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토)

[기고] 기후변화에 우리는 자유로울 수 있는가?

권철환 소백산국립공원북부사무소장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6.09.19 15:0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내 기억에 이렇게도 뜨거웠던 여름이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이번 여름은 유난히도 더웠던 것 같다. 폭염발생일수는 20일을 훌쩍 넘겼고, 밤이 늦어도 에어컨을 끄면 속옷에 배어드는 땀에 잠 못드는 밤이 헤아리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뉴스에는 폭염경보 발령이다 전기 누진제다 연일 더위 때문에 시끄러웠다. 하늘도 더위가 물러가길 바랬는지 가을을 재촉하는 비가 내리고 한풀 꺾인 더위를 맞이하고 나니 이제 제자리를 찾는 것 같아 안심이 된다.
 
 살인적인 더위가 의례히 겪는 통과 의례로만 여겼지만, 올해만큼은 너무도 낯설다. 에어컨없이 시원한 등목으로 더위를 피해가던 20년 전쯤과 사회적인 여건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소백산이 자리한 이곳 단양지역의 현장 상황은 예전과 사뭇 다른 느낌이다.


숲의 그늘에 들어서도 숨막히는 더위는 물러갈 기색이 없고, 늘 기승을 부리던 모기도 올해만큼은 그 기세가 약해졌다. 저녁 무렵이나 되어야 더위에 늘어진 작물을 돌보느라 농민들이 밭으로 나오고,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만 비켜가는 태풍경로를 보고 있노라면 무언가 달라지긴 한 것 같다. 사람의 행동이나 느끼는 바가 이만큼이나 달라졌는데, 느릿느릿 변했다손 치더라도 자연도 그만큼 달라졌을 터이다.

 내가 기후변화 전문가가 아니지만 소백산은 분명 달라지고 있다. 소백산의 비로봉은 천연기념물 제244호인 주목군락이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고, 지형적・기후적인 여건으로 인해 큰 나무가 자랄 수 없다고 알려진 곳이다.

멸종위기식물인 복주머니란을 포함하여 노랑무늬붓꽃, 모데미풀, 왜솜다리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희귀식물이 자생하는 곳으로,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국가 핵심생태축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게다가 국립공원관리공단 설립 이후 훼손지 복구, 특별보호구 지정 등 중점적으로 관리하고자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도 사진과 비교했을 때 비로봉의 현재 모습은 이질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달라져 있었다.
 
 주목군락지 보호를 위해 쳐진 목재 펜스를 중심으로 빼곡하게 숲이 채워지고 있었고, 넓은 초지 군데군데에는 철쭉이 자라고 있다. 과거 항공사진과 대조했을 때 대략적으로 1980년도 이후 비로봉에서만 최소 50,000㎡가량의 초지가 사라진 것으로 추산된다.

<1980년도 비로봉에서 본 주목군락지(출처: 단양군)>

게다가 그동안 암암리에 이루어진 희귀식물 불법 채취, 무단출입은 물론 취사, 흡연 행위 등 무분별한 이용 행태 덕에 질적, 양적 건전성의 심각한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얼마가 될지 모르나 이대로 가다가는 우리의 아이들은 비로봉의 호쾌한 경관과 그 속에 희귀식물들 사진으로만 보게될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기후변화는 국가 간 정치적, 경제적 복잡한 이해관계에 얽혀 쉽게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의 규모, 지역, 시기 및 변화의 양상을 특정하기 어려워 대응이 어렵고, 국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케일은 더더욱 아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국립공원은 해가 갈수록 탐방객이 늘어가고, 불법행위의 빈도도 증가하며, 공원 주변에서 완충 역활을 하던 논습지가 점점 사라지는 등 우리의 자연유산(Nature Heritage) 보전 여건은 점점 나빠지고 있다. 

 가뜩이나 기후변화로 인해 생존을 위협받고 있는 희귀동식물들의 안식처를 우리의 즐거움을 위해 소비시켜야 마땅한가? 일인당 국민소득이 2만5천불이 넘고, 세계경제규모 11위에 걸맞는 건전한 레저 문화가 확산되길 바라는 건 아직 욕심일까? 가을이 들어서는 문턱에서 ‘자연’과 ‘인간’이 모두 행복한 국립공원을 상상해본다.

<2016년도 비로봉에서 본 주목군락지>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고] 기후변화에 우리는 자유로울 수 있는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