07.22) 708호(2019. 07.29) 709호(2019. 08.05) 710호(2019. 08.12) 711호(2019. 08.19) 712호(2019. 08.26) 713호(2019. 09.02) 714호(2019. 09.09) 715호(2019. 09.16) 716호(2019. 09.23) 717호(2019. 09.30) 718호(2019. 10.07) 719호(2019. 10.14) 720호(2019. 10.21) 721호(2019. 10.28) 722호(2019. 11.04) 723호(2019. 11.11) 724호(2019. 11.18) 725호(2019. 11.25) 726호(2019. 12.02) 727호(2019. 12.09) 728호(2019. 12.16) 729호(2019. 12.23) 730호(2019. 12.30) 731호(2020. 01.06) 732호(2020. 01.13) 733호(2020. 01.20) 734호(2020. 02.03) 735호(2020. 02.10) 736호(2020. 02.17) 737호(2020. 02.24) 738호(2020. 03.02) 739호(2020. 03.09) 740호(2020. 03.16) 741호(2020. 03.23) 742호(2020. 03.30) 743호(2020. 04.06) 744호(2020. 04.13) 745호(2020. 04.20) 746호(2020. 04.27) 747호(2020. 05.04) 748호(2020. 05.11) 749호(2020. 05.18) 750호(2020. 05.25)
-
- 오피니언
- 시론
-
2020년 지면신문 보기 (E-Book)
-
-
2018년 지면신문보기(E-book)
- 630호(2018. 01. 15) 631호(2018. 01. 22)632호(2018. 01. 29) 633호(2018. 02. 05) 634호(2018. 02. 12)635호(2018. 02. 19) 636호(2018. 02. 26) 637호(2018. 03. 05)638호(2018. 03. 12) 639호(2018. 03. 19) 640호(2018. 03. 26)641호(2018. 04. 02) 642호(2018. 04. 09) 643호(2018. 04. 16)644호(2018. 04. 23) 645호(2018. 04. 30) 646호(2018. 05. 07)647호(2018. 05. 14) 648호(2018. 05. 21) 649호(2018. 05. 28)650호(2018. 06. 04) 651호(2018. 06. 11) 652호(2018. 06. 18)653호(2018. 06. 25) 654호(2018. 07. 02) 655호(2018. 07. 09)656호(2018. 07. 16) 657호(2018. 07. 23) 658호(2018. 07. 30)659호(2018. 08. 06) 660호(2018. 08. 13) 661호(2018. 08. 20)662호(2018. 08. 27) 663호(2018. 09. 03) 664호(2018. 09.10)665호(2018. 09.17) 666호(2018. 09.24) 667호(2018. 10.08)668호(2018. 10.15) 669호(2018. 10.22) 670호(2018. 10.29)671호(2018. 11.05) 672호(2018. 11.12) 673호(2018. 11.19)674호(2018. 11.26) 675호(2018. 12.03) 676호(2018. 12.10)677호(2018. 12.17) 678호(2018. 12.24) 679호(2019. 01.01)680호(2019. 01.07)
-
- 오피니언
- 시론
-
2018년 지면신문보기(E-book)
임업정보 검색결과
-
-
산림아카데미, 양묘‧조경수 재배기술 전문가과정 제5기 교육생 모집
- 산림최고경영자(CEO)과정 교육기관인 재단법인 한국산림아카데미(이사장 안진찬)는 “ 제5기 양묘‧조경수 재배기술 전문가과정” 교육생 모집에 나섰다. <한국산림아카데미 진천군 양묘장 현장견학 중> 본 과정은 다양한 수종에 대한 양묘기술과 번식방법 등의 기술교육을 통해 고품질 양묘 및 묘목을 생산하여 농가 소득 증대와 은퇴예정자, 은퇴자들의 제2의 인생 설계를 위한 신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장소는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천안시산림조합을 비롯하여 양묘,조경수 재배현장에서 교육이 진행되며, 총 7차수에 걸쳐 9월 7일부터 10월 26일까지 당일교육으로 매주 토요일 운영된다. 교육시간 및 방법은 오전 10시 ~ 오후 6시까지 이론 및 현장실습 교육이 병행되어 이루어진다. 교육 내용은 양묘정책, 종묘 및 품종보호 정책, 시설양묘 및 노지양묘 운영실제, 양묘장 시설개선, 종자 생산 및 유통관리, 조경수 특성 및 종류, 수목굴취, 병해충 방제, 수형관리와 정지전정, 유실수 및 특용수 재배실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교육은 김장수(국립산림과학원), 변재경(한국임업진흥원), 이규화(서울대 나무병원), 이경준(前서울대교수), 김종진(건국대학교), 김광두(상명대학교), 신현철(前국립산림과학원), 박형순(청림나무종합병원장), 조민석(산림생산기술연구소), 양정모(영림농원대표)등 15여명의 양묘, 조경수 관련 전문가가 교수진으로 참여한다. 양묘‧조경수재배기술 전문가과정을 통해 소득창출과 산림인재양성, 산림일자리창출 등 일석삼조 효과를 목표로 한 양묘‧조경수 재배기술 전문가과정은 산림과 나무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교육에 참여할 수 있으며, 원서접수는 한국산림아카데미 홈페이지(http://www.forest21.or.kr)나 한국산림아카데미다음카페 (http://cafe.daum.net/forestceo)를 통한 인터넷 신청 또는 이메일을 통한신청(jcan600@nate.com),한국산림아카데미 교학처로 전화 신청하면 된다 (042)471-9963, 9960).
-
- 임업정보
- 임업단체
-
산림아카데미, 양묘‧조경수 재배기술 전문가과정 제5기 교육생 모집
-
-
국립산림과학원, 표고버섯 육종전문가 양성 교육 실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표고버섯 민간 육종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표고버섯 육종기술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한국형 우수 신품종을 육성하는 골든시드 프로젝트(Golden Seed Project)의 일환으로, 표고버섯 신품종 개발을 위한 육종기술을 민간 육종인과 공유하여 국내 표고버섯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실시된다. 교육의 내용은 표고버섯의 단포자 분리, 균주 배양방법, 교잡 및 육종 과정 등이며 수업 참가자를 중심으로 이론교육 및 실습을 진행한다. 실습과정에서 사용하는 재료는 국립산림과학원이 제공할 예정이며 실습자가 육종을 위한 표고버섯을 직접 가지고 있는 경우 실습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표고버섯 육종기술교육 참가신청은 7월 25일부터 전화(02-961-2506)로 접수하면 되며, 선착순 15명만 모집한다. 교육은 8월 5일부터 28일까지(실제 교육기간은 약 7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연구동 103호 산림버섯연구실에서 진행된다. 산림소득자원연구과 김세현 과장은 “이번 표고버섯 육종기술교육이 민간육종가 양성과 더불어 국내 민간육종산업의 발전을 위한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골든시드(Golden Seed) 프로젝트를 통해 국산 표고버섯 품종의 육종 및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기술을 임업인들과 공유해 국내 표고버섯 재배자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 산림산업
- 국립수목원
-
국립산림과학원, 표고버섯 육종전문가 양성 교육 실시
-
-
청정숲푸드, 서울시민 식탁을 사로잡는다!
-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7월 17일(수), 서울시지역상생교류사업단(단장 조혜원)과 청정한 산림 먹거리 브랜드 ‘청정숲푸드’ 판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 도심에 위치하여 도농 상생 교류의 거점이 되고 있는 ‘상생상회(종로구)’에 ‘청정숲푸드’ 코너를 개설하고, 국내 산림에서 생산된 건강한 먹거리 브랜드‘청정숲푸드’등 우수 임산물의 매장입점과 다양한 청정임산물 판매이벤트도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임산물의 수요가 많아지는 추석 명절 및 밤, 대추, 떫은감 등 임산물의 본격적인 가을 수확철에는 판촉 행사와 문화행사를 대폭 확대해 ‘청정숲푸드’ 알리기와 임산물 판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구길본 원장은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판로 지원을 요청하는 임업인들에게 지속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상생 협력을 통해 서울시민의 식탁에 건강한 식재료인 청정숲푸드가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 청정숲푸드란? 산림에서 자연이 키운 임산물에 대한 검증과 정보제공을 통해 우수한 청정임산물의 소비자 신뢰를 향상시켜 임업인 소득향상을 지원하고 임산물의 산림재배를 활성화하여 산림의 경제적 활용가치 향상
-
- 임업정보
-
청정숲푸드, 서울시민 식탁을 사로잡는다!
-
-
완주군산림조합, 1111 사회소통기금 500만원 기탁
- 완주군 산림조합(조합장 임필환)이 5월 8일 완주군 1111사회소통기금에 500만 원을 기부했다. 조합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500만원씩 총 2000만원을 기부했다. ‘1111 사회소통기금’은 현재까지 8억3000만원을 모금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지원하고 있으며, 주민·기업·단체 등 1100여명이 후원에 동참하고 있다. 모금된 기금으로는 저소득 가정 청소년 장학금, 긴급 생계비 지급, 어르신 먹거리 지원, 미등록 경로당에 에어컨 설치, 청각장애진단 의료비 지원, 자활센터와 함께 하는 나눔 냉장고 사업 등 정부보조가 어려운 복지 사각지대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완주군산림조합, 1111 사회소통기금 500만원 기탁
-
-
한민국 야생화 전문가 양성 제1기 초급반 교육 힘찬 출발
- 한국야생화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양정인)은 대한민국 야생화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을 지난 5일 구례문화예술회관 세미나실에서 개강하고, 출발했다. ‘재능 나눔’으로 시행되는 야생화학교 제1기 초급반에는 월요반 36명, 주말반 24명으로 총 60명이 등록 했다. 월요반은 구례 거주분이 중심이고, 주말반은 직장인과 광주, 용인 등 외지인으로 편성되어 필요한 시간에 교육을 받을 수 있다. 3월5일부터 7월14일까지 격주로 10회에 거쳐‘색향미음(色香味音) 오감동행’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야생화의 의미와 가치이용, 야생화의 전반적인 이해, 야생화 분류와 동정, 꽃 색의 신비와 향기 구분방법, 야생화 재배와 관리기술, 번식, 상품화연출, 야생화 사진 잘 찍는 기술과 시(詩) 짓기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 하고, 지리산과 오산일원에서 현장 강의도 실행 한다. 또한 시(時)와 사진 분야는 김인호 시인이 재능 나눔으로 동참한다고 한다. 재능 나눔 교육을 주관 하는 정연권 본부장은 30여간 야생화를 연구 개발하여 신지식인과 행정자치부의 지방행정 달인 칭호를 받은 최고의 야생화전문가이다. 지난해 구례군농업기술센터소장으로 퇴직하고, 전국 야생화 예술전문가 10여명과 한국야생화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하여 농림축산식품부의 인가를 마쳤다. 야생화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재능 나눔 교육으로 전문가를 양성하여 사회에 공헌코자 야생화학교 강좌를 개설한 정본부장은“그동안 연구하고 개발한 노하우를 전수하여 많은 분이 공유하여 야생화산업이 활성화 되도록 앞으로 1천명을 양성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정인 이사장은“지리산 야생화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야생화를 보전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기술을 전수하여 야생화산업 활성화와 지역 거버넌스 구축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하겠다”고 말했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한민국 야생화 전문가 양성 제1기 초급반 교육 힘찬 출발
-
-
금산군산림조합 1천만원 기탁
- 금산군산림조합(조합장 길호덕)은 최근 지역인재 육성을 위해 써달라며 1000 만원을 금산교육사랑장학재단에 기탁했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금산군산림조합 1천만원 기탁
-
-
익산 표고재배자와 산림조합을 위한 선진지 견학
- 산림조합 전북본부와 익산산림조합은 지난 18일 익산시 표고재배자 40여명과 함께 전남 산림버섯배지센터를 방문, 표고재배 기술에 대한 교육 및 견학을 실시했다. 배지센터는 재배시설 및 종균 품종에 따른 재배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귀산촌인이 가장 선호하는 표고품종을 시작하는 단계에서의 주의점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참가자들은 "노동인구의 노령화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부부 둘이서 재배할 수 있는 수량 및 관리방법에 대해 배우는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정규순 전북본부장은 "최근 임산물재배자 및 귀산촌인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임업인에게 실질적인 소득 증대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제시하는 산림조합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익산 표고재배자와 산림조합을 위한 선진지 견학
-
-
진안군·산림조합, ‘사랑의 땔감 나누기’
- 전북 진안군과 군 산림조합은 4일 어려운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게 선도산림경영단지 사업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활용한 ‘사랑의 땔감 나누기’ 행사를 진행해 지역사회와 따뜻한 정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군은 이번 난방용 땔감을 용담면과 안천면에서 추천받은 50세대에게 세대당 2톤씩 총 100톤을 전달했다. 또한 사랑의 땔감 나누기를 통해 산림사업 이후 방치되고 있는 부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산불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산림재해를 예방하고, 자연경관을 개선하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본격적인 겨울 추위를 앞두고 난방비를 걱정하는 이웃들에게 버려지는 잡목들이 훈훈한 사랑의 땔감으로 다시 태어나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또한 산림경영 성공모델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선도산림경영단지의 경영 활성화에도 주민들의 많은 관심과 협조 바란다”고 전했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진안군·산림조합, ‘사랑의 땔감 나누기’
-
-
산림조합중앙회 충북지역본부, 장학금 수여식 가져
- 산림조합중앙회 충북지역본부(본부장 윤관중)는 15일 충북지역본부 회의실에서 산주와 임업인의 안정적인 산림경영을 지원하고 미래의 우수한 임업인을 육성 발굴하기 위한 장학금 수여식을 가졌다. 농업고등학교, 산림분야 대학교, 산림분야 종사자 자녀 등 총 6명이 지원을 받았으며, 장학금을 지급 받은 한 학생은 “앞으로 학업에 더욱 매진하여 미래 임업 분야 발전에 기여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며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윤관중 산림조합중앙회 충북지역본부장은 “오늘 지급한 장학금은 지역 발전에 이바지 할 인재 양성에 보탬이 되고자 2016년 산림조합중앙회 충북지역본부의 경영 수익금으로 마련되었으며, 앞으로도 지역의 많은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장학기금 조성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북지역본부는 조합 발전을 위한 각 분야에서 성실하고 창의적인 자세로 일하는 임·직원을 표창하고 올 한해 동안의 노고를 치하하고 사기를 진작하는 시간도 가졌다. 최우수 조합으로는 보은조합이 선발되었으며, 일반사업부문, 신용사업부분에서 남다른 열의와 성실함으로 모범이 된 관내 직원들도 표창을 수여받았다. 윤관중 본부장은 앞으로도 적극적이고 친절한 자세의 산림조합 직원으로서 국민에 신뢰받는 산림조합이 되자고 당부했다.
-
- 임업정보
- 산림조합
-
산림조합중앙회 충북지역본부, 장학금 수여식 가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