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3(일)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산림산업 검색결과

  • 은행나무 ‘골라 심는’ 기술, 접근 문턱 낮춘다
    가을철 가로수 은행나무의 열매가 떨어져 얼룩지고 오염된 도로   은행나무는 매연 등 각종 공해가 심한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하고 가을철 노란 단풍이 아름다우며 공기 중 이산화탄소와 질소 등 대기와 토양의 오염 물질을 흡수하는 정화능력이 뛰어나 가로수로 매우 적합한 수종이다. 하지만 은행나무는 꽃이나 열매가 열리기 전까지 외부 형태만으로는 암수의 구별이 어렵고, 마구잡이로 식재된 암나무에서 열리는 은행열매로 인한 거리 악취와 오염 문제가 매년 가을철 반복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11년 국내 최초로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은행나무 성별을 조기에 구별하는 기술 적용의 확산을 위해 ‘㈜솔젠트’와 ‘태림환경㈜’등 민간기업에 기술이전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가을철 은행나무의 암나무에만 열리는 은행열매   국립산림과학원은 2018년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과 ㈜피엠디엑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4곳의 민간기업에 기술이전을 완료하였다. 이로써 은행열매 악취로 곤란을 겪는 지자체 및 개인이 은행나무 성감별을 의뢰·분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은 1년생 은행나무의 손톱 크기만 한 잎으로도 암나무와 수나무를 구분할 수 있으며, 수나무만 골라 심는 방법을 통해 가로수 은행 열매의 악취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암나무는 열매를 생산하는 용도로,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을철 은행나무 가로수 단풍   이 기술은 2014년에 국내 특허, 2015년에는 은행나무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국제특허를 등록하였으며 2019년에는 ‘서울국제발명전시회’에 출품하여 금상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산림생명정보연구과 홍경낙 과장은 “은행나무는 가로수나 조경수, 식용 또는 약용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산림생명자원으로 올해도 봄철 나무심기 기간에 많이 식재될 것”이라며, “쾌적한 가을 거리를 만드는 은행나무 성감별 분석기술의 민간이전을 확대하고 기술 접근성이 개선된 만큼 앞으로는 적극 활용해주시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 기술 적용결과 예시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3-03
  • 가로수 은행열매 악취 해결, 기술이전으로 빨라진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이 은행나무의 암나무와 수나무를 조기에 구별할 수 있는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민간기업인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에 기술이전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11년 이 기술을 개발하고 가을철 열매 악취 문제로 인해 수나무 가로수를 심고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감별 분석 요청에 대한 기술 지원을 해왔다. 하지만 2016년부터 분석요청이 3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자체적으로 기술지원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번 기술이전으로 증가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가로수용 은행나무 암‧수구별 분석 수요를 충족시켜 매년 반복되는 은행열매의 악취문제를 본격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나무는 도심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가을철 노란 단풍이 아름답기 때문에 가로수로 인기가 높아 전국에 있는 가로수 중 가장 많은 약 30%(약 100만 그루)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무는 꽃(암꽃과 수꽃)이나 열매를 확인하기 전에는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데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 데까지 최소 15년에서 길게는 30년 가까이 걸리기 때문에 그 동안 암・수의 구분 없이 가로수로 심었졌고 매년 가을 암나무에서 떨어진 은행열매로 인해 악취 및 거리오염 문제가 발생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가을철 암 은행나무에서만 열리는 은행열매의 악취와 거리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국내 최초로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손톱 크기만 한 은행나무 잎으로도 DNA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1년생 은행나무에서도 암나무와 수나무를 빠르게 구별할 수 있다. 이 기술은 2014년에 국내 특허 등록이 완료됐으며, 2015년에는 중국에 국제 특허로 등록돼 은행의 최대 생산국이자 원산지인 중국보다 우위 기술을 선점하는 쾌거를 이룬바 있다.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이제완 박사는 “성감별 DNA 분석법을 적용하면 은행열매의 악취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어린 묘목 단계에서 수나무는 가로수용으로 관리하고, 암나무는 열매 생산용으로 관리하면 은행나무의 활용과 생산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이전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8-03-20

포토뉴스 검색결과

  • 은행나무 ‘골라 심는’ 기술, 접근 문턱 낮춘다
    가을철 가로수 은행나무의 열매가 떨어져 얼룩지고 오염된 도로   은행나무는 매연 등 각종 공해가 심한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하고 가을철 노란 단풍이 아름다우며 공기 중 이산화탄소와 질소 등 대기와 토양의 오염 물질을 흡수하는 정화능력이 뛰어나 가로수로 매우 적합한 수종이다. 하지만 은행나무는 꽃이나 열매가 열리기 전까지 외부 형태만으로는 암수의 구별이 어렵고, 마구잡이로 식재된 암나무에서 열리는 은행열매로 인한 거리 악취와 오염 문제가 매년 가을철 반복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11년 국내 최초로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은행나무 성별을 조기에 구별하는 기술 적용의 확산을 위해 ‘㈜솔젠트’와 ‘태림환경㈜’등 민간기업에 기술이전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가을철 은행나무의 암나무에만 열리는 은행열매   국립산림과학원은 2018년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과 ㈜피엠디엑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4곳의 민간기업에 기술이전을 완료하였다. 이로써 은행열매 악취로 곤란을 겪는 지자체 및 개인이 은행나무 성감별을 의뢰·분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은 1년생 은행나무의 손톱 크기만 한 잎으로도 암나무와 수나무를 구분할 수 있으며, 수나무만 골라 심는 방법을 통해 가로수 은행 열매의 악취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암나무는 열매를 생산하는 용도로,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을철 은행나무 가로수 단풍   이 기술은 2014년에 국내 특허, 2015년에는 은행나무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국제특허를 등록하였으며 2019년에는 ‘서울국제발명전시회’에 출품하여 금상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산림생명정보연구과 홍경낙 과장은 “은행나무는 가로수나 조경수, 식용 또는 약용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산림생명자원으로 올해도 봄철 나무심기 기간에 많이 식재될 것”이라며, “쾌적한 가을 거리를 만드는 은행나무 성감별 분석기술의 민간이전을 확대하고 기술 접근성이 개선된 만큼 앞으로는 적극 활용해주시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 기술 적용결과 예시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20-03-03
  • 가로수 은행열매 악취 해결, 기술이전으로 빨라진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이 은행나무의 암나무와 수나무를 조기에 구별할 수 있는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민간기업인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에 기술이전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11년 이 기술을 개발하고 가을철 열매 악취 문제로 인해 수나무 가로수를 심고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감별 분석 요청에 대한 기술 지원을 해왔다. 하지만 2016년부터 분석요청이 3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자체적으로 기술지원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번 기술이전으로 증가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가로수용 은행나무 암‧수구별 분석 수요를 충족시켜 매년 반복되는 은행열매의 악취문제를 본격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나무는 도심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가을철 노란 단풍이 아름답기 때문에 가로수로 인기가 높아 전국에 있는 가로수 중 가장 많은 약 30%(약 100만 그루)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무는 꽃(암꽃과 수꽃)이나 열매를 확인하기 전에는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데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 데까지 최소 15년에서 길게는 30년 가까이 걸리기 때문에 그 동안 암・수의 구분 없이 가로수로 심었졌고 매년 가을 암나무에서 떨어진 은행열매로 인해 악취 및 거리오염 문제가 발생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가을철 암 은행나무에서만 열리는 은행열매의 악취와 거리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국내 최초로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손톱 크기만 한 은행나무 잎으로도 DNA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1년생 은행나무에서도 암나무와 수나무를 빠르게 구별할 수 있다. 이 기술은 2014년에 국내 특허 등록이 완료됐으며, 2015년에는 중국에 국제 특허로 등록돼 은행의 최대 생산국이자 원산지인 중국보다 우위 기술을 선점하는 쾌거를 이룬바 있다.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이제완 박사는 “성감별 DNA 분석법을 적용하면 은행열매의 악취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어린 묘목 단계에서 수나무는 가로수용으로 관리하고, 암나무는 열매 생산용으로 관리하면 은행나무의 활용과 생산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이전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산림산업
    • 산림과학원
    2018-03-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