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국립산림과학원, 토양미생물(세균·곰팡이) 연구를 통해 천궁 연작장해 원인 규명 -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0.09.01 16:5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일천궁 1년차 첫 재배지.jpg
일천궁 1년차 첫 재배지

 

코로나19로 인해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력 증진을 위한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 한약재에서 주로 쓰이는 천궁, 당귀 등 산림약용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천궁은 기후변화에 예민해 해발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고 특히, 연작장해로 인해 매년 재배지를 옮겨 다니는 번거로움으로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 생산량(M/T) : (´97) 2,294 → (´17) 1,290, 재배면적(㏊) : (´97) 789 → (´17) 185


작물의 연작재배는 토양미생물의 다양성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어 토양미생물을 변화시키며, 이는 작물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작물의 연작장해 원인 규명에 필수적이다.

일천궁 3년차 연작 재배지.JPG
일천궁 3년차 연작 재배지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국내 대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천궁 재배지의 토양미생물(세균, 곰팡이) 군집분석을 통하여 천궁 연작장해의 원인 중 토양특성과 토양미생물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토양미생물 중 곰팡이 군집은 토양 pH, 칼슘 및 유효인산(P2O5)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작 재배지에서 병원성이 높은 Fusarium균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토양곰팡이 균은 적합한 조건이 되면 시들음병이 발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천궁은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 생육이 저해되며, 시간이 지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되어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는 병징을 나타낸다.


연작장해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파악이 매우 어렵다. 이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해 연작장해의 원인을 일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연작장해 원인 규명을 통해 천궁 재배자들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재배지 토양의 건전성 확보에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농학회지 2020년 3월호와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년 6월호에 각각 게제되었다. 


일천궁 시들음병 피해 개체.jpg
일천궁 시들음병 피해 개체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천궁, 연작장해 해결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가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