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3(금)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전년 대비 22% 감소

- ‘2020년 임산물 생산조사’ 결과 공표, 총 임산물 생산액 8조 1,804억 원 -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10.25 23:0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단기소득임산물 도표.jpg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2020년 임산물 생산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임산물 생산조사는 주요 14종 147개 품목의 임산물 생산량과 생산액을 조사하는 것으로 각종 임업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는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생산된 임산물에 대해 전국 임가를 대상으로 표본조사(5개), 행정조사(31개), 전수조사(111개)로 나뉘어 진행됐다.

    - (표본조사) 밤, 호두, 대추, 떫은감, 표고(건표고·생표고)

    - (행정조사) 용재(11), 토석(7), 조림(2), 양묘(2), 순임목(3), 연료(3), 기타(2), 약초(1)

    - (전수조사) 조경재(25), 수실류(11), 약용식물(38), 산나물(14), 버섯(8), 죽재(1), 수액 등 기타(14)


조사 결과 지난해 총 임산물 생산액은 8조 1,804억 원으로 전년 6조 5,667억 원 대비 24.6% 증가했으나, 단기임산물생산액은 전년(’19년 2조 7,278억 원)보다 5,996억 원 감소한 2조 1,282억 원으로 조사됐다.


 분석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액이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5년 주기로 공표되는 ‘2020년 산림기본통계’에 따라 5영급*에 분포하는 나무량이 상대적으로 증가(2015년 대비 100.7% 증가)하여 순임목 생장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41년생~50년생 나무

 

순임목 생장액은 우리나라 산림의 임목축적 생장량*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20년 공표된 산림기본통계(5년 주기) 적용

’20년 임목축적은 165/ha’15년 대비 13.1% 증가하였으나, 5영급 생장량은 ’15년 대비 100.7% 증가*(217,563㎥→436,674)

* 5영급의 경우 소나무, 낙엽송 및 참나무류는 목재수확기에 접어들어 순임목 생장액 산정 시 원목시장가격을 적용받아 순임목 생장액이 큰 폭으로 증가

** (’16’19) ’15년 산림기본통계를 기준으로 벌기령 미도래 등 연도별 순임목 생장액 잠정치(p) 산출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량은 지난해 냉해, 장마, 태풍 등 기상 악화로 인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 (조경재) 생산량은 전년 대비 1.8% 증가하였으나 단가 하락으로 생산액 감소

  ○ (수실류) 지난해 냉해피해, 바람 피해 등으로 밤, 호두, 대추 등의 생산량 감소

  ○ (약용식물) 오미자는 생산량의 감소에도 단가 상승으로 인해 생산액이 증가하였으며, 기타 품목 중 마·독활은 생산량 저하로 인한 생산액 감소

  ○ (산나물) 더덕, 고사리, 취나물 등의 전반적인 생산량 감소로 생산액 감소

  ○ (버섯류) 생산량(△5.3%)과 생산액(△1.4%)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


지역별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액은 경상북도가 5,300억 원으로 전년에 이어 가장 높았다. 이어 강원도(2,888억 원) 전라북도(2,622억 원) 전라남도(2,297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강대익 산림청 정보통계담당관은 “산림청에서 연초에 발표한 임가경제조사에서 임업소득이 전년 대비 10.6% 감소하였는데, 이는 단기임산물 생산 감소 등의 원인으로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라며 “지속해서 임산물 생산 동향을 파악하여 임산물 생산변화 등 현장 임업소득 증진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단기 소득 임산물 주요 품목별 최다 생산지역

(단위: 억 원, %)

품목

생산지

해당지역 생산액

전체 생산액

비중

충청남도 부여군

259

1,022

25.3

호두

충청북도 영동군

45

214

21.0

대추

충청북도 보은군

229

761

30.1

떫은감

경상북도 상주시

319

2,078

15.4

복분자딸기

전라북도 정읍시

337

879

38.3

오미자

경상북도 문경시

1,090

2,715

40.1

산양삼

강 원 도 홍천군

52

466

11.2

경상북도 안동시

581

902

64.4

고사리

경상남도 함양군

67

534

12.5

도라지

강 원 도 삼척시

180

1,022

17.6

더덕

제추특별자치도 제주시

285

1,546

18.4

송이

경상북도 영덕군

19

178

10.7

생표고

충청남도 부여군

150

1,621

9.3

건표고

전라남도 장흥군

79

325

24.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전년 대비 22% 감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